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보육정보센터의 목적
Ⅲ. 보육정보센터의 현황
1. 운영 주체
2. 운영비
3. 종사자
4. 인터넷 홈페이지 사업
5. 기타 사업
Ⅳ. 보육정보센터의 관련법규
Ⅴ. 보육정보센터의 설치운영
Ⅵ. 보육정보센터의 활성화 방안
1. 시‧도에 보육정보센터의 확대 설치를 통한 중앙과 연계 체계 구축
2. 중앙 및 지역보육정보센터 기능의 차별화 및 전문화
1) 중앙보육정보센터의 기능
2) 지역보육정보센터의 기능
3.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전문화
4.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의 현실화
참고문헌
Ⅱ. 보육정보센터의 목적
Ⅲ. 보육정보센터의 현황
1. 운영 주체
2. 운영비
3. 종사자
4. 인터넷 홈페이지 사업
5. 기타 사업
Ⅳ. 보육정보센터의 관련법규
Ⅴ. 보육정보센터의 설치운영
Ⅵ. 보육정보센터의 활성화 방안
1. 시‧도에 보육정보센터의 확대 설치를 통한 중앙과 연계 체계 구축
2. 중앙 및 지역보육정보센터 기능의 차별화 및 전문화
1) 중앙보육정보센터의 기능
2) 지역보육정보센터의 기능
3.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전문화
4.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의 현실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우선적으로 그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Ⅴ. 보육정보센터의 설치운영
(1) 각 시도지사는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이 보육정보센타를 활성화하여 영유아의 보육에 대한 제반정보제공 및 상담을 통하여 보육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주민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 국고보조 시범 보육정보센타는 관할 시도내의 전체 보육시설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시도지사가 설치운영 전반을 지원지도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관, 보육시설, 아동상담소, 보육시설연합회지부 등을 활용, 별도의 사무실을 확보하고 센터장, 보육지도원, 영양사 등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실질적인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보육정보센타에는 관내 보육시설의 현황을 비치하여 보육대상 아동이 원활하게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담 및 제반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5) 시도지사는 보육정보센타 설치운영 현황을 매반기별로 작성, 매반기 익월 20일까지 복지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Ⅵ. 보육정보센터의 활성화 방안
1. 시도에 보육정보센터의 확대 설치를 통한 중앙과 연계 체계 구축
- 현재 설치운영 중인 보육정보센터(중앙 및 6개 광역시)이외에 9개 도에 1개소씩 연차적으로 설치운영한다.
확대 설치운영에 필요한 예산은 1개 소당 총 2억원(인건비 1억원, 사업비 7천만 원, 임대료 3천만 원)을 국고지원한다.
2. 중앙 및 지역보육정보센터 기능의 차별화 및 전문화
1) 중앙보육정보센터의 기능
① 영유아 보육 관련 제반 정보의 수집관리제공, ② 각 지역보육정보센터와의 연계망 구축을 통한 정보 공유, ③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재교육 실시 등
2) 지역보육정보센터의 기능
① 지역특성에 적합한 영유아의 보육과 관련된 정보 지원, ② 지역특성에 적합한 사업의 개발실시, ③ 각 지역 보육종사자의 교육과 보육교사 인력 pool system의 개발실시 등
3.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전문화
- 현 보육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을 담당하는 ‘보육지도원’을 ‘보육전문요원’으로 개칭하고, 전산업무전담하는 ‘보육정보관리요원’ 직을 신설한다.
- 센터장의 자격을 ‘보육전문요원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보육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로 하여 보육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한다.
4.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의 현실화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을 현재 상담실, 도서실, 사무실로 되어 있는 것을 인터넷(전산) 자료실과 사무실로 재조정한다.
