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수학의 이해) 중세 이슬람수학은 수학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수학의 이해) 중세 이슬람수학은 수학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중세 이슬람 문명의 영향
2. 중세 이슬람 수학의 역사
3. 중세 이슬람의 대표적인 수학자 역할
4. 아리비아 숫자
5. 아라비아 수학의 특징

III. 결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교점의 가로좌표로 구해지고 있다. 몇 가지 특수한 형태의 4차방정식에 대한 기하학적인 해법은 아불-웨파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이슬람 수학자들은 부정해석학에도 관심을 보였다. ‘두 양의 정수의 세제곱의 합이 한 정수의 세제곱이 되는 두 정수를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정리의 증명을 하였다고 전해진다. 타비트 이븐-쿠라의 친화수 구하는 방법은 아라비아인에 의하여 행해진 최초의 독창적인 연구로 일컬어진다. 알-카르히는 처음 개의 자연수의 제곱과 세제곱의 합을 구하는 정리를 최초로 증명하였다.
셋째, 골격은 주로 그리스의 것이긴 하나 아라비아인이 인도식을 응용하여 새로운 함수나 공식을 덧붙인 이슬람의 삼각법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하지만 이슬람 삼각법은 프톨레마이오스가 현을 사용한 곳에서 정현(sine)을 썼다는 것과 기하학적 형식 대신에 대수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뛰어나다. sine, cosine, tangent 등의 이론은 이슬람의 유산이며 이들은 6개의 기본적인 삼각함수표를 확충했다. 또한 구면삼각법의 공식의 유도과정을 개선하였으며, 경사 구면삼각형에 대한 코사인 법칙을 발견하였다. 13세기의 마라가 천문대는 가장 유명한 천문대였다. 오차의 한계를 줄이기 위해 관측 기구의 규모를 크게 하였으며 많은 나라에서 찾아온 우수한 과학자들이 공동 연구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넷째, 기하학을 들 수 있다. 아라비아 인들이 기하학 분야에 있어서 행한 중요한 역할은 일차로 그 기록의 보존에 있었다. 그들은 그리스 고전을 만족스럽게 번역하려고 온갖 노고를 아끼지 않았다. 아라비아 수학자들은 대수방정식의 해법에 기하학을 적극적으로 응용하였다. 또한 대수와 기하학 사이의 밀접한 상호 관계를 뚜렷이 하여 해석기하학에의 발전의 길을 터놓았다. 예각, 둔각, 직각의 가정을 처음으로 다루었으며, 피타고라스 정리에 대한 독창적인 증명을 하기도 하였다. 이슬람에서 기하학을 중요시한 이유는 기하학적 지식이 측량이나 천문학과 같은 실제 응용적인 측면에 유용했으며 또한 대수와 물리학의 연구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이슬람의 기하학은 산술과 대수를 응용하거나 기하학을 수단으로 삼은 대수문제 해법에 뛰어났다.
III. 결론
대부분의 수학사가들은 아랍의 수학이 그리스의 찬란했던 수학적 업적(유클리드나 아폴로니우스의 기하학, 디오판토스의 대수학 등)을 그대로 물려받아 아랍어로 번역하고 보존하여 다시 유럽으로 전해준 것에서만 그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몇몇의 수학사가들은 아라비아인이 외래의 수학을 흡수, 소화하여 그 수준을 유지하는 데는 뛰어난 재능을 나타냈으나 체계적, 창조적으로 연구발전시키지는 못하였다고 평하며, 수학사에서 아랍수학의 역할은 그리스 문화의 보존과 유럽으로의 재전파에만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참고 자료>
수학사, Howard Eves, 경문사, 2011
수학사대전, 김용운김용국, 우성문화사, 2004
수학문화사, 안재구, 일월서각, 2010
유클리드의 창 : 기하학 이야기,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까치, 2002
  • 가격4,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2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34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