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교안(수배전설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교안(수배전설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접지 설비 ‥‥‥‥‥‥‥‥‥‥‥‥‥‥‥‥‥‥‥ 1
1.접지설비 개요 ‥‥‥‥‥‥‥‥‥‥‥‥‥‥‥‥‥‥‥‥‥‥‥‥‥‥‥ 1
2. 접지의 기본적 이해 ‥‥‥‥‥‥‥‥‥‥‥‥‥‥‥‥‥‥‥‥‥‥‥‥ 1
3 접지의 목적 ‥‥‥‥‥‥‥‥‥‥‥‥‥‥‥‥‥‥‥‥‥‥‥‥‥‥‥‥ 2

(2) 계기용 변성기 ‥‥‥‥‥‥‥‥‥‥‥‥‥‥‥‥‥ 8
1. 변성기의 개요 ‥‥‥‥‥‥‥‥‥‥‥‥‥‥‥‥‥‥‥‥‥‥‥‥‥‥‥ 8
1.1 변성기의 사용 목적 ‥‥‥‥‥‥‥‥‥‥‥‥‥‥‥‥‥‥‥‥‥‥‥ 9
1.2 변성기의 종류 ‥‥‥‥‥‥‥‥‥‥‥‥‥‥‥‥‥‥‥‥‥‥‥‥‥‥ 9
2.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 11
2.1 정격전류 ‥‥‥‥‥‥‥‥‥‥‥‥‥‥‥‥‥‥‥‥‥‥‥‥‥‥‥‥ 11
2.2 정격부담 ‥‥‥‥‥‥‥‥‥‥‥‥‥‥‥‥‥‥‥‥‥‥‥‥‥‥‥‥ 12
2.3 과전류 강도 ‥‥‥‥‥‥‥‥‥‥‥‥‥‥‥‥‥‥‥‥‥‥‥‥‥‥ 12
2.4 과전류 정수 ‥‥‥‥‥‥‥‥‥‥‥‥‥‥‥‥‥‥‥‥‥‥‥‥‥‥ 15
2.5 계기용변성기 2차회로의 접속 ‥‥‥‥‥‥‥‥‥‥‥‥‥‥‥‥‥‥ 16
2.6 CT의 2차측 개방 ‥‥‥‥‥‥‥‥‥‥‥‥‥‥‥‥‥‥‥‥‥‥‥‥ 16
2.7 계기용변류기 2차회로 결선 ‥‥‥‥‥‥‥‥‥‥‥‥‥‥‥‥‥‥‥ 17
2.8 영상전류 검출방법 ‥‥‥‥‥‥‥‥‥‥‥‥‥‥‥‥‥‥‥‥‥‥‥ 22
2.9 접 지 ‥‥‥‥‥‥‥‥‥‥‥‥‥‥‥‥‥‥‥‥‥‥‥‥‥‥‥‥ 25
2.10 제어 케이블의 굵기 선정 ‥‥‥‥‥‥‥‥‥‥‥‥‥‥‥‥‥‥‥‥ 25
3. 계기용 변압기(Voltage Transformer) ‥‥‥‥‥‥‥‥‥‥‥‥‥‥‥‥ 26
3.1. 계기용 변압기의 원리 ‥‥‥‥‥‥‥‥‥‥‥‥‥‥‥‥‥‥‥‥‥‥ 26
3.2 구 조 ‥‥‥‥‥‥‥‥‥‥‥‥‥‥‥‥‥‥‥‥‥‥‥‥‥‥‥‥ 27
3.3 정격전압 ‥‥‥‥‥‥‥‥‥‥‥‥‥‥‥‥‥‥‥‥‥‥‥‥‥‥‥‥ 27
3.4 정격부담 ‥‥‥‥‥‥‥‥‥‥‥‥‥‥‥‥‥‥‥‥‥‥‥‥‥‥‥‥ 28
3.5 접 지 ‥‥‥‥‥‥‥‥‥‥‥‥‥‥‥‥‥‥‥‥‥‥‥‥‥‥‥‥ 29
3.6 VT용 FUSE ‥‥‥‥‥‥‥‥‥‥‥‥‥‥‥‥‥‥‥‥‥‥‥‥‥‥‥‥ 29
