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체육][특수체육 시설][특수체육 부모참여][특수체육 움직임훈련][특수체육 사례]특수체육의 정의, 특수체육의 역할, 특수체육의 시설, 특수체육의 부모참여, 특수체육의 움직임훈련, 특수체육의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체육][특수체육 시설][특수체육 부모참여][특수체육 움직임훈련][특수체육 사례]특수체육의 정의, 특수체육의 역할, 특수체육의 시설, 특수체육의 부모참여, 특수체육의 움직임훈련, 특수체육의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특수체육의 정의
1. 장애 영역
2. 장애인 체육의 분류
1) 교정체육
2) 의료체육
3) 치료체육
4) 특수체육

Ⅲ. 특수체육의 역할

Ⅳ. 특수체육의 시설

Ⅴ. 특수체육의 부모참여

Ⅵ. 특수체육의 움직임훈련

Ⅶ. 특수체육의 사례
1. 시각장애아를 위한 체육 활동 프로그램
1) 리듬, 기본운동, 운동개발, 인지운동 활동
2) 작고 큰 장비를 이용한 활동
3) 자아검사, 곡예, 구르기
4) 수중운동
2. 청각장애아를 위한 체육 활동 프로그램
1) 리듬, 기본운동, 움직임의 탐구, 지각운동 활동
2) 기구운동
3) 게임활동
4) 수영
3. 지체장애아의 체육 활동 프로그램
1) 스틱 하키
2) 루우프 배드민턴
3) 소프트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물 속 보행 시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비에 지나치게 의존하게 해서는 안 된다.
수영장 내에서 “턴”을 할 경우 청각신호로 알려 주어야 한다.
2. 청각장애아를 위한 체육 활동 프로그램
· 제1단계 - 초보수준
1) 리듬, 기본운동, 움직임의 탐구, 지각운동 활동
반응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심벌즈, 트라이앵글, 드럼, 탬버린과 같은 타악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써 음악에 흥미를 갖도록 한다. 이것은 남아있는 잔여 청력을 보호하여 주며 리듬은 언어발달에 도움을 준다.
지각운동훈련과 리듬활동을 강조한다. 아울러 몸의 균형, 공간적인 이해, 조정, 통제 등을 향상시키는 운동을 강조한다.
여러 가지 음악의 종류를 가지고 박자를 치며 소리를 내도록 한다. 또한 이것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고 시각적으로 박자를 세어주도록 한다.
2) 기구운동
운동을 하기 전에 청각장애아에게 안전예방대책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아동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기구를 가지고 운동할 때 자신의 방법대로 조작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3) 게임활동
시각적인 시범과 시각적인 보조물을 이용하도록 한다.
챠트에 경기규칙을 쓰고 경기에 대한 예비지식을 게임에 앞서 알도록 한다.
민첩성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술래잡기 게임이나 dodge ball게임을 실시한다.
청각장애인을 돕기 위해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써클게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도자를 따라 벽돌을 뛰어넘는 게임이라든가, 그물을 뛰어넘는 게임 등 술래잡기와 같은 게임형태를 갖추도록 한다.
4) 수영
귀에 급성염증을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는 수영 하는 것을 금하도록 한다.
수영을 위한 의료적인 추천을 유발토록 한다.
수영을 하기 전에 시범을 함으로써 착실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귀를 물속에 넣을 수 없는 사람은 수영법을 수정하여 실시토록하며 수영모자를 사용토록한다.
손의 싸인, 물튀기기와 같은 거승ㄹ 사용하여 표준 신호로 삼는다.
2인 1조의 방법 이용하며 피곤한 증세를 보이면 물 밖으로 나와 쉴 수 있도록 한다.
3. 지체장애아의 체육 활동 프로그램
-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체육프로그램
1) 스틱 하키
인원 : 한 팀에 5~7인
