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거시경제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편. 국민소득론

1. 국민소득

2. 균형국민소득 결정이론

3. 승수이론

4. 소비함수이론

5. 투자결정이론

제2편. 화폐금융론

1. 화폐와 금융

2. 화폐의 공급

3. 화폐의 수요

4. 이자율 결정이론

제3편. 거시경제 일반균형(Ⅰ)

1. IS - LM

2. 재정정책 ‧ 금융정책

3. AD - AS

4. 확대재정정책 ‧ 확대금융정책

제4편. 거시경제 일반균형(Ⅱ)

1. 실업

2. 인플레이션

3. 필립스곡선 이론

제5편. 거시경제 이론 종합

1. 학파별 이론 비교

2. 공급중시경제학

제6편. 경기변동 ‧ 경제발전 ‧ 경제성장

1. 경기변동론

2. 경제발전 ‧ 경제개발

3. 경제성장론

본문내용

전고용조건 :
실제 성장률 ()
노동자본 완전고용조건
- 자본의 완전고용조건 :
- 노동의 완전고용조건 :
특징
① 자본계수(v), 저축률(s), 인구증가율(n) 모두 일정
: 모두 외생적 요인에 의해 결정
→ 완전고용 : 특수한 경우에만 가능()
→ 일반적으로 불완전고용하의 성장
자본증가율 > 노동증가율
자본설비 과잉
투자 과잉
저축 과잉
⇒ 소비가 미덕
자본증가율 < 노동증가율
인구 과잉 (실업)
투자 부족
저축 부족
⇒ 저축이 미덕
② 실제 성장률()이 적정 성장률()에서 벗어나면
더욱 더 균형에서 이탈(Knife-edge equilibrium)
자본의 과다 이용
자본재 부족
자본재 주문 ↑ (투자 ↑)
→ 총수요(AD) ↑
→ Y ↑
→ ↑
⇒ 경기 과열
유휴자본 존재
자본재 과잉
자본재 주문 ↓ (투자 ↓)
→ 총수요(AD) ↓
→ Y ↓
→ ↓
⇒ 경기 침체
③ 기술 진보 → 생산성 증가 ≒ 인구증가
노동자본 완전고용조건 : (g: 기술진보율)
소로우 성장이론
- Solow
(신고전학파)
의의
균형 성장이론 : 경제성장의 안정성 (생산요소간 대체 가능)
가정
경제 내 재화 : 1가지만 존재
Cobb-Douglas 생산함수 : 생산요소 대체 가능, 규모 보수 불변
자본계수(v) : 가변 (대체 가능)
저축율(s) : 일정 (S = sY)
저축-투자 항상 일치 : I = S = sY
인구증가율(n) : 일정
기술진보, 감가상각 없다고 가정 ()
내용
1차 동차함수
K, L 모두 a배 투입 → 생산량 a배 증가

,
⇒ (1인당 생산함수)
① 자본증가율


② 인구증가율

③ 균형조건
경제성장률 = 노동증가율 = 자본증가율
solow 기본방정식 :
기술 진보 시 :
(1인당 실제투자액)
1인당 생산함수 :
저축률 : s
⇒ 1인당 실제저축액(실제투자액)
(1인당 필요투자액)
1인당 자본량(요소집약도) :
인구증가율 : n
⇒ 현재의 1인당 자본량 유지하기위해
필요한 1인당 필요투자액
불균형의 조정
(
(
자본증가율 > 노동증가율
자본 과잉
→ 자본가격 하락
→ 자본고용량 증가
⇒ 1인당 자본량(k) 증가
자본증가율 < 노동증가율
자본 부족
→ 자본가격 상승
→ 자본고용량 감소
⇒ 1인당 자본량(k) 감소
자본량 유지, 1인당 생산량 유지 : 정상상태균제상태(steady state)
균제상태의 이동
(균형성장경로 변화)
<저축률 상승>
<인구증가율 감소>
<기술 진보>
s ↑ → 상방이동
→ 1인당 자본량(k) ↑
→ 1인당 생산량(y) ↑
생산함수 불변 : 장기효과(X)
n ↑ → 회전이동
→ 1인당 자본량(k) ↑
→ 1인당 생산량(y) ↑
총생산량 ↓ : 경제성장률 ↓
생산함수() 상방이동
+ 상방이동
개인 자본량(k)생산량(y) ↑
총생산량 ↑ : 경제성장률 ↑
단기 : k 상승, y 상승
장기 : 균제상태 회복
개인 : 생활수준 상승
전체 : 경제성장률 하락
개인 : 생활수준 상승
전체 : 경제성장률 상승
한계
경제성장의 요인 : 기술진보 - 외생적으로 결정
국가간 경제성장률 격차 발생원인 설명(X)
비교


