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 요 -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전략과 주요 정책과제
◉산업발전지료의 설정
1.대구의 전통산업국제화(섬유)
2. 대구의 전통산업국제화(기계산업)
3.대구의 첨단산업국제화(한방 바이오산업)
4.대구의 첨단산업의 국제화(전자․정보산업)
동남권 IT산업의 핵심거점
-결 론-
◉대구광역시 산업발전 기본전략과 주요 정책과제
◉산업발전지료의 설정
1.대구의 전통산업국제화(섬유)
2. 대구의 전통산업국제화(기계산업)
3.대구의 첨단산업국제화(한방 바이오산업)
4.대구의 첨단산업의 국제화(전자․정보산업)
동남권 IT산업의 핵심거점
-결 론-
본문내용
산업구조
-섬유, 기계 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
*지역 출신 IT인력의 역외유출 지속
업종
전국
대구
경북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전기전자
4,976
75,128
65(1.3)
504(0.7)
93(1.9)
3,384(4.5)
정보처리
485
3,363
16(3.3)
198(5.9)
3(0.6)
26(0.8)
합계
5,461
78,491
81(1.5)
702(0.9)
96(1.8)
3,410(4.3)
주:()내는 전국 대비 비중(%)임.
자료: 한국산업기술 진흥협회 내부자료(2003.6)
위의 자료와 같이 대구경북지역의 IT관련 기업부설연구소는 1777개소, 연구원 수는 4,112명으로 전국의 3.3%와 5.2%를 점하고 있다. 이중 대구는 총 81개소 연구소와 702명의 연구원을 보유하는데 그쳐 경북에 비해 연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대구지역에 배출되는 우수한 IT인력을 흡수할 만하 IT기업이 대구지역에는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구의 유능한 IT인력들의 역외유출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이자료는 보여주고 있다.
*전통산업의 침체로 수요기반 약화
-지방재정 취약으로 실질 지원의 한계
▷대구의 전자정보산업의 발전전략
기본방향
추진 전략
지역강점형 IT 특화분야 집중 육성
지역의 혁신역량 및 성장잠재력에 기초한 특화분야의 선택
초광역 IT산업 클러스터 육성
구미국가산업단지와의 기능적 분업 및 연계발전 전략 추진
IT산업 육성 인트라 확충
IT산업 지역혁신자원의 통하연계화를 주도할 지원시실 및 조직의 확보
산학연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 활성화
산학연 연계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시장지향형 연구개발 및 산업화 촉진
IT산업 생산기반 확충
산업단지,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등의 집적지를 중심으로 생산기반 확대
동남권 IT산업의 핵심거점
-대구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의 생산기반 부재로 인하여 국내 최대규모의 전문인력이 역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기존 국내 최대 집적지인 구미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차별적이며 상호보완적인 연계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취약한 산학연관 연계협력체계와 지식활용 및 축적 그리고 공유체계강화를 위하여 기준 산업단지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등 집적지를 중심으로 산업생산기반을 강화토록
-단기적으로 대구테크노파크, 동대구벤처밸리, 대구소프트타운, 성서첨단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중소벤처형 IT산업 집적지를 거점으로 대학부설연구소와 연계한 연관기업간의 유기적 연계 및 지원기능을 강하도록 하였다.
§대구테크노파크
대학, 중앙정부, 지방정부, 산업체의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을 통하여 벤처기업의 창출과 성 장을 촉진하기위해 1998년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역졍제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지역별 시범 테 크노파크를 선정하고 신기술 개발과 동시에 사 업화를 추진함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주도하는 사업이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광역시를 지식기반의 첨단 디지털산업 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산업관련 인프라 구축과 이의 효율적관리운영을 통한 벤처기업육성 및 지역 관련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현재 대구소프트에어지원센터 및 대구문화산업지원센터와 더불어 계명대학교 대명동 캠퍼스 일대를 대구소프트타운으로 조성하여 지역 우수 IT기업에 안정된 성장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 사업계획
§인프라 확충분야
모바일단말
*모바일단말상용화지원센터 설립
-연구개발, 인력양성, 테스트베드, 창업보육, 상용화 등 지원
차세대반도체
*차세대반도체 기술연구센터 설립
-차세대성장동력산업별 핵심 SOC개발
임베디드 S/W
*임베디드 S/W지원센터[DIP]설립
-임베디드 S/W 개발장비 구축
-산업체 수요에 기초한 핵심응용기술 개발
-임베디드 S/W 벤처기업의 창업 및 육성 지원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소재부품기술지원센터 설립
-부품소재 설계지원, 시험장비 구축, 공동연구기반 구축
*세천, 성서4차 등에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의 집적화 유도
§구조 고도화
*시장지향적 연구개발 및 지역내 기술확산 촉진
*지역대학과 연계한 IT산업 기술인력 양성체계 구축
*IT산업 창업보육 지원
-결 론-
6,70년대, 섬유산업의 고도 발전으로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 중심도시의 역할을 톡톡히 했더 대구가, 이제는 점점 발전하는 타시도에 추월 당하고 있다. 내수 경기가 침체되고 수출률도 하락하고 있다.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는 곳으로 주저앉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 대구의 산업 환경과 기업 환경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 시급하다.
