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성음악의 발달과정과 다성음악과 화성음악의 차이
1.서양음악사 연대기
2.다성음악과 화성음악
1)서양음악의 분류
2)다성음악의 정의
3)화성음악의 정의
4)다성음악과 화성음악의 차이
3.다성음악의 발달과정
1)단성율과 그레고리오 성가
2)다성음악의 발달
3)아르스노바
4.음악용어 해설
1.서양음악사 연대기
2.다성음악과 화성음악
1)서양음악의 분류
2)다성음악의 정의
3)화성음악의 정의
4)다성음악과 화성음악의 차이
3.다성음악의 발달과정
1)단성율과 그레고리오 성가
2)다성음악의 발달
3)아르스노바
4.음악용어 해설
본문내용
위법(Counterpoint)
2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 선율선으로 이루어진 구성 방법. 카논 기법으로 쓰여진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 리체르카레(Ricercare)
탐구하다(찾다)라는 이탈리아어 동사 ricercare에 어원을 두고 있다. 칸초나가 샹송을 모방한 기악곡인 반면 리체르카레는 모테토와 비슷한 짜임새를 갖는 16-17세기의 기악곡에 쓰여졌던 명칭이다.17세기에 들면서 푸가형식으로 발전.처음에는 오르간에 의해 연주되었으나 나중에는
기악 앙상블로도 작곡되었다.
- 리토르넬로(Ritornello)
이태리어의 ritorno(돌아온다)의 축소형에서 나온 말로 영어로 표현한다면 "little return" 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반복되어 나타나는 짧은 경과구를 말한다.이 말은 특히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이나 아리아의 총주(tutti)부분을 의미한다.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에서 성악부분의 전후에 여러번 반복되어 나타나는 총주가 전형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마그니피카트(Magnificat)
성모 마리아의 찬가. 성서에 유래된 성가의 일종으로 누가복음 1장 46-55절 사이의 가사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나이다"라는 성모 마리아의 찬가에서 따온 성가.르네상스 시대에서는 통상미사와는 별도로 다성적인 전례음악의 텍스트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예배음악 중 유일하게 다성음악으로 불리워졌다.
- 마드리갈(Madrigal)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성행했던 음악. 양떼(mandra)에서 유래된 목가(mandriale)에서 유래된 말로 그 내용은 전원시와 애정시가 많다. 이탈리아의 프로톨라가 프랑드르 악파에 의해 폴리포닉한 기법이 도입되어 당시 귀족사회에 걸맞는 예술형식이 되었다.
- 멜리스마(Melisma)
가사의 1음절이 여러 음표로 장식되어 길게 늘여서 노래되는 선율 양식.
- 모테트(Motet)
1220-1750년 사이에 성행된 라틴어 가사로 된 무반주 다성음악중 가장 중요한 음악형식.카톨릭 전례음악 중 미사와 함께 가장 중요한 예배음악. 어원적으로는 말을 뜻하는 "mot" 에서 유래하고 mot이 주어진 성부라는 의미에서 라틴어 motetus라는 음악 용어가 생겨났다.
- 미사(Missa)
로마 카톨릭 전례의 가장 중요한 예배형식. 미사가 끝나고 회중이 헤어질때 사제가 Ite, missa est(가십시오, 헤어집니다)란 말에서 나왔다. 이렇게 사제가 이야기하면 회중은 Deo gratias로 화답하였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적 선율선으로 이루어진 구성 방법. 카논 기법으로 쓰여진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 리체르카레(Ricercare)
탐구하다(찾다)라는 이탈리아어 동사 ricercare에 어원을 두고 있다. 칸초나가 샹송을 모방한 기악곡인 반면 리체르카레는 모테토와 비슷한 짜임새를 갖는 16-17세기의 기악곡에 쓰여졌던 명칭이다.17세기에 들면서 푸가형식으로 발전.처음에는 오르간에 의해 연주되었으나 나중에는
기악 앙상블로도 작곡되었다.
- 리토르넬로(Ritornello)
이태리어의 ritorno(돌아온다)의 축소형에서 나온 말로 영어로 표현한다면 "little return" 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반복되어 나타나는 짧은 경과구를 말한다.이 말은 특히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이나 아리아의 총주(tutti)부분을 의미한다.몬테베르디의 오페라 `오르페오'에서 성악부분의 전후에 여러번 반복되어 나타나는 총주가 전형적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마그니피카트(Magnificat)
성모 마리아의 찬가. 성서에 유래된 성가의 일종으로 누가복음 1장 46-55절 사이의 가사 "내 영혼이 주를 찬양하나이다"라는 성모 마리아의 찬가에서 따온 성가.르네상스 시대에서는 통상미사와는 별도로 다성적인 전례음악의 텍스트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예배음악 중 유일하게 다성음악으로 불리워졌다.
- 마드리갈(Madrigal)
16세기 이탈리아에서 성행했던 음악. 양떼(mandra)에서 유래된 목가(mandriale)에서 유래된 말로 그 내용은 전원시와 애정시가 많다. 이탈리아의 프로톨라가 프랑드르 악파에 의해 폴리포닉한 기법이 도입되어 당시 귀족사회에 걸맞는 예술형식이 되었다.
- 멜리스마(Melisma)
가사의 1음절이 여러 음표로 장식되어 길게 늘여서 노래되는 선율 양식.
- 모테트(Motet)
1220-1750년 사이에 성행된 라틴어 가사로 된 무반주 다성음악중 가장 중요한 음악형식.카톨릭 전례음악 중 미사와 함께 가장 중요한 예배음악. 어원적으로는 말을 뜻하는 "mot" 에서 유래하고 mot이 주어진 성부라는 의미에서 라틴어 motetus라는 음악 용어가 생겨났다.
- 미사(Missa)
로마 카톨릭 전례의 가장 중요한 예배형식. 미사가 끝나고 회중이 헤어질때 사제가 Ite, missa est(가십시오, 헤어집니다)란 말에서 나왔다. 이렇게 사제가 이야기하면 회중은 Deo gratias로 화답하였다.
추천자료
드비쉬에 대하여
고전주의 음악 - 기악작품과 작곡가를 중심으로
20세기 프랑스 음악
20세기 작곡가 Achille Claude Debussy 연구
대위법이란.
표현주의 쇤베르크와 12음기법 연구
[전통][한국전통][한국전통음악][한국 전통조형물][한국전통문양][전통산후관습][전통신앙][...
모차르트(모짜르트)의 음악적 특징과 모차르트(모짜르트)의 생애 및 모차르트(모짜르트)의 Se...
힌데미트의 째즈적경향
[현대음악][드뷔시][드뷔시 음악][소나타][드뷔시 음악 영향]현대음악의 의미, 현대음악의 특...
[중세음악][중세 이탈리아 작곡가 팔레스트리나]중세음악의 특성, 중세음악의 형태, 중세음악...
[주세페 베르디][오페라][라트라비아타]주세페 베르디의 생애,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주세...
2차 세계대전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