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정치·외교상황 1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유럽 1
2. 제1차 세계대전의 불꽃 -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 암살 사건 2
Ⅱ. 제1차 세계대전과 종전 후의 정치·외교 상황 2
1. 제1차 세계대전 전개와 종전 2
2. 파리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3
3.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각 나라의 변화 3
(1) 미국과 영국 3
(2) 프랑스 4
Ⅲ. 제2차 세계대전 전의 정치·외교상황 4
1. 소련의 성립과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등장 4
2. 히틀러의 등장과 나치즘 5
3. 이탈리아와 독일로 인한 긴장감 고조 6
Ⅳ. 제2차 세계대전과 종전 후의 정치·외교상황 6
1. 제2차 세계대전의 전개 6
2. 종전 후 상황에 대한 협의 7
Ⅴ. 유엔의 성립과 냉전의 수립 7
1.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유럽 1
2. 제1차 세계대전의 불꽃 - 페르디난트 대공 부부 암살 사건 2
Ⅱ. 제1차 세계대전과 종전 후의 정치·외교 상황 2
1. 제1차 세계대전 전개와 종전 2
2. 파리강화회의와 베르사유 체제 3
3.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각 나라의 변화 3
(1) 미국과 영국 3
(2) 프랑스 4
Ⅲ. 제2차 세계대전 전의 정치·외교상황 4
1. 소련의 성립과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등장 4
2. 히틀러의 등장과 나치즘 5
3. 이탈리아와 독일로 인한 긴장감 고조 6
Ⅳ. 제2차 세계대전과 종전 후의 정치·외교상황 6
1. 제2차 세계대전의 전개 6
2. 종전 후 상황에 대한 협의 7
Ⅴ. 유엔의 성립과 냉전의 수립 7
본문내용
랑스는 독일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되며 이로써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21년 만에 새로운 전 세계적 전쟁이 일어나게 되니 우리는 이것을 제2차 세계대전이라 부른다. 독일은 우세한 군사력을 내세워 덴마크, 노르웨이, 프랑스 등을 함락시켰으며 그 야욕은 영국을 넘어서 소련까지 넘보게 되고 이것은 소련의 참전을 불러왔다. 그리고 추축국이었던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하여 미국에게 타격을 입히자 미국도 즉각 연합국에 가담하여 전 세계적 전쟁으로 확산되었다. 소련과 미국의 참전으로 그 동안 불리했던 전쟁의 양상을 연합국이 조금이나마 만회하게 된다. 추축국과 연합국들의 공습을 통해 많은 민간인들이 사망하였으며 나치는 유대인 학살을 통해 나치의 민족주의의 절정과 반인륜적 행위를 보여주었다.
2. 종전 후 상황에 대한 협의
또한 연합국들은 전쟁 중에 종전 후의 문제를 두고 회담을 열기 시작한다. 1943년 카이로회담을 통해 일본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였고 그 뒤 테헤란 회담을 통해 유럽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연합국의 승리가 눈앞으로 다가오자 얄타회담을 열어 유엔창설 합의와 동유럽지역의 소련 영향력 확대·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합의·패전국 처리에 대한 의견을 논하였다.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고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종전되었으며 독일이 항복한 뒤 연합국은 포츠담에서 회담을 열어 독일의 산업 감축과 배상금 논의 등의 독일의 미래에 관한 사항들이 논의하였다. 이런 논의들은 각 국의 이해관계, 특히 미국과 소련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인해 정확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고 여기서 시작된 갈등은 후에 미국과 소련의 냉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Ⅴ. 유엔의 성립과 냉전의 수립
제1차 세계대전의 교훈에 비추어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국제사회는 명확하고 권위 있는 국제기구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국제통화기금과 국제재건개발은행이 성립되었고 국제평화의 주요기관인 유엔이 성립되었다. 유엔은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51개국이 유엔헌장을 기초하고 6월 서명하였다. 유엔헌장에 따라 총회, 안전보장이사회, 경제, 사회, 사법을 관장하는 사무국들이 창설되었다. 유엔은 19세기 이래 유럽 중심의 세계질서를 지양한 국제적 세력의 균형 있는 재편성의 소산물이었다. 그러나 유엔에서 소련과 미국의 대결은 1945년 이후 세계의 양극화와 냉전시대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 다른 두 개의 전 세계적 동맹체가 성립된 것이었다. 이 시기에 성립된 냉전체제는 1990년 소련이 무너질 때까지 지속되었고 양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미국과 소련으로 넘어간 주도권을 되찾고 다시 한 번 세계의 중심이 되기 위해 유럽사회에는 유럽통합운동의 바람이 불었고 그것은 유럽연합(EU)이라는 기구의 창설로 이어져 현재까지도 긴밀한 협력이 지속되고 있다.
