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궁의 구조
1) Uterus
2) Uterine tissue layer (3층)
3) Uterine tubes (or Fallopian tubes)
4) Ovary
2. Cesarean Delivery
1) 적응증
2) 수술방법
3.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참고문헌
1) Uterus
2) Uterine tissue layer (3층)
3) Uterine tubes (or Fallopian tubes)
4) Ovary
2. Cesarean Delivery
1) 적응증
2) 수술방법
3.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전 간호
2) 수술 후 간호
참고문헌
본문내용
e incision 인 경우 3호 silk로 interrupted suture, transverse incision인 경우에는 3-0 nylon으로 american suture를 한 후 dressing 거즈로 덮어준다.
3.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전 간호
① 제왕절개 분만의 이유, 목적, 발생가능한 합병증, 소요시간등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한다.
②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수술 후 신체변화, 회복과정 등을 설명한다.
③ 입원기간 중 절차, 병원규칙등에 대한 입원안내를 실시한다.
④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서약서를 받는다.
⑤ 수술전 검사(혈액검사,소변검사, x-선검사,심전도촬영)를 실시한다.
⑥ 마취의가 마취동의서를 받는다.
⑦ 수술전 신체준비를 한다.
a. 수술 전 며칠동안 저섬유식이 권장
b. 수술 전날 가벼운 저녁식사 후 금식
c. 수술부위의 삭모 및 피부소독
d. 유치도뇨관 삽입 및 고정
e. 수술복 착용
f. 정맥수액실시(수분, 약물,영양물질 공급)
g. 장신구 및 부착물 제거(매니큐어, 화장, 안경, 의치, 머리핀, 반지 등)
h. 전신마취를 한다면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 객담배출, 체위변경 및 사지 운동법등을 교육
2) 수술 후 간호
① 활력징후 측정 관찰
15분 간격으로 4회 측정 후 안정될때까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② 호흡기합병증 예방
심호흡, 기침, 객담배출, 체위변경등을 시행하도록 격려하며 24시간동안은 2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③ 순환기합병증 예방
혈액순환 촉진,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해 다리운동, 조기이상 격려한다.
④ 출혈증상 확인
혈압하강, shock 증상,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감소등의 검사소견 감시하며 질출혈 여부 관찰한다.
⑤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a. 정기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b.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c. 연속적 진통제 주입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patency가 유지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환자에게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d. 비약물적 요법인 호흡과 이완요법, 체위변경, 상상요법, 복부열요법등을 교육한다.
⑥ 수액균형 유지를 위한 간호
정맥주사, 구강섭취등을 통한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⑦ 비뇨기계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
유치도뇨관은 보통 24시간이후에 제거하며 요정체 문제로 계속 유지시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식이
연동운동이 되돌아오고 가스가 배출될 때 까지 경구섭취는 제한하고 정맥내로 주입한다.
⑨ 수술부위 상처관리
계획적으로 드레싱이 교환되는지 모니터링하며 상처부위의 출혈, 염증증상, 통증정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⑩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예방
출혈, 비뇨기계합병증, 감염, 장폐색이나 마비성 장폐쇄증, 혈전색전증, 폐합병증의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⑪ 유방, 자궁저부, 복부절개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관찰한다.
⑫ 오로의 특성과 양상을 관찰한다.
⑬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기 위해 옥시토신을 투여한다.
⑭ 심리적 안위간호
a. 수술 후 있을 수 있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b. 질분만 출산 실패에 대한 감정의 표현을 격려한다..
c. 산부의 통증, 피로, 제한된 운동의 결과로 방해될 수 있는 모유수유, 신생아간호에 대한 부모의 접근을 돕는다.
d.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회복기의 요구를 위해 산부와 가족의 준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다.
참고문헌
1. 수술실환자간호개정2판, 2000, 윤혜상, 청구문화사
2. 제5판여성간호학 ll, 200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3. 산부인과 수술술기, 2006, 차경봉, 대신서원
4. 여성건강간호학 Work Book, 1999, 이경혜외, 현문사
3. 수술 전.후 간호
1) 수술전 간호
① 제왕절개 분만의 이유, 목적, 발생가능한 합병증, 소요시간등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한다.
