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능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분류
1) 해양구조물
2) 해안구조물
3) 항만구조물
2. 크기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분류 및 파력산정법
1) 소형구조물의 파력 산정법
2. 대형구조물의 파력산정법
3. 대상구조물의 파압산정법
3. 지진해일에 의한 파력산정
1. 구조물이 해상에 있을 경우
2. 구조물이 육상에 있을 경우
4. 느낀점
1) 해양구조물
2) 해안구조물
3) 항만구조물
2. 크기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분류 및 파력산정법
1) 소형구조물의 파력 산정법
2. 대형구조물의 파력산정법
3. 대상구조물의 파압산정법
3. 지진해일에 의한 파력산정
1. 구조물이 해상에 있을 경우
2. 구조물이 육상에 있을 경우
4. 느낀점
본문내용
된다는 가정이다.
모리슨 방정식은 구조물 부재의 미소 길이, ds, 미치는 합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F는 물의 속도와 가속 방향으로의 전체 힘이다. η는 순간 물의 높이 p는 물의 질량 밀도 U는 부재의 축에 법선인 물의 순간 속도 (부재에 수직인 u와 v의 벡터 성분 합)
만약 정상 흐름이 있다면, 벡터적으로 합해져야 한다. 는 부재에 수직인 물의 순간 가속 (부재에 수직 성분들의 벡터 성분 합)
D 단면 직경 또는 폭, A단면의 단면적 ds는 단면의 증가 길이, CD는 항력계수 는 관성 또는 질량계수이다.
2. 대형구조물의 파력산정법
-임의형상의복수주상구조물은수치해석혹은수리실험으로산정
-쇄파압은수리실험으로 산정
3차원파동장의 기술
선형회절파력의 해석해
해석결과(복수주상구조물 : 파랑변형)
3. 대상구조물의 파압산정법
-Goda식을 적용하며 그 설계법의 대체로 확립되어 있음.
-충격쇄파압은 수리힘엄으로 산정.
미소진폭파 - 미소진폭파로 sin과 cos파 모양으로 나타난다.
유한진폭파 - 비슷한 미소진폭파가 두 번 나타나는 모양
쇄파형 - 커다란 파도가 대상구조물에 와서 부딪혔을 때 나타나는 모양
충격쇄파형 - 길이의 반 토막만 계산을 하며 커다란 한 파가 충격적으로 와서 부딪혔을 때 생기는 모양
3. 지진해일에 의한 파력산정
지진해일이 미친 영향
1. 구조물이 해상에 있을 경우
ρg
3.3ρg
2. 구조물이 육상에 있을 경우
ρg
4. 느낀점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작년에 내가 배운 해양구조물 설계라는 과목이 생각났다. 구조물의 파력산정법에 대해 어느정도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다고 자부한 나였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내가 얕은 지식을 알고 있었고, 구조물의 파랑해석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단계의 작업인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바다의 파는 다양한 파고와 주기를 가지고 불규칙 적이다. 그리고 수심과 지형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또,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파력은 달라진다. 이 불규칙성을 고려하고 불규칙파의 최대 파력에 초점을 두고 설계를 해야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이런 불규칙파의 특성과 파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험의 기본 밑 바탕이 되는 것은 기초역학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서 배우는 재료역학, 해양파역학, 항만공학 등 전공 과목들을 충실히 공부했을때, 이런 실험 연구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모리슨 방정식은 구조물 부재의 미소 길이, ds, 미치는 합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F는 물의 속도와 가속 방향으로의 전체 힘이다. η는 순간 물의 높이 p는 물의 질량 밀도 U는 부재의 축에 법선인 물의 순간 속도 (부재에 수직인 u와 v의 벡터 성분 합)
만약 정상 흐름이 있다면, 벡터적으로 합해져야 한다. 는 부재에 수직인 물의 순간 가속 (부재에 수직 성분들의 벡터 성분 합)
D 단면 직경 또는 폭, A단면의 단면적 ds는 단면의 증가 길이, CD는 항력계수 는 관성 또는 질량계수이다.
2. 대형구조물의 파력산정법
-임의형상의복수주상구조물은수치해석혹은수리실험으로산정
-쇄파압은수리실험으로 산정
3차원파동장의 기술
선형회절파력의 해석해
해석결과(복수주상구조물 : 파랑변형)
3. 대상구조물의 파압산정법
-Goda식을 적용하며 그 설계법의 대체로 확립되어 있음.
-충격쇄파압은 수리힘엄으로 산정.
미소진폭파 - 미소진폭파로 sin과 cos파 모양으로 나타난다.
유한진폭파 - 비슷한 미소진폭파가 두 번 나타나는 모양
쇄파형 - 커다란 파도가 대상구조물에 와서 부딪혔을 때 나타나는 모양
충격쇄파형 - 길이의 반 토막만 계산을 하며 커다란 한 파가 충격적으로 와서 부딪혔을 때 생기는 모양
3. 지진해일에 의한 파력산정
지진해일이 미친 영향
1. 구조물이 해상에 있을 경우
ρg
3.3ρg
2. 구조물이 육상에 있을 경우
ρg
4. 느낀점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작년에 내가 배운 해양구조물 설계라는 과목이 생각났다. 구조물의 파력산정법에 대해 어느정도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다고 자부한 나였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내가 얕은 지식을 알고 있었고, 구조물의 파랑해석이 복잡하고 까다로운 단계의 작업인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바다의 파는 다양한 파고와 주기를 가지고 불규칙 적이다. 그리고 수심과 지형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또,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파력은 달라진다. 이 불규칙성을 고려하고 불규칙파의 최대 파력에 초점을 두고 설계를 해야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이런 불규칙파의 특성과 파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험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실험의 기본 밑 바탕이 되는 것은 기초역학이라고 생각한다. 대학에서 배우는 재료역학, 해양파역학, 항만공학 등 전공 과목들을 충실히 공부했을때, 이런 실험 연구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연안][바다]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특성, 연안(해안, 해양, 바다)의 환경오염, 연안(해안...
[바다연안][해안][바다연안(해안) 유조선사고][바다연안(해안) 환경정비]바다연안(해안)의 특...
[연안][해안][바다][해양]연안(해안, 바다, 해양)의 특성, 연안(해안, 바다, 해양)의 환경오...
해양매립의새로운 방향
서남해안 도서지역과 해양자원의 개발을 위한 관광이벤트 기획
해양(해안, 연안, 바다)환경의 오염원, 해양(해안, 연안, 바다)환경의 오염 실태, 해양(해안,...
해양관광 개발방안
해양리조트 개발방안 및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