섬유·패션 산업의 수도화의 일환인 밀라노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패션 어패럴밸리(패션문화거리, 패션쇼핑단지, 컨벤션마트, 이벤트광장 등)를 조성하여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패션디자인개발지원센터 건립 등 지역 섬유산업의 인프라에 중점투자하여 국제적 섬유산업의 중심도시로 육성한다.
섬유패션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섬유 메카로서의 대구 발전상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21세기형 첨단산업의 기반 구축해야 한다.
대구·경북지역을 대표하는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건설하고 첨단연구·기술지원기반 구축하고 반도체, 정보통신, 자동차산업 등 21세기 성장주도산업 및 외국인 투자기업의 유치, 시내공단 이전수요 대처를 위해 추진중인 위천국가산업단지는 정부 정책 결정 후 추진을 검토한다.
도시정보화를 추진해야 한다.
정보통신산업 육성 특별구역을 지정하여 대구·경북지역 정보통신산업 거점 및 지역정보기반 구축의 중심지로 개발한다.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종합정보체계와 중소기업 발전기반 구축해야 한다.
벤처기업 등의 창업환경 조성과 지역중소기업의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기반과 지역중소기업의 국제화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특화·도시형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기능인력의 역내공급체계를 구축한다.
대구테크노파크 사업과 연계한 벤쳐타운 등을 개발
지역특화된 전략산업 육성으로 산업거점도시의 기능을 제고하고, 동북아의 R&D 중심 및 영남권 중추도시기능을 확보한 신성장 거점건설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섬유, 기계 산업에 대한 과도한 투자
*지역 출신 IT인력의 역외유출 지속
업종
전국
대구
경북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연구소 수
연구원 수
전기전자
4,976
75,128
65(1.3)
504(0.7)
93(1.9)
3,384(4.5)
정보처리
485
3,363
16(3.3)
198(5.9)
3(0.6)
26(0.8)
합계
5,461
78,491
81(1.5)
702(0.9)
96(1.8)
3,410(4.3)
주:()내는 전국 대비 비중(%)임.
자료: 한국산업기술 진흥협회 내부자료(2003.6)
위의 자료와 같이 대구경북지역의 IT관련 기업부설연구소는 1777개소, 연구원 수는 4,112명으로 전국의 3.3%와 5.2%를 점하고 있다. 이중 대구는 총 81개소 연구소와 702명의 연구원을 보유하는데 그쳐 경북에 비해 연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대구지역에 배출되는 우수한 IT인력을 흡수할 만하 IT기업이 대구지역에는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구의 유능한 IT인력들의 역외유출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이자료는 보여주고 있다.
*전통산업의 침체로 수요기반 약화
-지방재정 취약으로 실질 지원의 한계
▷대구의 전자정보산업의 발전전략
기본방향
추진 전략
지역강점형 IT 특화분야 집중 육성
지역의 혁신역량 및 성장잠재력에 기초한 특화분야의 선택
초광역 IT산업 클러스터 육성
구미국가산업단지와의 기능적 분업 및 연계발전 전략 추진
IT산업 육성 인트라 확충
IT산업 지역혁신자원의 통하연계화를 주도할 지원시실 및 조직의 확보
산학연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 활성화
산학연 연계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시장지향형 연구개발 및 산업화 촉진
IT산업 생산기반 확충
산업단지, 지식기반산업집적지구 등의 집적지를 중심으로 생산기반 확대
동남권 IT산업의 핵심거점
-대구는 전자정보기기산업의 생산기반 부재로 인하여 국내 최대규모의 전문인력이 역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기존 국내 최대 집적지인 구미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차별적이며 상호보완적인 연계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취약한 산학연관 연계협력체계와 지식활용 및 축적 그리고 공유체계강화를 위하여 기준 산업단지와 벤처기업육성촉진지구 등 집적지를 중심으로 산업생산기반을 강화토록
-단기적으로 대구테크노파크, 동대구벤처밸리, 대구소프트타운, 성서첨단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중소벤처형 IT산업 집적지를 거점으로 대학부설연구소와 연계한 연관기업간의 유기적 연계 및 지원기능을 강하도록 하였다.