※ 참고문헌
차하순,『새로 쓴 서양사총론2』, 탐구당, 2010
배영수,『서양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윤승준,『하룻밤에 읽는 유럽사』, 랜덤하우스코리아, 2004
2. 종전 후 상황에 대한 협의
또한 연합국들은 전쟁 중에 종전 후의 문제를 두고 회담을 열기 시작한다. 1943년 카이로회담을 통해 일본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였고 그 뒤 테헤란 회담을 통해 유럽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연합국의 승리가 눈앞으로 다가오자 얄타회담을 열어 유엔창설 합의와 동유럽지역의 소련 영향력 확대·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합의·패전국 처리에 대한 의견을 논하였다.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고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은 종전되었으며 독일이 항복한 뒤 연합국은 포츠담에서 회담을 열어 독일의 산업 감축과 배상금 논의 등의 독일의 미래에 관한 사항들이 논의하였다. 이런 논의들은 각 국의 이해관계, 특히 미국과 소련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인해 정확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였고 여기서 시작된 갈등은 후에 미국과 소련의 냉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Ⅴ. 유엔의 성립과 냉전의 수립
제1차 세계대전의 교훈에 비추어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국제사회는 명확하고 권위 있는 국제기구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국제통화기금과 국제재건개발은행이 성립되었고 국제평화의 주요기관인 유엔이 성립되었다. 유엔은 1945년 4월 샌프란시스코 회의에서 51개국이 유엔헌장을 기초하고 6월 서명하였다. 유엔헌장에 따라 총회, 안전보장이사회, 경제, 사회, 사법을 관장하는 사무국들이 창설되었다. 유엔은 19세기 이래 유럽 중심의 세계질서를 지양한 국제적 세력의 균형 있는 재편성의 소산물이었다. 그러나 유엔에서 소련과 미국의 대결은 1945년 이후 세계의 양극화와 냉전시대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 다른 두 개의 전 세계적 동맹체가 성립된 것이었다. 이 시기에 성립된 냉전체제는 1990년 소련이 무너질 때까지 지속되었고 양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미국과 소련으로 넘어간 주도권을 되찾고 다시 한 번 세계의 중심이 되기 위해 유럽사회에는 유럽통합운동의 바람이 불었고 그것은 유럽연합(EU)이라는 기구의 창설로 이어져 현재까지도 긴밀한 협력이 지속되고 있다.
※ 참고문헌
차하순,『새로 쓴 서양사총론2』, 탐구당, 2010
배영수,『서양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2007
윤승준,『하룻밤에 읽는 유럽사』, 랜덤하우스코리아, 2004
추천자료
유럽연합의 역사적 전개과정
유럽의 문화질서
협동조합의 정치경제학적 접근과 본질에 관한 이론
유럽연합의 형성배경과 과정과 영향을적으시오jo
[오스트리아 역사][오스트리아 건축][오스트리아 사회보장제도][오스트리아 정치][오스트리아...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정치 경제 비교 분석
[EC][EU][유럽]유럽의 통합과 확대, 유럽공동체(EC)와 유럽연합(EU)의 명칭, 유럽공동체(EC)...
[그리스 금융위기]그리스·유럽재정위기의 현황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그리스·유럽경제위기 ...
유럽통합의 국제정치적 배경
[유럽연합][EU][유럽통합]유럽연합(EU)의 형성배경과 유럽연합(EU)이 오늘날의 유럽에 미치고...
그리스 금융위기와 향후 전망 (유럽재정위기, 그리스 재정위기의 확산과정, 그리스의 현상황,...
[세계의정치와경제] 신자유주의는 흔히 “국가의 후퇴와 시장의 공세”라는 모호한 뜻으로 정의...
생활 속의 경제 최근(2016년 6월 23일) 영국은 국민투표결과 유럽연합으로부터 탈퇴를
유럽바로알기 프랑스 정교분리원칙 라이시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