Green city 지속가능한 단지개발 사례보고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개요

2. 설계개념

3. 환경요소 적용 (BO_01 배치도)

4. 환경기술 적용

- Tango House
- Kaiplats
- Salt & Brygga
- 기타

5. 에너지 공급계획

6. 문제점

7. 발전방향

본문내용

것이어야만 하는가?
- BO_01은 과거에 산업단지였던 황폐화된 지역을 새롭게 하는 프로젝트
- 새로운 주거환경의 조성이 아닌 기존의 주거환경을 있는 그대로 재생할 수는 없을까?
7. 지속 가능한 정주환경을 위한 발전방향
이상의 BO_01에 대한 짧은 연구에서 살펴본 것처럼, 결코 작은 노력과 짧은 시간에 의해 지속 가능한 정주환경이 조성될 수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환경의 수용능력을 고려한 에너지 대책이나, 창을 비틀고 옥상에 잔디를 심는 등의 작은 시도들이 지속 가능한 정주환경을 만드는 데 보탬은 될 수는 있을 것이다.
문제점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이와 같은 환경을 조성함에 있어서 상당한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고 그것이 사회적 문제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런 문제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정주환경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은 필요하다. 무엇보다 환경요소를 적용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데 필요한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과연 그러한 정주환경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장소에도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아쉬운 단면이긴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경제적 가치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것이 현실이다. 지속 가능한 환경이 자칫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환경으로 치부되어 상류층의 전유물이 되어버리거나, 상업적인 도구로 전락할 수도 있다.
지속 가능(sustainable)한 환경은 공유 가능(sharable)한 환경이어야 할 것이다. 사치품도 아니고, 누군가의 전유물도 아닌 그저 삶의 일부여야 할 것이다. 그런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때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11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