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Key Word
2. DATA 및 결과
3. 결론 및 토의
참고 문헌
2. DATA 및 결과
3. 결론 및 토의
참고 문헌
본문내용
않았다.
셋째, 교류전압 측정. 교류전압 측정에서는 전압이 계속 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역시 교류전압은 안정적이 아닌 싸인 곡선으로 변함을 볼 수 있었다.
110V와 220V의 측정결과 110V 콘센트는 약 10V낮게 나왔는데 이는 데스크탑용 파워서플라이 제조업체를 보니 ‘가정용 전압이 항상 정확하게 110V로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되어있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그 변화폭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었다. 220V는 예상값과 평균값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저항측정. 저항 측정시 이론값(색 저항 값)과 1∼2%정도 오차가 있었다. 색저항 측정시 오차범위를 나타내는 띠의 색은 금색, 은색 두 종류였다. 금색은 오차율이 5%이고, 은색은 10%였다. 측정전에는 오차율이 제법 높을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 측정결과는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멀티테스터 사용법 이외에 저항 읽는 법과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 대하여 좀 더 알게 되었다.
5. 참고 문헌
◎ 공학교육을 위한 일반물리학기초 및 고급실험 (북스힐)
◎ http://inphy.korea.ac.kr
◎ http://physica.gsnu.ac.kr
셋째, 교류전압 측정. 교류전압 측정에서는 전압이 계속 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역시 교류전압은 안정적이 아닌 싸인 곡선으로 변함을 볼 수 있었다.
110V와 220V의 측정결과 110V 콘센트는 약 10V낮게 나왔는데 이는 데스크탑용 파워서플라이 제조업체를 보니 ‘가정용 전압이 항상 정확하게 110V로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되어있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그 변화폭이 상당히 크다고 볼 수 있었다. 220V는 예상값과 평균값이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저항측정. 저항 측정시 이론값(색 저항 값)과 1∼2%정도 오차가 있었다. 색저항 측정시 오차범위를 나타내는 띠의 색은 금색, 은색 두 종류였다. 금색은 오차율이 5%이고, 은색은 10%였다. 측정전에는 오차율이 제법 높을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 측정결과는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멀티테스터 사용법 이외에 저항 읽는 법과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기에 대하여 좀 더 알게 되었다.
5. 참고 문헌
◎ 공학교육을 위한 일반물리학기초 및 고급실험 (북스힐)
◎ http://inphy.korea.ac.kr
◎ http://physica.g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