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표
2. 실험 배경
3. 예비 문제
4. 실험내용
2. 실험 배경
3. 예비 문제
4. 실험내용
본문내용
는지 알아보자.
#목소리 구별
TV를 보면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똑같이 흉내 내는 연예인을 자주 볼 수 있다. 귀로 들어서는 어느 쪽이 진짜 목소리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똑같지만 푸리에 변환을 활용하면 구별이 가능하다.
두 소리의 성분들을 추출한 뒤 가장 진폭이 큰 성분의 진동수부터 시작해서 2번째, 3번째 … 순서로 비교해 가다 보면 어느 부분부터는 그 성분의 진동수가 달라진다.
이러한 방법은 영화 ‘그 놈 목소리’처럼 피해자를 협박한 범인의 전화 목소리와 용의자의 목소리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때도 활용된다. 또 현재 기술로도 주인의 목소리에만 반응하는 자동문이나 로봇을 만들 수 있다.
#잡음 제거
첨단기기를 통해 소리를 먼 곳으로 전송할 때는 여러 이유로 잡음이 섞이게 된다. 하지만 전달하려는 소리와 잡음이 섞인 소리를 모두 푸리에 변환해 비교하면 잡음이 주로 어떤 주파수들로 구성되었는지 알 수 있어 잡음 제거가 가능하다.
실제로 전화기는 잡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걸러내도록 제조되는데 잡음과 동일한 주파수의 음성성분도 함께 차단된다. 물론 목소리는 잡음과 다른 주파수 성분이 많기 때문에 통화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만약 상대방의 전화 목소리가 직접 대화할 때 목소리와 다르다고 느낀다면 푸리에 변환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양한 소리를 내는 전자 악기
푸리에 변환은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 쪽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단순한 모양의 파동 몇 개를 합쳐 복잡한 모양의 파동을 만드는 것인데, 신시사이저나 디지털 피아노 등은 이 원리를 이용해 수십 가지의 악기 소리를 낼 수 있다.
흔히 사람들은 전자악기 내부에 각각의 악기 소리에 해당되는 회로가 모두 들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악기에는 몇 가지 주파수의 단순한 파동 발생 회로만 갖고 있으며 연주자가 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성분만 적당한 비율로 합쳐서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영상 노이즈 제거
음성신호를 제작·전송할 때 잡음이 끼어드는 것처럼 영상 신호도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섞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노이즈라고 하는데 사진을 확대할 때 흐릿하게 번져 보이는 것도 노이즈 때문이다. 이때 동영상의 앞뒤 장면을 각각 푸리에 변환해 비교하면 노이즈에 해당하는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노이즈 성분을 하나씩 제거하다 보면 어느 정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영상 자동 인식
주민등록증에 있는 지문을 저장할 때도 푸리에 변환이 활용된다. 먼저 지문 영상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성분을 추출한 뒤, 다른 사람의 지문과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의 성분만 남기고 더 자세한 성분들은 제거한다. 푸리에 변환을 하지 않고 지문 정보를 보관하면 엄청난 저장 공간이 필요하며, 나중에 지문을 대조할 때도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지문뿐 아니라 인간의 얼굴에도 적용이 가능해 어떤 로봇은 사람 얼굴이 갖는 성분들을 기억한 뒤 카메라에 비친 물건이 사람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데도 활용된다.
※ 세계일보 사회 | 2007.03.26 발췌
#목소리 구별
TV를 보면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똑같이 흉내 내는 연예인을 자주 볼 수 있다. 귀로 들어서는 어느 쪽이 진짜 목소리인지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똑같지만 푸리에 변환을 활용하면 구별이 가능하다.
두 소리의 성분들을 추출한 뒤 가장 진폭이 큰 성분의 진동수부터 시작해서 2번째, 3번째 … 순서로 비교해 가다 보면 어느 부분부터는 그 성분의 진동수가 달라진다.
이러한 방법은 영화 ‘그 놈 목소리’처럼 피해자를 협박한 범인의 전화 목소리와 용의자의 목소리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때도 활용된다. 또 현재 기술로도 주인의 목소리에만 반응하는 자동문이나 로봇을 만들 수 있다.
#잡음 제거
첨단기기를 통해 소리를 먼 곳으로 전송할 때는 여러 이유로 잡음이 섞이게 된다. 하지만 전달하려는 소리와 잡음이 섞인 소리를 모두 푸리에 변환해 비교하면 잡음이 주로 어떤 주파수들로 구성되었는지 알 수 있어 잡음 제거가 가능하다.
실제로 전화기는 잡음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걸러내도록 제조되는데 잡음과 동일한 주파수의 음성성분도 함께 차단된다. 물론 목소리는 잡음과 다른 주파수 성분이 많기 때문에 통화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만약 상대방의 전화 목소리가 직접 대화할 때 목소리와 다르다고 느낀다면 푸리에 변환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양한 소리를 내는 전자 악기
푸리에 변환은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내는 쪽으로 적용할 수 있다. 단순한 모양의 파동 몇 개를 합쳐 복잡한 모양의 파동을 만드는 것인데, 신시사이저나 디지털 피아노 등은 이 원리를 이용해 수십 가지의 악기 소리를 낼 수 있다.
흔히 사람들은 전자악기 내부에 각각의 악기 소리에 해당되는 회로가 모두 들어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악기에는 몇 가지 주파수의 단순한 파동 발생 회로만 갖고 있으며 연주자가 악기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성분만 적당한 비율로 합쳐서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영상 노이즈 제거
음성신호를 제작·전송할 때 잡음이 끼어드는 것처럼 영상 신호도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섞이는 경우가 있다. 이를 노이즈라고 하는데 사진을 확대할 때 흐릿하게 번져 보이는 것도 노이즈 때문이다. 이때 동영상의 앞뒤 장면을 각각 푸리에 변환해 비교하면 노이즈에 해당하는 성분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시간이 걸리기는 하지만 노이즈 성분을 하나씩 제거하다 보면 어느 정도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영상 자동 인식
주민등록증에 있는 지문을 저장할 때도 푸리에 변환이 활용된다. 먼저 지문 영상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성분을 추출한 뒤, 다른 사람의 지문과 구별할 수 있는 정도의 성분만 남기고 더 자세한 성분들은 제거한다. 푸리에 변환을 하지 않고 지문 정보를 보관하면 엄청난 저장 공간이 필요하며, 나중에 지문을 대조할 때도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지문뿐 아니라 인간의 얼굴에도 적용이 가능해 어떤 로봇은 사람 얼굴이 갖는 성분들을 기억한 뒤 카메라에 비친 물건이 사람인지 아닌지 구별하는 데도 활용된다.
※ 세계일보 사회 | 2007.03.26 발췌
추천자료
[대학물리학] 파동실험(기주공명) 예비,결과레포트
[기초회로실험][예비]OP-AMP 증폭실험
PWM 실험(예비보고서,실험보고서)
[일반물리실험]영의 이중슬릿 예비보고서
전자회로실험 보고서 (사전 결과)
기초회로실험 KCL, KVL 예비,결과보고서
응용화공기초실험 화학실험교재
전자회로실험 교안
[물리 실험 보고서] 이중 슬릿의 간섭
디지털회로실험 교안
현대물리학 -전자회절 실험
유체실험 - 관로마찰 예비 및 결과 보고서
[물리실험] (예비 + 결과) 컴퓨터를 사용한 측정, 온도의 변화
일[반물리실험 결과보고서] 관성 모멘트 : 회전하는 강체의 회전축에 대한 관성코멘트를 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