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Gollin: 미완성 그림 알아맞히기
- 3세: 거의 완성된 그림이 되었을 때
- 연령증가에 따라 아동이 맞추는 그림의 완성도가 낮아짐
* Gibson
아동은 끊임없이 환경으로부터 새롭고 정교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물과 사건들을 구별하는 변별 특징을 발견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분화이다.
3. 얼굴지각
- 8주까지의 영아는 얼굴의 경계선에 초점을 고정
- 9~12주경 얼굴내부의 탐색시작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의 구분
- 3~4 개월: 얼굴표정에 민감
- 5~7 개월: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 바로 구별
4. 공간지각
1) 크기 항상성
(1) 크기 항상성: 한 사물이 가까이 있건 멀리 있건 같은 크기의 사물로 지각하는 것
(2) 크기항상성의 발달:
- 4개월 반이 되면 친숙한 물체에 대한 크기 항상성이 나타남
- 6~8개월이 되면 친숙하든 친숙하지 않든 물체의거리가 변화되었을 때 크기가 변하지 않음을 인식
2) 깊이지각
- Gibson &Walk: 시지각 벼랑이용
6 개월 이후 깊이를 지각 할 수 있다.
- Campos, Langer &Krowitz: 2~4개월 영아들 대상 연구
2 개월 영아도 심작박동의 변화
- 깊이지각: 7개월 경에 나타나기 시작함
- 3세: 거의 완성된 그림이 되었을 때
- 연령증가에 따라 아동이 맞추는 그림의 완성도가 낮아짐
* Gibson
아동은 끊임없이 환경으로부터 새롭고 정교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물과 사건들을 구별하는 변별 특징을 발견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분화이다.
3. 얼굴지각
- 8주까지의 영아는 얼굴의 경계선에 초점을 고정
- 9~12주경 얼굴내부의 탐색시작
친숙한 사람과 낯선 사람의 구분
- 3~4 개월: 얼굴표정에 민감
- 5~7 개월: 낯선 사람과 친숙한 사람 바로 구별
4. 공간지각
1) 크기 항상성
(1) 크기 항상성: 한 사물이 가까이 있건 멀리 있건 같은 크기의 사물로 지각하는 것
(2) 크기항상성의 발달:
- 4개월 반이 되면 친숙한 물체에 대한 크기 항상성이 나타남
- 6~8개월이 되면 친숙하든 친숙하지 않든 물체의거리가 변화되었을 때 크기가 변하지 않음을 인식
2) 깊이지각
- Gibson &Walk: 시지각 벼랑이용
6 개월 이후 깊이를 지각 할 수 있다.
- Campos, Langer &Krowitz: 2~4개월 영아들 대상 연구
2 개월 영아도 심작박동의 변화
- 깊이지각: 7개월 경에 나타나기 시작함
추천자료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아동발달에 있어 유전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
아동 발달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나의 견해,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
[아동발달]아동발달의결정적시기,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유전과 환경...
아동발달에서 유전과 환경의 영향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기술하시오.
[아동발달] 유전과 환경 및 상호작용 모형 - 아동발달에서 유전과 환경의 영향, 반응범위 모...
아동발달의 쟁점 중 1)유전 대 환경, 2)성숙 대 학습, 3)초기경험 대 후기경험 각각의 입장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