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제국으로의 발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유럽으로의 창을 뚫다 : 표트르 대제의 개혁
II. 표트르 개혁
III. 제정 러시아의 성립(1721년) 및 시베리아 정복

본문내용

전개될 러시아인의 민족적 특성에 유럽문화를 최초로 결합시켰다.
표트르는 산술 및 항해학교, 해군사관학교 등을 세웠다. 결국 표트르가 세운 학교들은 대부분 직업적이고, 전문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기술자 양성을 위한 산술학교, 북방전쟁 수행의 주역인 해군을 배양시킨 항해학교, 하사관 양성을 위한 위수학교 등 모두 실용적인 관점에서 직업교육을 우선시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중등교육을 받기 위한 기초교육의 확산에도 주력하여 그가 죽기 1년 전인 1724년 당시 110개의 세속적인 초등학교가 설립되기까지 하였다. 이러한 교육기관에서 훈련받은 인재들이 개혁 관료로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표트르 대제의 찬미자이며 우파 지식인이었던 역사가 포고진은 표트르의 개혁이 국민생활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감나게 묘사하고 있다.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를 위해 대단한 일을 했다. 눈에 보여도 믿지 않고, 한없이 나아가도 다다를 수가 없다. 우리가 눈을 뜨기만 하면, 조금이라도 움직이기만 하면, 집에서, 거리에서, 교회에서, 학교에서, 법정에서, 군부대에서, 산책로에서, 그야말로 도처에서 그와 맞닥뜨리게 된다.
III. 제정 러시아의 성립(1721년) 및 시베리아 정복
1721년 북방전쟁이 러시아의 승리로 끝나고 그해 10월 스웨덴과 니슈타트 조약이 체결되었다. 원로원 의원들은 감사와 찬탄의 마음으로 자신들의 군주에게 ‘조국의 아버지, 황제(임페라토르)’의 칭호를 증정했다. 이로써 러시아 제국이 탄생했다. 이제 러시아는 자신의 존재를 걸고 주변의 강대국과 싸우던 시대에서 벗어나, 세계의 패권을 다투는 대국으로서 안팎에 세력을 팽창시켜 나가게 되었다. 러시아는 표트르 대제가 일구어 놓은 이러한 토양으로부터 새로운 야심과 희망을 부풀리고 문화와 군사, 과학 모든 면에서 새로운 성과를 내기 시작한다. 그와 더불어 19세기의 잔혹한 압제와 20세기의 대변동으로 이어지는 길도 열리기 시작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은 이제 첫발을 내디딘데 지나지 않았다.
러시아의 전통적인 팽창정책은 흑해방면으로의 남하정책과 유럽방면으로의 진출, 그리고 시베리아 쪽으로의 동진정책이었다. 시베리아 방면으로의 진출은 일찍부터 시작되어 우랄산맥을 넘어 동진을 계속하였으며, 17세기 중엽에는 오호츠크 해에 이르고, 표트르 대제 때에는 남쪽으로 진출을 꾀하였으나. 흑룡강방면에서 중국의 청의 제지를 받고, 네르친스크(Nerchinsk) 조약(1689)을 체결하였다. 그 후 방향을 다시 동쪽으로 돌려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에는 캄차카 반도에 달하고, 예카테리나 2세 때는 알래스카를 차지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예카테리나가 주력한 것은 유럽과 흑해방면으로의 진출이었다. 유럽으로의 진출은 폴란드의 분할로 구체화되었으며, 남하정책은 즉위 초에 투르크와 싸워 1174년에 흑해 연안 일대와 크리미아의 일부를 획득하고, 흑해의 자유항해권과 보스포러스 및 다다넬스 해협의 통과권을 얻었다. 이렇게 하여 러시아 대제국이 성립한 것이다.
<시베리아로 뻗어나가는 러시아>
<예카테리나 여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8.25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73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