참고문헌
- 강신영, 인터넷을 활용한 유아 컴퓨터 교육, 제 1회 보육시설 종사자 컴퓨터 활용 교육 교재, 부산광역시 보육정보센터·부산대학교 부설 영유아보육연구소, 2001
- 부산광역시 보육정보센터, 부산광역시 보육통계, 2002
-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2000
- 이대균, 중앙 및 광역시 보육정보센타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8집, 1999
- 이옥, 한국 영유아 보육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2000
- 중앙보육정보센터, 전국 보육시설 현황 DB 자료, 2000
Ⅴ. 보육정보센터의 설치운영
(1) 각 시도지사는 관할 시장군수구청장이 보육정보센타를 활성화하여 영유아의 보육에 대한 제반정보제공 및 상담을 통하여 보육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는 일반주민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2) 국고보조 시범 보육정보센타는 관할 시도내의 전체 보육시설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시도지사가 설치운영 전반을 지원지도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관, 보육시설, 아동상담소, 보육시설연합회지부 등을 활용, 별도의 사무실을 확보하고 센터장, 보육지도원, 영양사 등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실질적인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보육정보센타에는 관내 보육시설의 현황을 비치하여 보육대상 아동이 원활하게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담 및 제반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5) 시도지사는 보육정보센타 설치운영 현황을 매반기별로 작성, 매반기 익월 20일까지 복지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Ⅵ. 보육정보센터의 활성화 방안
1. 시도에 보육정보센터의 확대 설치를 통한 중앙과 연계 체계 구축
- 현재 설치운영 중인 보육정보센터(중앙 및 6개 광역시)이외에 9개 도에 1개소씩 연차적으로 설치운영한다.
확대 설치운영에 필요한 예산은 1개 소당 총 2억원(인건비 1억원, 사업비 7천만 원, 임대료 3천만 원)을 국고지원한다.
2. 중앙 및 지역보육정보센터 기능의 차별화 및 전문화
1) 중앙보육정보센터의 기능
① 영유아 보육 관련 제반 정보의 수집관리제공, ② 각 지역보육정보센터와의 연계망 구축을 통한 정보 공유, ③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재교육 실시 등
2) 지역보육정보센터의 기능
① 지역특성에 적합한 영유아의 보육과 관련된 정보 지원, ② 지역특성에 적합한 사업의 개발실시, ③ 각 지역 보육종사자의 교육과 보육교사 인력 pool system의 개발실시 등
3. 보육정보센터 종사자의 전문화
- 현 보육관련 정보제공 및 상담을 담당하는 ‘보육지도원’을 ‘보육전문요원’으로 개칭하고, 전산업무전담하는 ‘보육정보관리요원’ 직을 신설한다.
- 센터장의 자격을 ‘보육전문요원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보육사업에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로 하여 보육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한다.
4.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의 현실화
보육정보센터의 설치 기준을 현재 상담실, 도서실, 사무실로 되어 있는 것을 인터넷(전산) 자료실과 사무실로 재조정한다.
참고문헌
- 강신영, 인터넷을 활용한 유아 컴퓨터 교육, 제 1회 보육시설 종사자 컴퓨터 활용 교육 교재, 부산광역시 보육정보센터·부산대학교 부설 영유아보육연구소, 2001
- 부산광역시 보육정보센터, 부산광역시 보육통계, 2002
- 보건복지부, 보육사업안내, 2000
- 이대균, 중앙 및 광역시 보육정보센타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8집, 1999
- 이옥, 한국 영유아 보육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한국영유아보육학, 2000
- 중앙보육정보센터, 전국 보육시설 현황 DB 자료, 2000
추천자료
영유아보육법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정책][영유아보육서비스][보육정책]국내외 영유아보육의 동향과 영유...
[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사업][영유아보육정책]영유아보육(영유아보육사업) 현황, 영유아보육...
보육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아동복지E형)영유아보육서비스 중 한 유형을 선택하여 그 필요성과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
창업보육센터(BI)의 의미, 창업보육센터(BI)의 필요성, 창업보육센터(BI)의 실태, 창업보육센...
[보육][장애아보육][장애아동보육]보육의 성격, 보육의 동향, 장애아보육(장애아동보육)의 현...
[대학 창업][대학][창업][대학 창업 중요성][대학 창업 창업보육센터][대학 창업 설문조사][...
[창업보육센터][창업]창업보육센터의 유형, 창업보육센터의 운영능력, 창업보육센터의 성공요...
[제주도지역 중소기업][제주도][중소기업][기업][창업보육센터]제주도지역 중소기업의 특성, ...
[창업보육센터][창업]창업보육센터의 의미, 창업보육센터의 평가, 창업보육센터의 기대효과, ...
[아동복지4D] 보육대상에 따른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유형 중 1가지를 선택하여 개념,복지적 의...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우리나라의 평가 - 평가, 유치원평가,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