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UBJECT DO
2. PROCEDURE
3. RESULT
4. DISCUSSION & CONCLUSION
5. REFERENCE
2. PROCEDURE
3. RESULT
4. DISCUSSION & CONCLUSION
5. REFERENCE
본문내용
us solution is lowered only to pH7 by add 3M HCl and ratio between benzoate and benzoic acid?
pH7에서는 벤조산이 산의 형태보다는 벤조산이온 형태로 더 많이 존재하므로 벤조산 형태의 침전물을 적을 것이다.
먼저 벤조산의 pka 값은 약 4.21로 pH7일 경우는 basic한 상태이기 때문에 벤조산 이온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이때 3M HCl을 가한다면
의 조건과 일치한다.
이식에 각 변수를 대입하여 벤조에이트와 벤조산의 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벤조산 : 벤조에이트 = :
로 벤조에이트의 형태가 더 많이 존재하며 각각의 비율도 개략적으로 구할 수 있다.
④ Why is MgSO4 added to the organic solution remaining after the extraction with NaOH?
추출의 단계 중에서 유기 층의 용매를 각각 추출 해내기에는 물 층과 유기 층의 구분이 쉽지 않다. 이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NaOH가 층을 분리하는 역할 을 한다.
유기 층의 경우는 용매와 반응이 거의 없어서 괜찮지만, 물 층에 존재하는 물질의 경우 물로 둘러 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 해주어야 침전이 잘 일어난다.
MgSO4는 결정구조가 불안정하여 결정사이에 공간을 채우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화물이 되려하기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매우 강해서 건조제로 사용되고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추출 실험에서는 유기용매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을 하게 되는데 추출 후 유기용매 층에 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유기용매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 MgSO4을 넣어주는 것이다.
⑤ What are the two big disadvantage of diethyl ether for using extracting solvent?
디에틸 에테르는 물을 혼합한 용매는 에테르가 미량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물층에 유기용매가 녹아 별도의 층을 형성 할 수 있다. 에테르 물보다 밀도이므로, 에테르는 물 위에 층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diethyl ether는 가연성이며 발화온도가 낮기 때문에 쉽게 발화될 수 있다. 화학 실험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증기를 (즉 100으로 온도를 제한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기화할 때 다량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노천온도의 측정에도 사용된다. 갈색 병에 넣어 어둡고 찬 곳에 보존해야 하나, 많은 양을 넣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량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기에 좋지 못한다.
또 다른 단점은 지방질을 잘 용해시켜 실험실에서 지방질을 정량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그 러나 지방족 화합물을 추출하는 용매로써는 좋지 않은 용매이다.
5. REFERENCE
[참고문헌 또는 출처]
1. Experimental Organic Chemistry (chapter5 Extraction p.149~174)
2. Doopedia 두산동아 백과사전
3.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4. 맥머리 유기화학 7판
pH7에서는 벤조산이 산의 형태보다는 벤조산이온 형태로 더 많이 존재하므로 벤조산 형태의 침전물을 적을 것이다.
먼저 벤조산의 pka 값은 약 4.21로 pH7일 경우는 basic한 상태이기 때문에 벤조산 이온의 형태로 많이 존재한다. 이때 3M HCl을 가한다면
의 조건과 일치한다.
이식에 각 변수를 대입하여 벤조에이트와 벤조산의 비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즉
벤조산 : 벤조에이트 = :
로 벤조에이트의 형태가 더 많이 존재하며 각각의 비율도 개략적으로 구할 수 있다.
④ Why is MgSO4 added to the organic solution remaining after the extraction with NaOH?
추출의 단계 중에서 유기 층의 용매를 각각 추출 해내기에는 물 층과 유기 층의 구분이 쉽지 않다. 이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NaOH가 층을 분리하는 역할 을 한다.
유기 층의 경우는 용매와 반응이 거의 없어서 괜찮지만, 물 층에 존재하는 물질의 경우 물로 둘러 쌓여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 해주어야 침전이 잘 일어난다.
MgSO4는 결정구조가 불안정하여 결정사이에 공간을 채우기 위해 물을 흡수하여 수화물이 되려하기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매우 강해서 건조제로 사용되고 반응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추출 실험에서는 유기용매와 물을 이용하여 추출을 하게 되는데 추출 후 유기용매 층에 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유기용매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 MgSO4을 넣어주는 것이다.
⑤ What are the two big disadvantage of diethyl ether for using extracting solvent?
디에틸 에테르는 물을 혼합한 용매는 에테르가 미량 물에 용해되기 때문에 물층에 유기용매가 녹아 별도의 층을 형성 할 수 있다. 에테르 물보다 밀도이므로, 에테르는 물 위에 층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diethyl ether는 가연성이며 발화온도가 낮기 때문에 쉽게 발화될 수 있다. 화학 실험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증기를 (즉 100으로 온도를 제한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한, 기화할 때 다량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노천온도의 측정에도 사용된다. 갈색 병에 넣어 어둡고 찬 곳에 보존해야 하나, 많은 양을 넣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량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기에 좋지 못한다.
또 다른 단점은 지방질을 잘 용해시켜 실험실에서 지방질을 정량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그 러나 지방족 화합물을 추출하는 용매로써는 좋지 않은 용매이다.
5. REFERENCE
[참고문헌 또는 출처]
1. Experimental Organic Chemistry (chapter5 Extraction p.149~174)
2. Doopedia 두산동아 백과사전
3.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4. 맥머리 유기화학 7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