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크로키의 정의
Ⅲ. 크로키의 필요성
Ⅳ. 크로키의 기법
1. 역순법(逆順法)
2. 일획선묘법(一劃線描法)
Ⅴ. 크로키의 지도요소
1. 선
2. 동세
3. 균형
1) 절도있게 규칙적으로 많이 그어보기
2) 형을 잘 관찰하여 정확히 그리는 태도 기르기
Ⅵ. 크로키의 방법
Ⅶ. 크로키의 표현지도법
1. 고학년 어린이의 관찰 지도
2. 고학년 관찰 표현 지도
3. 인물 표현 지도
Ⅷ. 크로키의 지도교사 역할
1. 교사의 역할
2. 교사의 임무
참고문헌
Ⅱ. 크로키의 정의
Ⅲ. 크로키의 필요성
Ⅳ. 크로키의 기법
1. 역순법(逆順法)
2. 일획선묘법(一劃線描法)
Ⅴ. 크로키의 지도요소
1. 선
2. 동세
3. 균형
1) 절도있게 규칙적으로 많이 그어보기
2) 형을 잘 관찰하여 정확히 그리는 태도 기르기
Ⅵ. 크로키의 방법
Ⅶ. 크로키의 표현지도법
1. 고학년 어린이의 관찰 지도
2. 고학년 관찰 표현 지도
3. 인물 표현 지도
Ⅷ. 크로키의 지도교사 역할
1. 교사의 역할
2. 교사의 임무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도 예민해져서 형태의 개관적 관찰의 경향이 보이게 된다.
사물의 표현에 있어서도 시지각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중학년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실물과 비슷하게 그리지 못하는 어린이는 자신감을 잃게 되고 표현을 기피하는 경향이 보이게 된다. 즉 사물의 존재 가치를 합리적으로 알게 되고 과학적인 안목과 객관적인 질서를 인식하게 되어, 결국 개념적이며 사실적인 방향으로 그림을 그리기 쉬운 시기이다. 때문에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개인에 따라 사물을 보는 눈, 느낌, 생각이 매우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특색 있는 소재를 짜임새 있게 선택하여 지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표현에 있어서도 자칫 개성을 살리지 못하기 쉬우므로, 주관을 살려서 마음껏 묘사를 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펼쳐 나가도록 지도하는 일이 중요하다.
3. 인물 표현 지도
인물 표현은 가장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표현 대상의 하나이다. 가장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표현의 양상은 무진하게 많기 때문이다. 곧 인물의 특징은 사람에 따라, 자세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한 시간만 지도하는 것보다 계속적인 지도와 재료를 다양하게 적용하고 표현 대상을 동물과 자연 환경으로 점점 넓혀갈 것이고, 표현 방법도 점점 정밀 묘사로 확대해 가면서 그림 그리기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기쁨을 맛보게 할 것이며, 또한 타 영역-특히 조소 영역에서 찰흙으로 만드는 인물과 판화 표현에도 자신감을 갖고 창의적인 표현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Ⅷ. 크로키의 지도교사 역할
1. 교사의 역할
◇ 어린이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나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를 자신감을 가지고 그리도록 도와주며,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지도 교사가 좋아하는 기법만을 따라 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 어린이들의 마음의 친구가 되어 항상 친절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도움을 주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2. 교사의 임무
◇ 지도 교사는 어린이들이 크로키할 때 보고 그릴 수 있는 대상(모델)을 계획적으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
◇ 가정에서 여가 선용으로 크로키해 볼 수 있는 대상을 안내해 준다.
◇ 여러 가지 참고 작품을 자주 보여 주어서 표현 기법을 알게 하고, 자신감을 갖게 해 준다.
◇ 크로키 표현에 자신이 있는 교사는 어린이들이 처음 크로키하는 대상을 접할 때 시범을 보이는 것이 가장 좋다.
◇ 지도 교사는 어린이들이 크로키를 하고 있는 동안 궤간 순시를 하면서 용구 취급법, 구도 잡는 법, 크로키 하는 방법 등을 가르쳐 준다.
참고문헌
광주광역시서부교육청. 남다른 생각 일으키기, 1996
심상철 저, 미술재료와 표현, 미진사, 2000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서울, 1989
이수경·이주연, 창의력 개발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기초연구, 조형교육 제11집, 한국조형교육학회, 서울, 1995
차동채·김춘일, 아동미술의 지도와 이해, 미진사,1998
Edward Lucie·Smith, 김춘일 역, 현대미술의 흐름, 서울 미진신서, 1987
사물의 표현에 있어서도 시지각적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중학년보다 훨씬 강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실물과 비슷하게 그리지 못하는 어린이는 자신감을 잃게 되고 표현을 기피하는 경향이 보이게 된다. 즉 사물의 존재 가치를 합리적으로 알게 되고 과학적인 안목과 객관적인 질서를 인식하게 되어, 결국 개념적이며 사실적인 방향으로 그림을 그리기 쉬운 시기이다. 때문에 이 시기의 어린이들은 개인에 따라 사물을 보는 눈, 느낌, 생각이 매우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므로 특색 있는 소재를 짜임새 있게 선택하여 지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표현에 있어서도 자칫 개성을 살리지 못하기 쉬우므로, 주관을 살려서 마음껏 묘사를 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생각을 펼쳐 나가도록 지도하는 일이 중요하다.
3. 인물 표현 지도
인물 표현은 가장 많은 변화를 요구하는 표현 대상의 하나이다. 가장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표현의 양상은 무진하게 많기 때문이다. 곧 인물의 특징은 사람에 따라, 자세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한 시간만 지도하는 것보다 계속적인 지도와 재료를 다양하게 적용하고 표현 대상을 동물과 자연 환경으로 점점 넓혀갈 것이고, 표현 방법도 점점 정밀 묘사로 확대해 가면서 그림 그리기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 기쁨을 맛보게 할 것이며, 또한 타 영역-특히 조소 영역에서 찰흙으로 만드는 인물과 판화 표현에도 자신감을 갖고 창의적인 표현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Ⅷ. 크로키의 지도교사 역할
1. 교사의 역할
◇ 어린이들의 세계를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나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를 자신감을 가지고 그리도록 도와주며,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 지도 교사가 좋아하는 기법만을 따라 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 어린이들의 마음의 친구가 되어 항상 친절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도움을 주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2. 교사의 임무
◇ 지도 교사는 어린이들이 크로키할 때 보고 그릴 수 있는 대상(모델)을 계획적으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
◇ 가정에서 여가 선용으로 크로키해 볼 수 있는 대상을 안내해 준다.
◇ 여러 가지 참고 작품을 자주 보여 주어서 표현 기법을 알게 하고, 자신감을 갖게 해 준다.
◇ 크로키 표현에 자신이 있는 교사는 어린이들이 처음 크로키하는 대상을 접할 때 시범을 보이는 것이 가장 좋다.
◇ 지도 교사는 어린이들이 크로키를 하고 있는 동안 궤간 순시를 하면서 용구 취급법, 구도 잡는 법, 크로키 하는 방법 등을 가르쳐 준다.
참고문헌
광주광역시서부교육청. 남다른 생각 일으키기, 1996
심상철 저, 미술재료와 표현, 미진사, 2000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서울, 1989
이수경·이주연, 창의력 개발을 위한 미술 프로그램 기초연구, 조형교육 제11집, 한국조형교육학회, 서울, 1995
차동채·김춘일, 아동미술의 지도와 이해, 미진사,1998
Edward Lucie·Smith, 김춘일 역, 현대미술의 흐름, 서울 미진신서, 198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