3.7 계기용 변압기의 결선 ‥‥‥‥‥‥‥‥‥‥‥‥‥‥‥‥‥‥‥‥‥‥ 29

(3) 차 단 장 치 ‥‥‥‥‥‥‥‥‥‥‥‥‥‥‥‥‥ 36
1. 차단기 ‥‥‥‥‥‥‥‥‥‥‥‥‥‥‥‥‥‥‥‥‥‥‥‥‥‥‥‥‥‥ 36
1.1 차단기의 개요 ‥‥‥‥‥‥‥‥‥‥‥‥‥‥‥‥‥‥‥‥‥‥‥‥‥ 36
1.2 주요 구성부 ‥‥‥‥‥‥‥‥‥‥‥‥‥‥‥‥‥‥‥‥‥‥‥‥‥‥ 36
1.3 차단기에 사용하고 있는 소호방법 ‥‥‥‥‥‥‥‥‥‥‥‥‥‥‥‥ 38
1.4 전압에 관한 사항 ‥‥‥‥‥‥‥‥‥‥‥‥‥‥‥‥‥‥‥‥‥‥‥‥ 38
1.5 전류에 관한 사항 ‥‥‥‥‥‥‥‥‥‥‥‥‥‥‥‥‥‥‥‥‥‥‥‥ 41
1.6 시간에 관한 사항 ‥‥‥‥‥‥‥‥‥‥‥‥‥‥‥‥‥‥‥‥‥‥‥‥ 44
1.7 차단기의 종류 및 특징 ‥‥‥‥‥‥‥‥‥‥‥‥‥‥‥‥‥‥‥‥‥ 45
1.8 차단기 시퀀스 ‥‥‥‥‥‥‥‥‥‥‥‥‥‥‥‥‥‥‥‥‥‥‥‥‥ 46
2. 전력퓨즈 ‥‥‥‥‥‥‥‥‥‥‥‥‥‥‥‥‥‥‥‥‥‥‥‥‥‥‥‥‥ 50
1.1 전력퓨즈의 역할과 기능 ‥‥‥‥‥‥‥‥‥‥‥‥‥‥‥‥‥‥‥‥‥ 50
1.2 전력퓨즈의 장단점 ‥‥‥‥‥‥‥‥‥‥‥‥‥‥‥‥‥‥‥‥‥‥‥‥ 50

(3) 수배전 설지 ‥‥‥‥‥‥‥‥‥‥‥‥‥‥‥‥‥ 52
1. 개폐장치 ‥‥‥‥‥‥‥‥‥‥‥‥‥‥‥‥‥‥‥‥‥‥‥‥‥‥‥‥‥ 52
1.1 라인스위치(L. S : Line Switch) ‥‥‥‥‥‥‥‥‥‥‥‥‥‥‥‥‥ 52
1.1.1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 ‥‥‥‥‥‥‥‥‥‥‥‥‥‥‥‥‥‥‥‥‥ 52
1.1.2 개요 및 특성 ‥‥‥‥‥‥‥‥‥‥‥‥‥‥‥‥‥‥‥‥‥‥‥‥‥ 52
1.1.3 설치장소 ‥‥‥‥‥‥‥‥‥‥‥‥‥‥‥‥‥‥‥‥‥‥‥‥‥‥‥ 52
1.2 단로기(D.S : Disconnector Switch) ‥‥‥‥‥‥‥‥‥‥‥‥‥‥‥‥ 52
1.2.1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 ‥‥‥‥‥‥‥‥‥‥‥‥‥‥‥‥‥‥‥‥‥ 53
1.2.2 개요 및 특성 ‥‥‥‥‥‥‥‥‥‥‥‥‥‥‥‥‥‥‥‥‥‥‥‥‥ 53
1.2.3 설치장소 ‥‥‥‥‥‥‥‥‥‥‥‥‥‥‥‥‥‥‥‥‥‥‥‥‥‥‥ 53
1.3 컷아웃스위치(C.O.S : Cut Out Switch) ‥‥‥‥‥‥‥‥‥‥‥‥‥‥ 53
1.3.1 정격전압과 정격전류 ‥‥‥‥‥‥‥‥‥‥‥‥‥‥‥‥‥‥‥‥‥ 54
1.3.2

본문내용

계수기능 스위치를 2로 정정한다.