의의
케인즈 이론의 동태화
현대 경제성장이론의 대표적 이론
기본방정식
생산함수
Leontief 생산함수 : L자 형태
Cobb-Douglas 생산함수 : 1차동차함수
자본계수
; 일정
1인당 자본량 ; 가변적
저축함수
투자함수
균형성장조건
성장경로
자본계수 일정(외생적) → 성장경로 불안정
자본계수 가변적 → 성장경로 안정적
최적 성장이론
- Swan, Robinson, Phelps
의의
규범적 경제성장이론 : 사회후생극대화를 위해 어떤 성장경로를 선택해야 하는가의 문제
지속적 경제성장 유지 : 이론적 전제 - Solow 경제성장모형 :
소비 극대화 시키는 저축 규모(자본축적규모) → 최적경제성장조건 도출
경제성장의 황금률
(자본축적 황금률)
개념
1인당 소비 극대화를 이루는 성장률
내용
① 1인당 소비 = 1인당 소득 - 1인당 저축
② k에 대하여 미분 → 소비 극대화점 도출
⇒ (자본한계생산물=인구증가율)
황금률
(golden rule)
① (자본이자율=인구증가율)
② 1인당 소비 극대화
③ 1인당 소비 = 노동소득(w)
⇒ 자본소득(r)=저축=투자
④ 저축률(s) = 자본소득의 분배율 ( r : w )
내생적 성장이론
- Romer, Lucas
등장배경
극복
경제성장의 요인 : 기술진보 - 외생적 ⇒ 기술진보 - 내생화에 역점
국가간 경제성장률 격차 설명(X)
경제성장에서의 국가의 역할 설명(X)
개념
경제주체의 최적행동(소비효용 극대화, 이윤 극대화) 과정에서의 내부적 요인 → 경제성장 결정
사회후생 극대화 경제성장률(최적성장률) 결정하는 내생적 요인 규명
내용
기술진보 : 물적자본 축적, 인적자본 축적, 연구개발 투자 등 내생적 요인에 의함
국가간 경제성장률 격차 : 자본축적의 차이, 교육수준의 차이, 정부 조세정책 차이에 의해 발생
학습효과외부경제
- Arrow, Romer
개별기업 :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 ⇒ 경제전체 : 규모에 대한 수익 체증
학습에 의한 경험 축적 → 외부효과(지식의 파급) → 기술진보생산성향상 → 지속적 성장
연구개발정부지원
- Romer
인적자본 : 이중사용(x) ⇒ 축적된 기술 : 여러사람이 동시에 사용
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지원 : 경제성장의 중요한 요인
인적자본축적
- Lucas
실물자본 : 규모 수익 불변 ⇒ 인적자본지적자본 : 규모 수익 체증
정부의 교육투자 정도 차이 → 국가간 경제성장률 격차 발생
AK 모형
생산량 = 자본량 자본의 한계생산물 ⇒
자본 : 물적자본+인적지적자본 ⇒ 자본에 대한 수확 불변
수확 불변 : 조세(T) ↓ → 저축률(s) ↑ → 교육투자(I) ↑ → 자본(K) ↑ → 지속적 성장
시사점
장기균형에서 1인당 소득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현상 설명
정부의 역할 강조 : 교육훈련 투자 지원, Soc, 세제상 유인 → 저축률 제고
국제무역 : 경제성장의 주요 요인(기술모방이전 → 기술개발 촉진)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1.08.23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68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