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8.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슬럼프 플로우 시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험 목적

2. 배경 이론

3. 시험용 기구

4. 시험 방법

5. 주의 사항

6. 실험 결과

7. 결 론

본문내용

슬럼프를 측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고, 슬럼프의 대소에 의해 콘크리트의 연도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슬럼프를 이루는 속도나 상태 등에 의해 콘크리트의 점조성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실험에서는 목표 슬럼프를 120mm로 하였는데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는 콘크리트가 너무 넓게 퍼져서 측정할 수 없었다, 일반 강도인 30Mpa에서는 목표 슬럼프를 넘어선 175mm로 측정되었다.
슬럼프는 온도에 따라 차이가 크고, 슬럼프를 측정하는데 까지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 또한 슬럼프 측정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슬럼프 측정은 불가능 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저강도에 비해 물이 들어가는 양도 작은데 슬럼프가 제로에 가까워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음과 같은 자료를 찾아보았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등의 미립자는 그 표면에너지를 감소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응집화경향이 강하다. 즉 시멘트 페이스트는 시멘트입자가 단독으로 분산된 상태가 아니라 상호의 2차 응집입자로 되어있어 유동성이 작은 상태로 된다. 이때, 고성능 감수제가 첨가되면 시멘트입자 표면에 흡착되면서 표면에 전하를 주게 되고 입자끼리 상호반반력도 생긴다. 그러므로 응집한 입자가 분산되고 상호반발력에 의해 유동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유동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넓게 퍼져서 슬럼프 측정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슬럼프는 수화반응 및 수분증발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비빈 후 시간이 흐르면 정확한 슬럼프 값을 측정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신속하게 비비고 실험을 빠른 속도로 진행시켰다면 정확한 실험이 될 수 있었을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2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