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성병 매독의 정의
Ⅲ. 성병 매독의 유형
Ⅳ. 성병 매독의 구분
1. 선천성 매독
2. 후천성 매독
Ⅴ. 성병 매독의 발생빈도
Ⅵ. 성병 매독의 증상
1. 1기 매독
2. 2기 매독
3. 3기 매독
Ⅶ. 성병 매독의 합병증
Ⅷ. 성병 매독의 치료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성병 매독의 정의
Ⅲ. 성병 매독의 유형
Ⅳ. 성병 매독의 구분
1. 선천성 매독
2. 후천성 매독
Ⅴ. 성병 매독의 발생빈도
Ⅵ. 성병 매독의 증상
1. 1기 매독
2. 2기 매독
3. 3기 매독
Ⅶ. 성병 매독의 합병증
Ⅷ. 성병 매독의 치료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더라도 받아야 한다. 또한, 매독은 혈청 음성기에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양전(陽轉) 후 오래된 것일수록 치유되기 어렵다. 현재 페니실린 요법이 주류를 이루며, 합성 페니실린의 내복요법은 치료를 쉽게 이끌어간다. 그리고 에리스로마이신을 내복하기도 한다. 사용량과 치료기간은 증세와 경과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하며, 치료에 성공하더라도 금방 혈청반응이 음전(陰轉)하는 것이 아니므로 치료가 끝난 후에도 때때로 검사를 받아 음성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초기에 진단되면 페니실린 근육 주사로 치료가 쉽게 된다. 선천성 매독의 예방은 임신 전에 부부가 매독검사를 시행하고, 혹 매독에 감염되었더라도 가능하면 빨리 임신 16주 이전에 치료가 실시되어야 한다. 임신 16주까지는 태반의 방벽에 의해 태아감염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감염된 상태에서 배우자와 성관계를 하였을 경우 꼭 매독혈청검사를 받는다.
Ⅸ. 결론 및 제언
매독은 매독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서 전염된다. 성교할 때 상대방의 성기를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보통이지만 때로는 키스를 통해서도 전염된다.
매독은 감염자와 성행위 후 3주일쯤 지났을 때 나타난다. 성기나 입술에 딱딱한 종기가 생기는 데 통증이 없는데다 좀 더 지나면 종기가 없어지므로 병이 나은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나은 것이 아니라 병균이 몸 속 깊이 파고 들어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며칠 후 더 심한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증상이 더 심해지면 머리카락이 빠지고 온몸에 종기가 나며 성기나 얼굴의 살이 문드러진다. 더 진행하면 병균이 뇌나 심장에 까지 침입하여 목숨을 앗아 가기도 한다. 아기를 임신한 여성이 매독균에 감염되면 태아에 치명적이어서 기형아를 낳게 되는 수가 많다.
매독의 검진은 보통 혈액검사로 이뤄지는데 초기의 경우는 검진해 낼 수 없지만 진행된 후 에는 100% 검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독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전문의의 치료를 받으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찬일, 예비신부, 신혼부부를 위한 결혼과 성의학, 내외출판사, 1988
- 남철현,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계축문화사, 2004
- 서원당, 최신성병치료도감, 1983
- 성병과 AIDS는 예방이 최고!, 보건 복지부, 발행년도, 1993
- 질병관리본부, 2005 성병관리지침
- 현대건강연구회,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2006
Ⅸ. 결론 및 제언
매독은 매독균(Treponema Pallidum)에 의해서 전염된다. 성교할 때 상대방의 성기를 통해 전염되는 경우가 보통이지만 때로는 키스를 통해서도 전염된다.
매독은 감염자와 성행위 후 3주일쯤 지났을 때 나타난다. 성기나 입술에 딱딱한 종기가 생기는 데 통증이 없는데다 좀 더 지나면 종기가 없어지므로 병이 나은 것으로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나은 것이 아니라 병균이 몸 속 깊이 파고 들어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며칠 후 더 심한 증세가 나타나게 된다. 증상이 더 심해지면 머리카락이 빠지고 온몸에 종기가 나며 성기나 얼굴의 살이 문드러진다. 더 진행하면 병균이 뇌나 심장에 까지 침입하여 목숨을 앗아 가기도 한다. 아기를 임신한 여성이 매독균에 감염되면 태아에 치명적이어서 기형아를 낳게 되는 수가 많다.
매독의 검진은 보통 혈액검사로 이뤄지는데 초기의 경우는 검진해 낼 수 없지만 진행된 후 에는 100% 검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매독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전문의의 치료를 받으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찬일, 예비신부, 신혼부부를 위한 결혼과 성의학, 내외출판사, 1988
- 남철현,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계축문화사, 2004
- 서원당, 최신성병치료도감, 1983
- 성병과 AIDS는 예방이 최고!, 보건 복지부, 발행년도, 1993
- 질병관리본부, 2005 성병관리지침
- 현대건강연구회, 성병 예방과 치료법, 太乙 출판사,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