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데카르트의 생애
Ⅲ. 데카르트의 철학
Ⅳ. 데카르트의 이원론
Ⅴ. 데카르트의 감정미학
Ⅵ. 데카르트의 방법적회의
Ⅶ. 데카르트의 영향
참고문헌
Ⅱ. 데카르트의 생애
Ⅲ. 데카르트의 철학
Ⅳ. 데카르트의 이원론
Ⅴ. 데카르트의 감정미학
Ⅵ. 데카르트의 방법적회의
Ⅶ. 데카르트의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론은 어떤 의견들은 다른 의견보다 더 커다란 개연성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으며, 개연성을 삶의 지침으로 제시했다.
한편, 피론주의는 더 철저한 입장을 취한다.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가 확실한 인식의 불가능성을 단언하는 것조차도 독단적이라고 주장하며, 명제들이 개연성의 차이를 가졌다는 것을 부정한다. 개연성에 대한 판단은 오직 인식과 진리의 기준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내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표준의 존재 역시 의심의 대상이다. 따라서 피론주의자들은 다만 관습에 따를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피론주의는 16세기 말엽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계승된다. 특히 몽테뉴가 취한 피론주의는 데카르트의 방법론에 일련의 영향을 준 듯 보인다. 몽테뉴는 동물과 달리 이성과 도덕을 갖추고 있다는 인간의 고고한 지위를 부정하며 인간 능력의 나약함을 상기시킨다. 철학적, 종교적·도덕적 신념들은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르며, 사람들이 믿는 것은 정서·의지. 어릴 때의 훈련과 같은 비합리적인 요인에 의지하는 수가 있으며,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들의 신념이 도대체 어떤 합리적인 근거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 근거는 우리들의 감관이라는 신뢰할 수 없는 증거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인간 이성의 확실성에 대한 공격을 감행한다.
<우리가 대상들로부터 받아들이는 현상들을 판단하기 위해 하나의 재판기구를 필요로 하며, 이 기구를 검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증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 증명을 검토하기 위하여 또 다시 하나의 기구가 필요하다. 이렇듯 우리는 하나의 순환 속에 빠져 있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진리를 탐구하고자 할 때 곤경에 부닥친 자신을 발견한다면, 사리 있는 유일한 방도는 판단을 보류하고, 사물의 본성에 대한 참된 인식을 주장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현상에 대해 판단할 수는 있으나 우리는 그 현상이 실재와 일치하는지 않는지를 아는 체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피론식 회의주의는 근대의 철학자에게 많은 지지자를 얻었고 데카르트의 사상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데카르트는 그러한 회의주의의 방법론뿐만 아니라,(다분히 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이성에 대해서도 어떤 점에서는 그 견해를 같이 한다. 회의에 회의를 거듭한 끝에 그들은 “인간 공통의 이성”의 존재에 대해 그 의견을 같이 한다. 다만, 그 이성 능력의 한계에 대해서는 그 선을 달리한 것으로 보인다.
