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대적 배경
Ⅱ.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1. 플라톤의 생애
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Ⅲ. 교육목적
1. 플라톤의 교육목적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목적
Ⅳ. 교육방법론
1. 플라톤의 교육방법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
Ⅱ.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1. 플라톤의 생애
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애
Ⅲ. 교육목적
1. 플라톤의 교육목적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목적
Ⅳ. 교육방법론
1. 플라톤의 교육방법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
본문내용
고의 단계
세 번째는 지식의 사다리에 꽤 높이 올라간 단계이다. 플라톤은 이 단계를 디아노이아(dianoia)라고 말한다. 논증적 사고를 할 수 있고 논리와 추론을 통해 정당화할 수 있다. 아직 완벽한 지식은 아니지만 현실을 추상적으로 파악하는 단계에는 도달했다. 과학, 수학, 기하학을 탐구함으로써 추상적, 보편적 개념을 깨우친다.
(4) 철학의 단계
마지막 단계를 플라톤은 에피스테메(episteme)와 노에시스(noesis)라 하고, 각각 ‘지식’과 ‘지성’을 뜻한다. 진정한 철학의 단계이고, 표면적인 겉모습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이데아계로 들어서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지식의 구조 전체를 이해하고 지각함으로써 결론 자체를 파악할 수 있다. 동굴의 비유에서 죄수가 태양 자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변증법적 대화술을 통해 정의와 같은 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 단계이다.
전인교육을 강조한 교육과정
지식의 사다리를 오르기 위해 이상국가의 수호자는 아이들에게 엄격한 교과 과정을 따르게 한다. 플라톤은 다음의 세 과목이 특히 중요하다고 보았다.
(1) 무지케
그리스어 무지케(mousike)는 음악을 뜻하지만, 플라톤의 시대에는 교양 일반을 가리키는 폭넓은 의미를 지닌 말이었다. 플라톤은 문학, 연극, 음악이 사람이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걸 인정했고, 교육적 도구로서 예술이 아주 중요하다는 점도 잘 알고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아이들은 흔히 유치원에서 연극이나 음악, 노래와 책읽기를 하면서 가치관을 세우고 사고력을 키우는 것도 이것과 유사하다.
(2) 체육
조화로운 성격을 이루자면 김나스티케(gymnastike), 즉 신체단련이 필요하다. 신체단련은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동시에 전쟁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또, 수호자 계급의 아이는 장차 어른이 되어 그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실제 전투를 지켜보면서 전장에 익숙해지게 한다.
(3) 수학
플라톤이 이상국가를 철인왕이 지배한다고 할 때, 철학자를 ‘세상에 초연한’ 모습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라톤은 철학자를 아주 현실적 사고를 지닌 과학 전문가로 생각했다. 그 중에서 수학은 논리력을 키워주므로 어릴 때부터 배우도록 권장했다. 특히 수학 공부를 억지로 시키지 않고,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였고, 좀 더 크면 대수학, 기하학, 천문학까지도 가르치도록 한다.
