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건전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개요

1.1 연구 목표

2. 손상탐지 기법

2.1 손상탐지 기법의 이론

2.2 수치해석 모델

3. 구조계 추정 기법의 절차

3.1 구조계 추정기법의 절차

3.2 구조계 추정기법

4. 결론

5. 느낀점

본문내용

에서 건축물 및 교량 붕괴 사고를 접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성수대교 붕괴사건과, 타코마 다리 붕괴 사건을 들수 있을 것이다. 해양플랜트 구조물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진동에 의한 피로하중, 예기치 못한 사고, 풍하중 파랑하중, 구조물의 노후화 등등 어떤 이유에서든지 구조물의 붕괴가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물의 붕괴사고를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구조물의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손상 위치를 정확히 탐색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이번강의를 해주신다는 교수님의 말씀이 참 인상깊게 들렸다.
특히 타코마 다리는 공진현상에 의해서 붕괴된 것이다. 물체에는 고유 진동수란게 있는데 그것과 같은 진동수를 지속적으로 받을 경우 공진형상이 일어나 심하게 물체가 흔들리면서 부서지는 것을 말한다. 완벽하게 공진현상을 없앨수는 없을것이다. 그래서 현재 흔히 쓰이는 대처법은 해당물체가 쓰일 환경을 미리 조사한후에 그 환경에서 사용하는 물체의 고유진동수를 해당환경에서 가능한 진동수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다. 즉 물체의 고유진동수를 바꾸는 것이다. 타코마 다리가 붕괴되는 그 시절 공진현상에 대해 알았더라면 붕괴를 막을수 있었을텐데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교수님께서는 실험과 모드형상만으로 이용한 손상탐지 기법으로 구조물의 손상부재를 찾을수도 있다고 말씀해 주셨다. 하지만 정확히 모든 부재의 손상을 알수는 없기 때문에 좀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셨다.
실제 구조물에서의 동적 계측은 상시 계측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셨는데, 이말은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는 연구에서 입증한 손상탐지기법과 구조계 추정기법을 상시 계측으로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용하는 연구가 좀더 필요하다는 이야기 인것 같았다.
이번강의를 들으면서 무엇보다도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중요한것이 철저한 사전 조사인것 같았다. 구조물의 설계시 미리 설치장소의 환경특성을 파악하여 경제성 안정성 시공성을 맞추어 설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한 가상설계또한 정확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것인 정확한 시공이라고 생각한다. 성수대교의 예를 들어 보면 교량건설비를 줄이기 위해 설계시의 철근량 보다 적은 철근이 들어가 있었고,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콘크리트가 채 마르기도 전에 공사를 진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사소한 부분들이 엄청난 피해를 가지고 왔기 때문에 참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9.2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