Ⅶ. 데카르트의 영향
데카르트 철학은 그 영향이 17세기만으로 끝난 것은 아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그의 철학적 영향으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철학적 반성과 과학과의 밀접한 연관성일 것이다.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에서 철학의 진정한 체계의 소유는 인간생활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그가 추구한 것이 객관적 확실성과 자명한 진리이다. cogito의 발견을 통해 그는 물질계의 존재보다도 더욱 명백한 의식세계의 존재를 확인했다. 그러나 의심하는 나의 존재가 아무리 확실하다 해도 의심하는 사실은 불완전함의 상징이었다. 불완전자는 완전자에 의해서만 존재하게 되며, 이를 통해 그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또한 그는 신이 창조한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본질을 연장성으로 해석함으로써 기계론적 자연과학의 단서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김문자 외 -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본문1권, 선곡집1권, 심설당
동아 출판사(1982) - 동아 원색 세계 대백과 사전
존 코팅엄 - 데카르트, 궁리필로소피
전지호(1998) - 음악적 공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음악학 박사학위논문
F. J. Lehman(1976) - 음악형식과 분석, 수문당
한편, 피론주의는 더 철저한 입장을 취한다.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가 확실한 인식의 불가능성을 단언하는 것조차도 독단적이라고 주장하며, 명제들이 개연성의 차이를 가졌다는 것을 부정한다. 개연성에 대한 판단은 오직 인식과 진리의 기준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 의해서만 내려질 수 있는데, 이러한 표준의 존재 역시 의심의 대상이다. 따라서 피론주의자들은 다만 관습에 따를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피론주의는 16세기 말엽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로 계승된다. 특히 몽테뉴가 취한 피론주의는 데카르트의 방법론에 일련의 영향을 준 듯 보인다. 몽테뉴는 동물과 달리 이성과 도덕을 갖추고 있다는 인간의 고고한 지위를 부정하며 인간 능력의 나약함을 상기시킨다. 철학적, 종교적·도덕적 신념들은 시대와 나라에 따라 다르며, 사람들이 믿는 것은 정서·의지. 어릴 때의 훈련과 같은 비합리적인 요인에 의지하는 수가 있으며,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들의 신념이 도대체 어떤 합리적인 근거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그 근거는 우리들의 감관이라는 신뢰할 수 없는 증거에 기초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그는 인간 이성의 확실성에 대한 공격을 감행한다.
<우리가 대상들로부터 받아들이는 현상들을 판단하기 위해 하나의 재판기구를 필요로 하며, 이 기구를 검사하기 위하여 하나의 증명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 증명을 검토하기 위하여 또 다시 하나의 기구가 필요하다. 이렇듯 우리는 하나의 순환 속에 빠져 있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진리를 탐구하고자 할 때 곤경에 부닥친 자신을 발견한다면, 사리 있는 유일한 방도는 판단을 보류하고, 사물의 본성에 대한 참된 인식을 주장하지 않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현상에 대해 판단할 수는 있으나 우리는 그 현상이 실재와 일치하는지 않는지를 아는 체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피론식 회의주의는 근대의 철학자에게 많은 지지자를 얻었고 데카르트의 사상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데카르트는 그러한 회의주의의 방법론뿐만 아니라,(다분히 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이성에 대해서도 어떤 점에서는 그 견해를 같이 한다. 회의에 회의를 거듭한 끝에 그들은 “인간 공통의 이성”의 존재에 대해 그 의견을 같이 한다. 다만, 그 이성 능력의 한계에 대해서는 그 선을 달리한 것으로 보인다.
Ⅶ. 데카르트의 영향
데카르트 철학은 그 영향이 17세기만으로 끝난 것은 아니다.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그의 철학적 영향으로 가장 두드러진 점은 철학적 반성과 과학과의 밀접한 연관성일 것이다. 데카르트는 《방법서설》에서 철학의 진정한 체계의 소유는 인간생활을 위해서 중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그가 추구한 것이 객관적 확실성과 자명한 진리이다. cogito의 발견을 통해 그는 물질계의 존재보다도 더욱 명백한 의식세계의 존재를 확인했다. 그러나 의심하는 나의 존재가 아무리 확실하다 해도 의심하는 사실은 불완전함의 상징이었다. 불완전자는 완전자에 의해서만 존재하게 되며, 이를 통해 그는 신의 존재를 증명하였다. 또한 그는 신이 창조한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의 본질을 연장성으로 해석함으로써 기계론적 자연과학의 단서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김문자 외 -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 본문1권, 선곡집1권, 심설당
동아 출판사(1982) - 동아 원색 세계 대백과 사전
존 코팅엄 - 데카르트, 궁리필로소피
전지호(1998) - 음악적 공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음악학 박사학위논문
F. J. Lehman(1976) - 음악형식과 분석, 수문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