플라톤이 영웅의 도덕성을 우려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대중문화의 영향을 생각해 볼 때 그렇다. 그러나 플라톤처럼 극단적인 검열을 행하면서까지 도덕에 치우치는 교육이 반드시 좋은지는 따져볼 문제다. 플라톤은 교육이 특수 학문이나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성 발달에 중요하다는 점을 체계적으로 주장한 최초의 철학자이다. 플라톤은 점수를 따고 시험을 통과하고 특정 분야에서 남들보다 뛰어난 전문가가 되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
육체와 정신이 둘인 것처럼 정신도 비이성적 정신과 이성적 정신으로 구분된다. 발생학적으로 볼 때 육체가 정신에 선행되는 것처럼 비이성적 정신이 정신에 선행한다. 따라서 육체에 대한 훈련이 정신에 대한 교육보다 앞서고 습관에 의한 교육이 이성에 의한 교육보다 앞서야 한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일관된 지론이다. 이런 원칙하에서 구성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 순서는 먼저 신체의 단련에서 출발하여 좋은 습관 형성 단계를 거쳐 결국 지성의 도야에 이르게 된다. 즉 처음에는 신체적 발육에서 시작하여, 다음에 습관 형성의 단계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성의 도야 단계로 차례차례 진행 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7세, 14세, 21세를 심신 발육상의 변화기로 보고 이에 준하여 교육방법을 논하고 있다. 출생 후 7세까지는 가정교육기로서 신체적 발육에 중점을 둔 건강교육에 주력하고, 7세부터 14세까지는 공공 교육기로서 건전한 사회 생활을 위한 습관 및 정서의 훈련을 실시 한다. 15세에서 21세까지는 공공 교육기의 계속으로서의 시민적 훈련과 이성의 도야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그의 단계적 교육을 학교 교육기관에 적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초등학교에 있어서는 육체적 도덕적 습관의 훈련을, 중등학교에 있어서는 체육·음악·회화(drawing)를 통하여 정서를 훈련시키도록 하고 그리고 대학에 있어서는 시민적 훈련과 수학·논리학·과학 등을 통해서 이성과 시민적 자질을 계발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과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교육의 조직이나 교육과정은 아동의 발달단계와 일치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가정교육기에는 동물놀이, 신체적 활동, 이야기 등으로 교육하며, 7세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의 아동은 14세가 될 때 까지 도덕적·신체적 교육을 중시하여 독서, 쓰기, 체육, 음악 등을 가르치되 이론이나 법칙의 교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직 행동의 안정적인 습관을 확립함으로써만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또, 15세에서 21세에 도달하기 까지의 청소년들은 수학, 문학, 천문학, 음악, 문법, 시, 수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의 지적인 학습을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21세 이상의 청년들에게는 과학(물리학, 우주론, 생물학, 심리학), 철학(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1. 「교육사상사」 학지사, 신득렬 - 시대적 배경
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고려원, D.J 앨런/장영란옮김 - 아리스토텔레스 생애
3.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최관경 - 아리스토텔레스 교육목적,교육방법
참고논문
1. 공주대 교육대학원 이민영 - 플라톤의 교육사상에 관한 논고 - 플라톤의 교육목적
참고사이트
1. http://blog.naver.com/canary720?Redirect=Log&logNo=50018266295 -페르시아 전쟁
2. http://blog.naver.com/hss7070?Redirect=Log&logNo=20026174467 -펠로폰네소스전쟁
3.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2007005 - 플라톤의 생애
세 번째는 지식의 사다리에 꽤 높이 올라간 단계이다. 플라톤은 이 단계를 디아노이아(dianoia)라고 말한다. 논증적 사고를 할 수 있고 논리와 추론을 통해 정당화할 수 있다. 아직 완벽한 지식은 아니지만 현실을 추상적으로 파악하는 단계에는 도달했다. 과학, 수학, 기하학을 탐구함으로써 추상적, 보편적 개념을 깨우친다.
(4) 철학의 단계
마지막 단계를 플라톤은 에피스테메(episteme)와 노에시스(noesis)라 하고, 각각 ‘지식’과 ‘지성’을 뜻한다. 진정한 철학의 단계이고, 표면적인 겉모습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이데아계로 들어서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지식의 구조 전체를 이해하고 지각함으로써 결론 자체를 파악할 수 있다. 동굴의 비유에서 죄수가 태양 자체를 인식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변증법적 대화술을 통해 정의와 같은 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 단계이다.
전인교육을 강조한 교육과정
지식의 사다리를 오르기 위해 이상국가의 수호자는 아이들에게 엄격한 교과 과정을 따르게 한다. 플라톤은 다음의 세 과목이 특히 중요하다고 보았다.
(1) 무지케
그리스어 무지케(mousike)는 음악을 뜻하지만, 플라톤의 시대에는 교양 일반을 가리키는 폭넓은 의미를 지닌 말이었다. 플라톤은 문학, 연극, 음악이 사람이 성격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걸 인정했고, 교육적 도구로서 예술이 아주 중요하다는 점도 잘 알고 있었다. 현대 사회에서 아이들은 흔히 유치원에서 연극이나 음악, 노래와 책읽기를 하면서 가치관을 세우고 사고력을 키우는 것도 이것과 유사하다.
(2) 체육
조화로운 성격을 이루자면 김나스티케(gymnastike), 즉 신체단련이 필요하다. 신체단련은 몸을 건강하게 만드는 동시에 전쟁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또, 수호자 계급의 아이는 장차 어른이 되어 그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실제 전투를 지켜보면서 전장에 익숙해지게 한다.
