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포트)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레포트)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의 유형화
(2) Gibson의 다문화교육 다섯 가지 유형
(3)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 다섯 가지 유형

2.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논의

3. 다문화교육의 유형

4. 다문화교육 강화 방안 제언
(1) 문화의 개념에 가반을 둔 교육
(2) 사회구조적 현상에 기반을 둔 교육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주류와 소수라는 두개의 집단 경험을 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더구나 이러한 다문화교육은 교사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각과 더불어 자신의 문화를 상대화하고, 자신도 여러 문화집단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경험이 가능하도록 다문화교육의 ‘문화’를 규정하고 다문화교육을 이해하도록 구성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2) 사회구조적 현상에 기반을 둔 교육
사회구조적 현상에 기반을 두어 교사의 다문화교육 이해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까지 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많이 논의된 것은 교사들에게 다문화 교수-학습을 위한 자료와 기회를제공하는 것이었다. 특히 교육대학교의 경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교사 개인의 다문화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다문화교수법, 그리고 현상으로서의 다문화사회 이해 등을 익히는 것에 초점을 둔 다문화교육의 이해이다. 이러한 이해가 놓치는 것은 ‘지향점으로서 다문화사회’를 고려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소수집단의 사회적 지위와 인권의 문제, 소수집단을 위한 교육의 평등 등 사회구조적 측면의 다문화 교육 이해이다. 이러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조적 측면을 고려한 다문화 교육과정과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III. 결론
다문화 사회에서 소수집단으로 살아가는 이주민 가정의 자녀가 경험하는 차별과 어려움은 소수집단 개인들의 노력과 변화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인식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인식에서 이러한 인식 유형을 뛰어 넘어, 다문화교육에서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의 인식과 이를 위한 교육적 실천이 중요함을 고려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과 실천에서도 미시적 차원에서의 문화 이해에 초점을 맞춘 다문화교육 이외의 사회구조적이면서 거시적 차원을 고려하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접근도 요구된다.
* 참고자료
조영달박하나(2010).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분석. 시민교육연구
양영자(2008).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Strauss, A. & Corbin, J. (1996). 근거 이론의 이해(김수지신경림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14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1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