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상전원설비
2. 용어의 정의
3. 만세터널의 비상전원
4. 무정전전원장치(UPS)
5. 건축물의 예비전원 충전방식
6.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발전기의 비교
7. 예비전원의 유지관리
2. 용어의 정의
3. 만세터널의 비상전원
4. 무정전전원장치(UPS)
5. 건축물의 예비전원 충전방식
6.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발전기의 비교
7. 예비전원의 유지관리
본문내용
결)
- 발전기 용량 400㎾이상, 1000㎾까지 : 400[AH] (DC12V 200AH × 2개를 2줄 병렬연결)
② 충전기 용량
- 발전기 용량 400㎾미만 : DC24V/10A
- 발전기 용량 400㎾이상 : DC24V/20A
7. 예비전원의 유지관리
1) 비상전원전용의 설비
화재 및 유고시 전원을 일정 시간 유지하여야 하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관심이 필요하다.
소방 펌프의 상용전원 확인 차단기단자의 열화 확인. 전동기 보호장치등의 설정확인을 통한 유지관리
MCC반의 일일 및 주기점검, 노후화된 기기는 기대수명 이전에 교체토록 할 것
터널내 비상전화의 전원과 소화전의 전원등의 점검 (표시등 비사등의 교체)
2)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의 충전과 단자의 부식상태등을 확인
발전기의 소모품 (오일필터, 엔진오일, 에어필터, 축전지 등)의 정기교체로 발전기의 정격유지
급기 및 배기통의 소통이 원활하고 진동의 상태
주기적인 무부하 시운전과 유부하 시운전을 통한 성능유지
ATS의 결함과 차단기의 투입등을 확인
운전반의 릴레이등을 확인하고 예비 릴레이등을 확보
3) 축전지 설비
축전지 입고시 검수 또는 제조일 3개월이내 것으로 선정
부동충전과 균등충전의 시행으로 최상의 컨디션유지
불량셀의 발견과 교체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함 (무보수형으로 통상 3년에서 교체주기)
일상점검을 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토록 관리
적정한 온도유지 온도상승은 수명의 단축과 성능저하의 원인
※ 정기적인 절연측정을 통해 누전체크, 배선용 차단기의 점검시 2인 1조 ‘작업중’표시 및 통보 하며 반드시 안전모, 절연화 등의 착용 후 작업 할 것
- 발전기 용량 400㎾이상, 1000㎾까지 : 400[AH] (DC12V 200AH × 2개를 2줄 병렬연결)
② 충전기 용량
- 발전기 용량 400㎾미만 : DC24V/10A
- 발전기 용량 400㎾이상 : DC24V/20A
7. 예비전원의 유지관리
1) 비상전원전용의 설비
화재 및 유고시 전원을 일정 시간 유지하여야 하므로 정기적인 점검과 관심이 필요하다.
소방 펌프의 상용전원 확인 차단기단자의 열화 확인. 전동기 보호장치등의 설정확인을 통한 유지관리
MCC반의 일일 및 주기점검, 노후화된 기기는 기대수명 이전에 교체토록 할 것
터널내 비상전화의 전원과 소화전의 전원등의 점검 (표시등 비사등의 교체)
2)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의 충전과 단자의 부식상태등을 확인
발전기의 소모품 (오일필터, 엔진오일, 에어필터, 축전지 등)의 정기교체로 발전기의 정격유지
급기 및 배기통의 소통이 원활하고 진동의 상태
주기적인 무부하 시운전과 유부하 시운전을 통한 성능유지
ATS의 결함과 차단기의 투입등을 확인
운전반의 릴레이등을 확인하고 예비 릴레이등을 확보
3) 축전지 설비
축전지 입고시 검수 또는 제조일 3개월이내 것으로 선정
부동충전과 균등충전의 시행으로 최상의 컨디션유지
불량셀의 발견과 교체가 적절히 이루어져야 함 (무보수형으로 통상 3년에서 교체주기)
일상점검을 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토록 관리
적정한 온도유지 온도상승은 수명의 단축과 성능저하의 원인
※ 정기적인 절연측정을 통해 누전체크, 배선용 차단기의 점검시 2인 1조 ‘작업중’표시 및 통보 하며 반드시 안전모, 절연화 등의 착용 후 작업 할 것
추천자료
직류 전원 공급장치 예비 보고서
멀티미터의사용법_예비레포트
전자전기실험 - 실험 2 예비보고서 [전원내부저항, 전압안정 직류전원, DMM의 내부저항]
[예비타당성조사][예비타당성][타당성]예비타당성조사의 개념, 예비타당성조사의 필요성과 예...
[예비타당성분석]예비타당성조사의 정의, 예비타당성조사의 체계와 예비타당성조사의 필요성,...
스마트그리드시스템에서 분산전원 연계시 문제점 해결방안
예비타당성조사의 의미, 예비타당성조사의 기본체계, 예비타당성조사의 범위와 교통사업(교통...
설계실습 2. 전원, DMM의 내부저항 측정장치 설계 - 예비레토트
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 - 예비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