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 이야기 - 철학함의 근본이 되는 도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현대철학은 어디에서 시작 되었을까?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리쾨르

본문내용

서양 철학 이야기
철학함의 근본이 되는 도구




현대철학은 어디에서 시작 되었을까?
━━━━━━━━━────────

[고대와 중세]→ 서로마제국 멸망

[중세와 근대]→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현 대]→ 19세기 말-20세기 초

[현 대 철 학]→ 언어로부터 시작함,
         현대철학은 더 이상 인간을 내재적 관점과 각도에서 다루지 않고 인간 개체를 외재적으로 포섭하는 상황과 구조 혹은 세계의 시각에서 접근하기 시작함




비트겐슈타인

소쉬르

리쾨르




비트겐슈타인

   ↓

현대 철학의 지평을 연 천재였다.

 ≪ 사 진 ≫

[러 셀]

“그는 내게 처음에 제자로 왔다가
그 뒤 동료로 지냈으며 결국에는 스승이 되었다”




[세계를 검증하라]
         \
         〔러셀 & 비트겐슈타인〕

비트겐슈타인 전기철학

  ➟ “논리-철학 논고”

  ➠ 러셀의 입장과 상당부분 겹침

“세계는 우리가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기로 작정하든
그 자체로서 존재하는 사실을 포함하고 있다.”




(러 셀?)

“이 세계에서 언어는
실재의 그림이나 기술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

러셀의 기술이론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가면

      ↓

세계를 기술하는 문장은
참과 거짓을
따지기에 앞서
의미 있는 것이어야 한다”

기술이론 ⇒ 감각적 대상 ↔ 감각자료(환원)




≪ … 중 략 … ≫




언어의 또 다른 요소-담화
━━━━━━━━━────────

첫째, 언어는 한 사람이 사용하고 그를 통해 소리가 되어 들리지만 그 개인의 언어는 아니다. 즉 개인을 위한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철학의 용어를 빌리면 언어는 탁월하게 지향적이다. 그 어떤 것에 말하지 않고 기록하지 않는 언어란 없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셋째, 말하는 자 또는 기록하는 자의 시공간적 현재성 여부에 따라 그 메시지에 대한 진위나 의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입각해 언어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담화’ 개념을 내놓았는데, 이는 소쉬르의 구조 언어학에 대항하는 개념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1.09.0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004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