§대구테크노파크
대학, 중앙정부, 지방정부, 산업체의 유기적인 협력체제 구축을 통하여 벤처기업의 창출과 성 장을 촉진하기위해 1998년 국가 경쟁력 강화와 지역졍제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지역별 시범 테 크노파크를 선정하고 신기술 개발과 동시에 사 업화를 추진함으로서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국가 경쟁력의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주도하는 사업이다.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대구광역시를 지식기반의 첨단 디지털산업 중심도시로 육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산업관련 인프라 구축과 이의 효율적관리운영을 통한 벤처기업육성 및 지역 관련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현재 대구소프트에어지원센터 및 대구문화산업지원센터와 더불어 계명대학교 대명동 캠퍼스 일대를 대구소프트타운으로 조성하여 지역 우수 IT기업에 안정된 성장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 사업계획
§인프라 확충분야
모바일단말
*모바일단말상용화지원센터 설립
-연구개발, 인력양성, 테스트베드, 창업보육, 상용화 등 지원
차세대반도체
*차세대반도체 기술연구센터 설립
-차세대성장동력산업별 핵심 SOC개발
임베디드 S/W
*임베디드 S/W지원센터[DIP]설립
-임베디드 S/W 개발장비 구축
-산업체 수요에 기초한 핵심응용기술 개발
-임베디드 S/W 벤처기업의 창업 및 육성 지원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소재부품기술지원센터 설립
-부품소재 설계지원, 시험장비 구축, 공동연구기반 구축
*세천, 성서4차 등에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의 집적화 유도
§구조 고도화
*시장지향적 연구개발 및 지역내 기술확산 촉진
*지역대학과 연계한 IT산업 기술인력 양성체계 구축
*IT산업 창업보육 지원
-결 론-
6,70년대, 섬유산업의 고도 발전으로 우리나라에서 세 번째 중심도시의 역할을 톡톡히 했더 대구가, 이제는 점점 발전하는 타시도에 추월 당하고 있다. 내수 경기가 침체되고 수출률도 하락하고 있다. 더 이상 기대할 것이 없는 곳으로 주저앉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 대구의 산업 환경과 기업 환경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이 시급하다.
섬유·패션 산업의 수도화의 일환인 밀라노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패션 어패럴밸리(패션문화거리, 패션쇼핑단지, 컨벤션마트, 이벤트광장 등)를 조성하여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패션디자인개발지원센터 건립 등 지역 섬유산업의 인프라에 중점투자하여 국제적 섬유산업의 중심도시로 육성한다.
섬유패션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섬유 메카로서의 대구 발전상을 대외적으로 홍보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21세기형 첨단산업의 기반 구축해야 한다.
대구·경북지역을 대표하는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건설하고 첨단연구·기술지원기반 구축하고 반도체, 정보통신, 자동차산업 등 21세기 성장주도산업 및 외국인 투자기업의 유치, 시내공단 이전수요 대처를 위해 추진중인 위천국가산업단지는 정부 정책 결정 후 추진을 검토한다.
도시정보화를 추진해야 한다.
정보통신산업 육성 특별구역을 지정하여 대구·경북지역 정보통신산업 거점 및 지역정보기반 구축의 중심지로 개발한다.
도시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종합정보체계와 중소기업 발전기반 구축해야 한다.
벤처기업 등의 창업환경 조성과 지역중소기업의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기반과 지역중소기업의 국제화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특화·도시형산업 육성을 위한 기술·기능인력의 역내공급체계를 구축한다.
대구테크노파크 사업과 연계한 벤쳐타운 등을 개발
지역특화된 전략산업 육성으로 산업거점도시의 기능을 제고하고, 동북아의 R&D 중심 및 영남권 중추도시기능을 확보한 신성장 거점건설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관광산업의 경제적 영향
국제 경영에서 문화적 차이의 극복
브랜드 쉬메릭을 통해 본 섬유산업의 실패원인과 개선방안
국제 경영 연구
국제경영전략에 대하여
국제무역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중소기업의 국제 (해외) 마케팅 믹스 - 촉진 전략 성공 사례( 뉴스타 광학)
kog국제경영전략
국제경영전략 수립
평화산업의 국제경영전략
국제경영의 의의(정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동아시아기업, 구조조정]동아시아기업의 외부환경, 동아시아기업의 구조조정, 동아시아기업...
우리나라 해외직접투자 유치방안,외국인 직접투자,해외직접투자 유치(신용도,자본이동성,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