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의 해외 진출 실패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SKT 소개

2. 해외 진출 실패사례
(1) 베트남
(2) 미국
(3) 중국
(4) 기타

3. 해외 진출 시사점

본문내용

었다. 이에 1998년 3월, 태국에서 사업 운영을 중단하고 사업권을 매각하였다. 이후 진입 시에 이미 구축되어진 다른 텔레콤 공급자로 인해 진입이 어렵게 되었다.
2) 브라질 ‘CTBC社’
1996년에는 브라질에서 이동통신 시장 참여 기회가 생겨 현지 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사업권 확보를 추진했다. 1997년에는 브라질 CTBC사와 합작하여 사업 제안서를 작성하고 브라질 정부에 제출하여 리우데자네이루 지역에 CDMA를 이용한 제 2 이동전화사업권을 취득하였다. 이후 30여명의 기술진이 파견되어 리우데자네이루와 에스피리토 지역에 대한 엔지니어링 및 기지국 시설을 위한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인해 국내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SK텔레콤의 투자 상황이 위축되었다. 이에 1998년 3월 윌리엄스 투자 회사에 사업권을 매각하였다.
3. 해외 진출 시사점
SK텔레콤은 베트남의 무선 네트워크 시장에 진출하는데 한국 고유의 CDMA 방식의 이동전화 서비스 도입을 결정함에 따라 베트남 국가의 방침에 따라 BCC방식으로 현지 업체인 사이공 포스텔과 제휴를 맺어 베트남 시장의 시장 점유율 4위, 2009년에 가입자 1백만 이상의 쾌거를 이루었다. 그러나 자신들의 고유방식만을 고집하고 국내 시장의 부담을 회피하기 위한 해외로 무리한 사업 확장이 원인이 되어 쓴 고비를 맛보게 되었다.
SK텔레콤의 베트남 진출 사례로부터 배울 수 있는 점은 초기 시장진입 시 제휴를 통해서 직접투자보다는 안전한 방법을 택하는 것이 후에는 지분율 싸움이 일어 날 수 있다는 점과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끈임 없이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이였다. 자신의 강점을 더 개발 시켜서 점유율을 높여가도록 연구 개발에도 힘을 써야하고, 사업 확장 시 구체적인 방안을 가지고 실행으로 옮기는 것이 중요했다. 그리고 단순히 현지를 시장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사회공헌 서비스를 통해 현지인들에게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 주어야 한다는 점 또한 여러 가지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베트남 시장 까지 철수를 하게 된 SK텔레콤의 새로운 목표는 산업생산성 서비스로 2020년까지 매출을 20조로 향상 시키는 것이다. SK텔레콤 정만원 대표이사는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전략은 제휴 위주 전략과 산업생산성 서비스(IPE) 위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외국 기업과의 합작 또는 외국 업체에 대한 지분참여 방식의 투자는 더 이상 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되는 발언으로 볼 수 있다. 정 사장의 이런 발언은 또한 ‘여태까지는 한국 이동통신 1등 업체라는 자부심으로 해외 진출에도 임했지만, 앞으로는 그런 일이 없을 것’이란 의지 표명으로도 읽혀졌고 이제는 이름에 연연하지 않고 철저히 실리 위주의 경영을 펼치겠다는 의미라고 경영전문가들은 해석했다. SK텔레콤은 향후 전략 사업으로 산업생산성 서비스를 내놓았다. 이는 개인고객 위주의 사업 구조에서 탈피해 법인과 산업, 공공 부문 등을 상대로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는 기업 간 거래(B2B) IT 서비스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전략이다. SK텔레콤은 산업생산성 서비스를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해 2020년에 매출 20조 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
정보통신 산업은 그 누구보다 빨리 진입하여 먼저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한국만 해도 SK텔레콤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조급하게 추진하여 막대한 투자비용과 노력을 버리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 좀 더 문화를 이해하고 체계적인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전략수립이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팔 것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현지국의 환경, 정치 문화를 파악하고 목표시장에 대한 확실한 정보와 특성 상황을 알아 수익성과 성장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위의 싱텔사의 예처럼 시장 진입 시에 안정성이 높은 곳을 선택하는 방법도 있겠다. 하지만 안정된 곳일수록 수익 면에서나 진입 면에서나 어려우므로 신흥 국가를 찾는 것도 좋겠지만 이런 곳은 많은 투자와 조사, 장기적 접근이 필요 할 것이고 더욱이 정부의 협조도 얻어야 할 것이다. SK텔레콤에서는 좀 더 문화를 이해하고 정부와의 긴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정부와의 긴밀도를 높임으로서 원활한 재원조달과 투자, 환경구성에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진입도 쉬워 질 것이다.
SK가 지금에서 더 나아가 해외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통신 사업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진출해야한다. 기존 해외 통신 시장도 이미 포화 상태이기 때문에 SK만의 차별화 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진출이 필요하다. 해외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업자들과의 제휴로 T스토어, 멜론 등의 서비스 플랫폼을 탑재함으로써 통신 사업자가 아닌 콘텐츠 유통의 중심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커지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에 맞추어 준비하고 있는 글로벌 앱 스토어(WAC)의 긍정적 반응과 성공으로 글로벌 앱 스토어 시장을 통합, 확대 하여 앱 스토어 기대주로 떠오를 것이다.
일본 통신사와 제휴를 함으로써 휴대폰에 근거리 무선통신(NFC)이라는 기술을 통해 휴대폰을 통한 모바일 결제, 교통카드 서비스, 도어 록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늘어나며,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으로 이어 질 수 있다. 추가적인 해외 진출과 기술개발과 관련 하여서는 휴대폰을 이용해 자동차의 각종 기능을 원격으로 진단하고 제어하는 MIV(Mobile in Vehicle) 서비스 관련해 자동차 회사들과 협력, 공동 개발을 진행하여 자동차 시장이 큰 미국 시장에서 서비스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www.sktelecom.com
www.skbroadband.com
www.tworld.co.kr
www.kt.com
www.lguplus.com
www.seri.org
www.kcc.go.kr
www.kics.or.kr
www.brandstock.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9.07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