- 정정치의 +10% 이상의 전류를 1초 이상 흘렸다가 Timing 완료전 개방한다
1회동작시는 개방되지 않고 2회 동작시 개방되어야 한다.
⑦ 재폐로 기능
- 재폐로 스위치를 1회로 정정한다.
- 정정치의 +10% 이상의 전류를 흘려 ASS를 개방한다.
이때 ASS는 재투입되어야 한다.
1.6.8 설치시 유의사항
ASS의 동작은 전원측, 부하측의 구별이 필요없으나 밧데리의 충전을 위하여 가능한 구별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Mechanism과 제어회로부는 제작시 별도로 조정 및 시험되고 조립후 최종 시험을 거쳐 출고되므로 수송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손상 또는 부품의 망실 등을 검사하여야 한다.
1) 설치전 점검
① 수동 개폐 조작시험
수동 투입용 핸들을 오른쪽으로 당기면 ASS는 투입되고 녹색의 수동 트립 고리를 당기면 개방된다. 4~5회 되풀이 하여 기계적 동작을 확인한다.
② 자동 개폐 조작시험
투입버튼을 순간적으로 눌렀다 떼면 대략 7~8초 후에 개폐기가 투입되면 모타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멈추게 된다. 투입버튼을 뗀후 7~8초 정도 후 다시 누르면 투입된다. 투입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개폐기가 자동 트립되면 개폐기는 투입되지 않으며 투입버튼을 뗀 후 10초정도 후에 다시 누르면 투입된다.
개방버튼을 누르면 전동 트립이 가능하다. 공장에서 출고시는 밧데리를 만충전후 밧데리 연결이 되지않은 상태에서 출고되므로 설치전 밧데리를 연결하고 4~5회 투입 및 개방 조작을 한 후 이상이 없으면 설치한다.
③ 밧데리 점검 및 교환
밧데리는 24V, 1.8AH 무보수형(GEL Type)이 설치되어 있다. 개폐기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전압 및 정전류로 부동충전되므로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없으나 설치전 6개월 이상이 경과되면 (25% 정도 자기 방전됨) 다음의 요령에 의하여 점검할 필요가 있다.
- 밧데리의 점검
전압을 측정하여 24V 이상이면 40% 이상의 잔존용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개폐조작에 이상이 없으면 설치한다.
밧데리 충전전압은 전원측 R상에 13200V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루어지나 인가가 곤란한 경우에는 밧데리를 분리하여 별도 충전후 설치해야 한다.
개폐기 설치시에는 전원측 R상을 전원측으로 하면 장시간 개페기가 개방시에도 밧데리가 충전되므로 유리하지만 통상은 전원측과 부하측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
- 밧데리의 교환
무보수형 밧데리는 사용 도중 전해액을 보충할 필요가 없으며 부동충전시 수명은 5년, 5년 후에는 최대 20%, 6년 후에는 최대 50%의 용량감소가 일어난다. 일단 방전시에는 재충전하더라도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④ 동작기기의 정정
제어함의 뚜껑을 열고 최소동작전류, 계수기능, 돌입전류, 재폐로 기능 스위치를 정정한다.
