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 산업 분석과 진에어의 전략 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진에어 소개

2. 환경 분석
(1) 저가항공 개요
(2) 저가항공사 개요
(3) 산업 환경 분석
(4) 경쟁사 분석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진에어 전략 방안
(1) 서비스 전략
(2) 차별화 전략
(3) 기타 전략

5. 향후 과제

본문내용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른 항공사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과 운항 횟수가 높다는 점을 들 수 있는데, 대형항공사의 항공권 가격보다 저렴하지만 소비자가 생각했던 가격보다 비쌀 경우 지체 없이 다른 항공사를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저가항공사들은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저가항공사만의 서비스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가항공사, 저가항공사라는 단어의 사용을 자제하고 로얄항공사 등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여 단지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미지를 개선해야 한다.
3) 저가항공사만의 차별화 전략
저가항공사는 대형항공사보다 기내 당 적은 고객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저가항공사만의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서비스 개선을 할 수 있다. 대형 항공사에서는 체험할 수 없었던 서비스를 저가항공사에서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이 추후 재구매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객을 세분화하여 맞춤 관리 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4) 지방공항을 저가항공사 거점공항으로 육성
정부에서 저가항공사 지원 방안의 하나로 전용터미널 건설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지방공항도 다 활용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제주와 부산 등 이용률이 높은 공항을 제외한 제 3의 지방공항을 저가항공사의 거점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 싱가포르처럼 저가항공 전용비행장이나 보조공항이용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보조공항을 이용할 경우 편리한 슬롯확보를 통해 항공기 가동률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공항사용료 부담의 최소화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신규 항공사들이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경영기법을 통한 비용경쟁력 유지가 가장 기본적인 사안이지만 항공운송산업이 구조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장참여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배려도 있어야 한다.
5) 안전지표 확대 및 실시간 감시체계 강화
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는 저가항공사 관련 안전 지표를 대한항공 등 대형항공사에 적용하는 49개보다 20개를 늘린 69개를 적용하였다. 엔진 정지, 항로 이탈 등 기존의 핵심 위험항목 외에 랜딩기어 고장, 항공기 계통별 고장 발생률, 기체 구조 고장 등 20개 안전지표를 추가하였다. 이 같은 조치는 선진국보다 앞서 나가는 것으로 안전지표를 실시간으로 감시해 원인 분석과 예방조치를 강구하고 있다. 또 저가항공사에 안전 감독관을 상주시켜 감독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6) 로얄 고객의 유치
고품격 맞춤 서비스와 마일리지 제도를 통한 고객 이탈 방지 전략과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고객들의 이탈을 방지해야 한다. 로열티 강화 방안으로 VIP 고객들이 원하는 바를 그들이 요청하기 전에 미리 알아서 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 고품격 맞춤 서비스를 제공해 감동을 받은 고객들의 로열티가 높아지면 이탈하지 않을 것이다.
(3) 기타 전략
국내 항공시장에서도 여러 항공사의 좋은 전략들이 많지만, 앞서 말한 성공적인 해외 사례들의 벤치마킹을 통하여 진에어만의 독자적인 서비스를 구축하여 다른 항공사보다 더욱 더 혁신적인 전략을 펼쳐야 하는게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업부 전략 조사 결과, 진에어는 단체여행객이나 저비용으로 효율성을 얻고자 하는 승객이 대부분이고, 좌석배정 시스템은 비즈니스 목적인 고객들은 주로 선호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즈니스맨의 경우 비행기를 가장 늦게 타고, 가장 빨리 내리는 것을 선호하는 특성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진에어는 우선탑승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향후 비즈니스맨 승객을 공략하기 위해서 더욱 만족도 높은 서비스 제공이 요구될 것이다. 예를 들어 비즈니스 승객들에게는 전원 코드와 USB connector 제공하거나 비즈니스 클래스 제공, 이코노미 클래스도 다른 항공사들보다 더 넓은 좌석 간격 확보 등의 전략을 통해 비즈니스 승객을 끌어들이는 것이다.
또한 기존 항공사들과의 경쟁, 특히 가격 경쟁력이 있는지 여부다. 아시아나에서는 2009년 말부터 진에어를 타겟으로 요금을 대폭 할인해서 수요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진에어가 20~30% 할인하면, 대한항공에서는 50% 이상으로 할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양 항공사는 비수기 타개를 위한 임시 이벤트라고 하지만 이미 기존 항공사들도 인터넷을 통한 할인 행사를 거의 연중으로 실시하고 있는 형편이다. 즉, 현재 진에어의 요금은 기존 항공사들과 비교해 볼 때 경쟁력이 있다고는 보기 어렵다. 전 세계에 많은 저가항공사가 있지만 성공한 저가항공사는 더 파격적인 요금과 비용절감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국 저가항공사와 같이 확실한 저비용 가격 정책을 사용하는 방안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5. 향후 과제
저가항공사가 생긴 지 약 6년 정도가 지나면서 안전성, 편리성, 운임 등의 부분에서 승객들의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앞으로 저가항공사의 국제선이 확대되면 향후 실적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항공사끼리 과도한 경쟁을 지양해야 한다. 외국 저가항공사 공세에서 살아남으려면 적정가격 유지 및 신규 노선 분담 등 국내 저가항공사끼리도 윈-윈 전략을 펼쳐야 한다. 실속파 국내외 승객은 저가항공을 이용하도록 하되 프리미엄 서비스를 바라는 고품격 승객 유치에 집중한다면 외국사가 넘보기 어려운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한 몫 할 것이다. 안전운항체계 확립을 전제로 외주비, 판매비, 인건비 등 경비절감 및 생산성 제고 노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기내외 서비스, 정시출발률, 취항률 등 서비스경쟁력을 강화하여야 한다. 또한 고객과의 약속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어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노선을 개발해 우리나라 항공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
<참고자료>
www.jinair.com
www.jejuair.net
kr.koreanair.com
www.flyasiana.com
www.airport.co.kr
www.stat.or.kr
www.knto.or.kr
www.visitkorea.or.kr
www.skynews.c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k.co.kr
www.edaily.co.kr
  • 가격2,2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9.30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4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