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정보화시대의 기독교청소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책 정보화시대의 기독교청소년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저자 소개
1. 책의 목적
2. 요약
1). 신청소년의 등장
2).기독교 청소년교육의 기초
3). 청소년의 발달이해
4). 청소년과 예배
5). 청소년과 인터넷 문화
6). 정보화시대의 기독교
청소년교육 방법론
3. 결론
4. 느낀점: 맺음말

본문내용

, 재정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개개의 지역교회가 연합이 되고, 교단차원에서 초교단적으로 연합하여 시행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므로서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 개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3. 결론
청소년들은 아동과 성인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그들의 특성을 한마디로 표현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청소년시절을 세 가지로 표현한다면 역동적이고, 행동을 예측할 수 없으며, 무언가를 계속 요구하는 시절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 각 개인마다 성장 발달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해당 연령에 있는 자라 해도 반드시 똑같은 발달과 특징을 나타낸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청소년 발달에 대한 이해는 청소년교육에 있어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필수적인 부분이다. 청소년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정서적 영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므로 이러한 급격한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을 때 청소년 교육은 올바로 계획되어지고, 실행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복음주의 교육신학자 로렌스 리처즈는 그의 책에서 교회가 세상의 기관과 구별되는 것은 생명을 지닌 유기체란 점을 밝혔다. 즉 교회는 머리되신 그리스도의 영성이 지체를 이루는 성도들과의 유기적인 연결 속에 신앙생활을 공유하며, 그리스도의 몸을 형성하는 공동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이란 지식의 산출이나 결과만 관심을 갖는 학교식 교육보다는 하나의 몸을 이루는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산출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그러므로 생명을 지닌 유기체로서 교회의 동력은 관계성에 있는 것이다.
4. 느낀점: 맺음말
교회에서 가르치는 사람들의 우월의식의 강조나 지식으로서의 교회교육의 내용을 강조하기 보다는 그리스도의 한 몸인 신앙공동체의 정체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통합체계로서 청소년 기독교 교육의 대안이 필요한 것은 먼저 교회지도자의 전문화일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개인의 창의성과 전문성 그리고 인간유대의 관계가치가 중시되는 사회이므로 교회 지도자들은 새로운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의 기반구조를 구축하기 위하여 청소년 교육에 대한 창의적인 노력과 함께 전문성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할 때만이 다양한 문화 속에 노출되어져 있는 청소년들을 교회로 이끌 수 있으며, 또 그들에게 교회는 진정한 삶의 영역이면서 그들이 추구해야할 이상과 함께 목적으로 각인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생명을 공급해야 하는 교회에서 하나님의 생명에 대한 지속적이고 계획적이며 끝없는 노력의 필요는 청소년들에게 생명을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에, 교회는 다양화 되어지고, 신청소년화 되어진 사회에 맞는 새로운 커리큘럼으로서, 교회의 정체성을 이루어야 한다.
청소년 신앙교육의 목적은 청소년들을 지적이고, 감성적이며, 신체적, 사회적인 것들을 더욱 풍성하게 하고 윤택하게 하여, 그들을 성숙된 그리스도인으로 이끄는 것이며, 나아가 하나님 나라의 일꾼으로, 또 세상을 이끌 수 있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진 그리스도의 충실한 청지기가 되게 할 것이다.
- 끝 -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9.28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