(3) 수학
플라톤이 이상국가를 철인왕이 지배한다고 할 때, 철학자를 ‘세상에 초연한’ 모습으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플라톤은 철학자를 아주 현실적 사고를 지닌 과학 전문가로 생각했다. 그 중에서 수학은 논리력을 키워주므로 어릴 때부터 배우도록 권장했다. 특히 수학 공부를 억지로 시키지 않고,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하였고, 좀 더 크면 대수학, 기하학, 천문학까지도 가르치도록 한다.
플라톤이 영웅의 도덕성을 우려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대중문화의 영향을 생각해 볼 때 그렇다. 그러나 플라톤처럼 극단적인 검열을 행하면서까지 도덕에 치우치는 교육이 반드시 좋은지는 따져볼 문제다. 플라톤은 교육이 특수 학문이나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성 발달에 중요하다는 점을 체계적으로 주장한 최초의 철학자이다. 플라톤은 점수를 따고 시험을 통과하고 특정 분야에서 남들보다 뛰어난 전문가가 되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다.
2)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방법
육체와 정신이 둘인 것처럼 정신도 비이성적 정신과 이성적 정신으로 구분된다. 발생학적으로 볼 때 육체가 정신에 선행되는 것처럼 비이성적 정신이 정신에 선행한다. 따라서 육체에 대한 훈련이 정신에 대한 교육보다 앞서고 습관에 의한 교육이 이성에 의한 교육보다 앞서야 한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일관된 지론이다. 이런 원칙하에서 구성된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 순서는 먼저 신체의 단련에서 출발하여 좋은 습관 형성 단계를 거쳐 결국 지성의 도야에 이르게 된다. 즉 처음에는 신체적 발육에서 시작하여, 다음에 습관 형성의 단계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성의 도야 단계로 차례차례 진행 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자면 그는 7세, 14세, 21세를 심신 발육상의 변화기로 보고 이에 준하여 교육방법을 논하고 있다. 출생 후 7세까지는 가정교육기로서 신체적 발육에 중점을 둔 건강교육에 주력하고, 7세부터 14세까지는 공공 교육기로서 건전한 사회 생활을 위한 습관 및 정서의 훈련을 실시 한다. 15세에서 21세까지는 공공 교육기의 계속으로서의 시민적 훈련과 이성의 도야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그의 단계적 교육을 학교 교육기관에 적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초등학교에 있어서는 육체적 도덕적 습관의 훈련을, 중등학교에 있어서는 체육·음악·회화(drawing)를 통하여 정서를 훈련시키도록 하고 그리고 대학에 있어서는 시민적 훈련과 수학·논리학·과학 등을 통해서 이성과 시민적 자질을 계발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과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교육의 조직이나 교육과정은 아동의 발달단계와 일치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가정교육기에는 동물놀이, 신체적 활동, 이야기 등으로 교육하며, 7세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의 아동은 14세가 될 때 까지 도덕적·신체적 교육을 중시하여 독서, 쓰기, 체육, 음악 등을 가르치되 이론이나 법칙의 교실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직 행동의 안정적인 습관을 확립함으로써만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또, 15세에서 21세에 도달하기 까지의 청소년들은 수학, 문학, 천문학, 음악, 문법, 시, 수사학, 윤리학, 정치학 등의 지적인 학습을 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21세 이상의 청년들에게는 과학(물리학, 우주론, 생물학, 심리학), 철학(논리학과 형이상학)을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1. 「교육사상사」 학지사, 신득렬 - 시대적 배경
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해」 고려원, D.J 앨런/장영란옮김 - 아리스토텔레스 생애
3.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최관경 - 아리스토텔레스 교육목적,교육방법
참고논문
1. 공주대 교육대학원 이민영 - 플라톤의 교육사상에 관한 논고 - 플라톤의 교육목적
참고사이트
1. http://blog.naver.com/canary720?Redirect=Log&logNo=50018266295 -페르시아 전쟁
2. http://blog.naver.com/hss7070?Redirect=Log&logNo=20026174467 -펠로폰네소스전쟁
3.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2007005 - 플라톤의 생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