장소 : 옥내외, 어느 쪽이라도 가능함, 인원과 이동능력 등에 맞추어서 코트를 만든다.
용구 : 스틱이나 막대기 10~14개, 축구공, 배구공, 핸드볼 중에서 1개
방법 : 두 팀으로 나누어 골키퍼를 1명씩 배정하고 센터 써클에서 시작하여 하키의 요령으로서 막대기나 스틱을 이용하여 패스, 드리블을 하고 슛에 의하여 득점을 하도록 한다.
규칙 :
① 8~20분 하프
② 1골에 2점
③ 스틱은 허리부분보다 높게 들어 올리지 않는다.(이때 반측일 경우 후리킥을 허용한다.)
④ 골인이 되었을 때 골키퍼가 자기편에게 공을 손으로 굴려서 게임을 다시 시작한다.
⑤ 공이 코트 바깥으로 나갔을 때 그 지점부터 상대방팀의 선수가 공을 굴려서 드로인을 한다.
⑥ 볼이 휠체어 아래로 굴러들어 갔을 경우는 상대방팀의 볼로 인정하여 그 근처에서 부터 굴려서 드로인을 한다.
⑦ 골 에리어 안은 골키퍼 외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이때 반측이 될 경우 패날티 마크로부터 후리킥을 허용한다.)
2) 루우프 배드민턴
루우프 배드민턴은 Fait가 개발한 배드민턴의 변형으로 배드민턴 셔틀과 탁구 패들, 직립된 금속재 루우프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매우 활동적인 게임인데, 배드민턴 보다는 훨씬 좁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배드민턴 보다 장애인을 위해 변형하기가 더 쉽다. 루우프아으로 셔틀을 쳐 넘겨 점수를 올리려는 목적에서 두명이 행한다.
코오트의 규격은 3m×1.5m이며 금속제 루우프의 지름은 60cm로 코오트의 중앙에 세운다. 루우프는 높이 117cm의 직립 포올 위에 고정시킨다. 제한선이 루우프로부터 3피이트 거리의 양 사이드에 그려져 있다.
변형 : 기술이 부족한 장애인이 셔틀을 루우프를 통해 반대편으로 보낼 수 있도록 루우프의 변경을 늘린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루우프를 지주의 측면에 부착 시킨다.
지주를 세울 수 없을 경우에는 줄로 루우프를 천장에 매단다.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다른 줄로 바닥에 고정시킨다, 의자나 휠체어를 사용하여 플레이하는 경우는 루우프의 높이를 낮춘다. 루우프는 무거운 철사나 잘 휘어지는 물질로써 만든다. 끝과 끝을 서로 연결하여 루우프를 만들고 철사나 테이프를 감아 고정시킨다.
3) 소프트볼
인원 : 1팀에 5~7인
장소 : 광장
용구 : 소프트볼 또는 배구공(소프트볼보다 큰 사이즈의 공이 적합함.), 뱃트 또는 곤봉, 이와 비슷한 막대기
방법 : 소프트볼 형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으나, 타자가 베이스를 향하여 달리지 않아도 된다.(그러나 수비 측 베이스와 공격 측 베이스를 나누어서 대리로 달릴 수 있도록 하고, 베이스로 달릴 수 있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된다.)
규칙 :
① 5회전 정도로 실시함.
② 득점 계산
가. 10m라인을 후라이해서 넘었을 경우는 2점.
나. 10m라인을 굴려서 넘었을 경우는 1점.
다. 7~10m사이는 힛트가 되고, 힛트는 3번에 1점으로 계산한다.
③ 아웃이 될 경우
가. 삼진된 경우(반드시 스트라이크, 볼은 카운트하지 않음)
나. 쳐서 날아온 볼이 그라운드에 떨어지기 전에 휠체어나 신체의 일부로 만지거나 닿았을 경우
다. 굴러오는 볼이 정지하기 전에 휠체어나 신체일부로 만지거나 닿았을 경우나, 60°의 형태로 된 코트의 연장선 바깥으로 치거나 굴린 볼은 파울이 됨
참고문헌
김승국 / 적응행동 지침서,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1990
김의수·이인경·최승권 / 특수체육, 서울 : 태근문화사, 1992
구본권 외 9인 / 특수교육학, 서울 : 교육과학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 재활과학연구소 / 특수교육 및 재활의 동향과 전망, 제16회 특수교육 및 재활가학 전문가 초청 국제학술 심포지움 자료, 1998
박희찬 외 5인 / 통합교육 실태의 국제비교, 국립특수교육원, 1996
장경호 / 특수체육 프로그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들의 제반 여건,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 1권, 제 1호, 1993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