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결과
2) 토의 및 고찰
3) 결 론
2) 토의 및 고찰
3) 결 론
본문내용
면서 발생하는 마찰의 증가 등 각종 마찰이 오차의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된다. 낙하운동은 비교적 빠른 움직임인데 그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타이머를 누르는 인간의 감각기관에 의존한 측정 방법도 상당히 큰 오차의 원인이다. 또한 회전운동 중간에 발생하는 소리나 추가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흔들림, 실이 수직에서 틀어짐도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mart Pully와 메인원판사이는 마찰차 형식으로 회전운동에너지가 전달되는데 거기에서 오는 손실을 들 수 있다. 마찰이 없다면 그런 방식의 동력전달이 성립하지 않고 동력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은 마찰이 있어 손실이 있다는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어느 정도 이상의 손실량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어 형식으로 완벽하게 맞춰져 있는 것이 아니므로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시행한 실험 치고는 심한 오차가 발생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렇다고는 해도 여러모로 아쉬운 점이 많은 실험이었다.
3) 결 론
실제 생활에서는 굉장히 많이 사용되지만 이론적으로는 1, 2차원 직선 운동에 비해 상당히 낯선 역학을 직접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회전운동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직선 운동에서는 신경쓰지 않는 세세한 부분도 알게 되었다. 실험에서 추로 메인 원판을 돌리고 또 메인 원판을 통해 Smart Pully를 돌려서 그 각속도를 측정하는 방법보다 메인 원판을 Smart Pully와 같이 센서로 측정 가능하게 개조를 하는 것이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얻은 것도 많고 아쉬운 것도 많은 실험이었다.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로 시행한 실험 치고는 심한 오차가 발생하지는 않은 것 같다. 그렇다고는 해도 여러모로 아쉬운 점이 많은 실험이었다.
3) 결 론
실제 생활에서는 굉장히 많이 사용되지만 이론적으로는 1, 2차원 직선 운동에 비해 상당히 낯선 역학을 직접 접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회전운동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직선 운동에서는 신경쓰지 않는 세세한 부분도 알게 되었다. 실험에서 추로 메인 원판을 돌리고 또 메인 원판을 통해 Smart Pully를 돌려서 그 각속도를 측정하는 방법보다 메인 원판을 Smart Pully와 같이 센서로 측정 가능하게 개조를 하는 것이 오차를 줄이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얻은 것도 많고 아쉬운 것도 많은 실험이었다.
추천자료
지표의 부등가열실험(실험보고서)
[실험보고서] 경계층 실험
[실험보고서] 원기둥의 항력 실험
[실험보고서] 코발트 배위 화합물 합성실험
[물리실험보고서]Dia,Para,Ferromagnetism_예비보고서
[물리실험보고서]Dia,Para,Ferromagnetism 결과보고서
[물리실험보고서]Frank 예비보고서
[물리실험보고서] 길이의 측정 예비,결과보고서
[생물학 실험보고서] 수용성세포 (Competent cell) 준비실험
[화학실험보고서] 용액의 농도결정 예비 및 결과 보고서
[실험보고서] PH meter(미터) 실험
[실험보고서] 어는 점 내림법에 의하여 용질의 분자량을 측정 : 이 실험을 통해서 어는 점 내...
[실험보고서] 보일의 법칙 (Boyle`s Law) 실험
[환경실험보고서] 부영양화(富營養化) 실험 : 하천과 호수에서 인 및 질소가 부영양화에 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