②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의 필요성, 수술과정, 수술 후 신체변화, 회복과정 등을 설명한다.
③ 입원기간 중 절차, 병원규칙등에 대한 입원안내를 실시한다.
④ 수술대상자, 배우자에게 수술서약서를 받는다.
⑤ 수술전 검사(혈액검사,소변검사, x-선검사,심전도촬영)를 실시한다.
⑥ 마취의가 마취동의서를 받는다.
⑦ 수술전 신체준비를 한다.
a. 수술 전 며칠동안 저섬유식이 권장
b. 수술 전날 가벼운 저녁식사 후 금식
c. 수술부위의 삭모 및 피부소독
d. 유치도뇨관 삽입 및 고정
e. 수술복 착용
f. 정맥수액실시(수분, 약물,영양물질 공급)
g. 장신구 및 부착물 제거(매니큐어, 화장, 안경, 의치, 머리핀, 반지 등)
h. 전신마취를 한다면 합병증 예방을 위한 심호흡, 객담배출, 체위변경 및 사지 운동법등을 교육
2) 수술 후 간호
① 활력징후 측정 관찰
15분 간격으로 4회 측정 후 안정될때까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② 호흡기합병증 예방
심호흡, 기침, 객담배출, 체위변경등을 시행하도록 격려하며 24시간동안은 2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③ 순환기합병증 예방
혈액순환 촉진,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해 다리운동, 조기이상 격려한다.
④ 출혈증상 확인
혈압하강, shock 증상,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감소등의 검사소견 감시하며 질출혈 여부 관찰한다.
⑤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a. 정기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b.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c. 연속적 진통제 주입장치를 가지고 있다면 patency가 유지되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환자에게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d. 비약물적 요법인 호흡과 이완요법, 체위변경, 상상요법, 복부열요법등을 교육한다.
⑥ 수액균형 유지를 위한 간호
정맥주사, 구강섭취등을 통한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⑦ 비뇨기계 감염예방을 위한 간호
유치도뇨관은 보통 24시간이후에 제거하며 요정체 문제로 계속 유지시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⑧ 식이
연동운동이 되돌아오고 가스가 배출될 때 까지 경구섭취는 제한하고 정맥내로 주입한다.
⑨ 수술부위 상처관리
계획적으로 드레싱이 교환되는지 모니터링하며 상처부위의 출혈, 염증증상, 통증정도를 수시로 확인한다.
⑩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 예방
출혈, 비뇨기계합병증, 감염, 장폐색이나 마비성 장폐쇄증, 혈전색전증, 폐합병증의 증상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기록한다.
⑪ 유방, 자궁저부, 복부절개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관찰한다.
⑫ 오로의 특성과 양상을 관찰한다.
⑬ 자궁의 수축을 촉진하기 위해 옥시토신을 투여한다.
⑭ 심리적 안위간호
a. 수술 후 있을 수 있는 심리적 반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b. 질분만 출산 실패에 대한 감정의 표현을 격려한다..
c. 산부의 통증, 피로, 제한된 운동의 결과로 방해될 수 있는 모유수유, 신생아간호에 대한 부모의 접근을 돕는다.
d.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회복기의 요구를 위해 산부와 가족의 준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다.
참고문헌
1. 수술실환자간호개정2판, 2000, 윤혜상, 청구문화사
2. 제5판여성간호학 ll, 2003,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수문사
3. 산부인과 수술술기, 2006, 차경봉, 대신서원
4. 여성건강간호학 Work Book, 1999, 이경혜외, 현문사
추천자료
수술실 case
아두골반불균형[CPD]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분만실 자연분만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간호과정
[모성간호학][유도분만][Induction of lab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1,2,3,4기][분만기록지]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자연분만 case [산부인과 실습 자연분만 컨퍼런스 문헌고찰 / 과거력 / 약물 /간호진단등]
모성간호학실습 분만실 CASE STUDY
여성건강간호학) 전치태반 A+ 자료
[여성]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간호,case study,아동(학령전기),nephrotic syndrome,신증후군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모성케이스, 여성간호학 case,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