⑤ 설치
- ASS를 장주할 때에는 조상고리를 사용하여 올리고 행가볼트, 행가 Bar 및 클램프로 완금에 확실하게 고정한다.
- ASS의 접지는 접지단자에 확실하게 접지한다.
- 개방시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있으면 유도전압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부하측 작업시 반드시 3상 접지를 하고 작업하여야 한다.
1.6.9 점 검
정기점검 횟수는 오염조건과 ASS에 부과된 수동 및 자동 차단횟수에 주로 좌우된다. 축세 트립시는 무전압 상태에서 개방되므로 전류를 차단하지 않지만 적어도 1년에 한번은 다음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① 붓싱의 파손 및 Crack 여부 또는 페인트의 벗겨진 상태 및 기계적 상태
② 카운터의 횟수 점검
③ 제어함 내의 부식 유무 확인
④ 절연유의 유량 상태
1.6.10 구 조
1) ASS 본체
그림 2.8 ASS
① 붓싱 터미널
크램프 방식으로 동 또는 알루미늄 전선 22㎟ ~ 160㎟ 접속에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② 붓싱
양질의 자기재로 방습형이며 모든 접합부는 누유 및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구조로 패킹 처리되어 있다.
③ 조상고리
개폐기 설치 및 운반시 사용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④ 에어 밸트룸(숨구멍)
⑤, ⑥ 제어 케이블 연결 리셉터클
19P 실드케이블로서 걔폐기와 제어함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⑦ 수동 개방 레바
레바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1회 당기면 개방된다.
⑧ 동작 계수기
개폐기 동작 횟수 확인에 사용된다.
⑨ 동작 표시기
주접점과 연동되어 접점의 투입 및 개방 상태를 표시한다.
⑩ 수동 투입 레바
적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아래쪽으로 1회 당기면 된다
※ 접지단자와 드레인 밸브
접지에 필요한 22㎟ ~ 38㎟ 접속이 용이한 접지단자가 있고 절연유 교체 및 성능 검사용 샘플 채취시 사용된다.
(요구시 부착 : 접지단자는 드레인 밸브와 같이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2) ASS 제어함
그림 2.9 ASS 제어함
① 상(PHASE) 최소동작전류 정정스위치
선택스위치에 의하여 7, 10, 15, 20, 30, 50, 70, 100, 140, 200A, BLOCK으로 조정된다.
② 지락(GROUND) 최소동작전류 정정스위치
선택스위치에 의하여 5, 7, 10, 15, 25, 35, 50, 70, 100A, BY PASS로 조정된다.
③ 재투입 선택스위치
순간 정전이 예상될 때 “1회” 위치로 UP하면 7 ~ 8초 후 자동으로 재투입된다.(고장 지속시 자동 차단됨)
④ 계수기능
투입과정에서 돌입전류가 크거나 낙뇌 등이 발생될 경우 오동작을 억제키 위해 2회가지 선택된다.
⑤ 돌입전류가 길 경우 1초, 짧은 경우는 0.5초 선택한다.
⑥ 투입 및 개방 상태
램프 확인용 스위치.(밧데리 방전을 막기 위해 화인시 UP할 경우만 점등)
⑦ 충전을 확인하기 위한 LED이다.(점등시 밧데리 충전중 표시)
⑧ 방전을 확인하기 위한 LED이다.(점등시 밧데리 방전중 표시)
⑨ LED 램프의 정상 상태 확인.
⑩ 밧데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스위치.(버튼을 눌렀을 때 “⑧”번 LED가 점등되면 밧데리가 방전상태이므로 동작을 하지 말고 수동으로 투입한다. 한전 수전후 48시간이 지나면 자동 충전된다)
⑪ ~ ⑫ 투입 및 개방 스위치.
⑬ 제어용 케이블 리셉터클.(19P 실드케이블을 개폐기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⑭ Remote 리셉터클.(선택사양)
⑮ 밧데리 연결단자.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8페이지
  • 등록일2011.09.1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