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범위
1. 개수공사
2. 보수공사
3. 유지․관리
Ⅲ.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필요성
1.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설비 교체 필요성을 들 수 있다
2. 경제적 요인으로 신축․재축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우선 장점으로 볼 수 있다
3. 정보사회의 발전으로 건축물에 정보통신기능을 새롭게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4. 쾌적한 생활과 고령화에 대응한 편의시설 추구이다
Ⅳ.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현황
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절차
1. NEEDS 파악
2. 조사 및 진단
3. 기획설계 단계
4. 시공 단계
5. 유지관리 단계
Ⅵ.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사전체크
Ⅶ.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국제화랑 사례
1. 리노베이션 전
2. 리노베이션 후
참고문헌
Ⅱ.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범위
1. 개수공사
2. 보수공사
3. 유지․관리
Ⅲ.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필요성
1.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설비 교체 필요성을 들 수 있다
2. 경제적 요인으로 신축․재축 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우선 장점으로 볼 수 있다
3. 정보사회의 발전으로 건축물에 정보통신기능을 새롭게 추가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4. 쾌적한 생활과 고령화에 대응한 편의시설 추구이다
Ⅳ.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현황
Ⅴ.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절차
1. NEEDS 파악
2. 조사 및 진단
3. 기획설계 단계
4. 시공 단계
5. 유지관리 단계
Ⅵ.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사전체크
Ⅶ. 리노베이션(리모델링)의 국제화랑 사례
1. 리노베이션 전
2. 리노베이션 후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스로가 독특한 느낌으로 인식되면서도 전체적인 건물의 성격에도 관여하고 있는 것 같다. 프레임으로 인해 돌아서 진입하도록 계획된 동선은 전체동선의 기승전결의 흐름 중승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진입 시에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음의 공간도 심리적으로 한번정도 차분히 가라앉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리박스의 삐뚤어진 격자프레임은 유리박스 모서리에 의해 분절된 유리박스의 각 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격자의 방향으로 미루어 유리박스의 기울어진 모습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외부형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요소는 유리박스와 울타리를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으로 생각되고 건물의 뒤나 옆의 한옥들의 사진을 보았을 때에도 전체적인 지역의 맥락에서 매우 강한 느낌을 주는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진입 시와 지하로 내려가는 계단 등의 음의 공간이 매우 좋은 느낌을 주는 것 같으며 매우 다이나믹하고 충돌이 느껴지며 변형과 분절이 느껴지는 외부형태라고 생각되었다.
2. 리노베이션 후
우선 기존 국제화랑에서 달라진 점을 살펴보면, 정면에서 외부공간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요소였던 H빔의 프레임의 울타리와 그 프레임이 만들어내는 전이공간이 없어진 점이다. 진입을 위한 전이공간이 사라지고 주차장으로 기능이 바뀌었으며 또한 출입구도 유리박스와 같은 재질이었던 것이 없어지고 노출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박스가 출입구로 만들어졌다. 외부표면도 우측매스의 경우에는 굴곡이 있었던 것이 모두 평평한 면으로 바뀌었고 기존 매스의 개구부가 보이던 것이 모두 막혀졌으며 아래의 화단도 없어졌다. 반면 측면의 경우에는 기존 매스의 개구부가 그대로 남아있다. 좌측매스의 경우에는 형태는 변함이 없으나 기존의 두 개의 개구부 대신에 두 개의 개구부를 합친 기다란 띠창이 뚫려있고 그 아래에 조그마한 창이 하나 더 생겨났다. 좌측매스의 길가에 면해있는 부분에 기존에 화단으로 계획되었던 낮은 단은 나무를 깔고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벤치로 바뀌었으며 기존의 오브제들은 모두 제거되었다. 특히 출입구 위에 있던 간판을 겸하여 사용되었던 장식물의 자리에는 유리박스와 똑같은 재질의 창이 기존의 라인을 따르며 만들어졌다. 배면의 경우 기존 우측 매스의 2층 부분에 전시용도의 매스가 알루미늄 패널로 만들어져 기존 매스에 붙어있으며 이 매스는 원형지붕을 갖고 있는 모습이다. 새로 만들어진 매스는 2층 부분에만 만들어져 있으며 1층 부분은 H빔으로 만들어진 기둥들로 지지되고 있으며 새롭게 덧붙여진 매스는 외관상의 변화의 큰 요소들 중 하나이다. 색채의 변화를 보면 오브제들이 제거되고 우측매스의 벽이 메워져 평평해지면서 원색의 요소들은 모두 사라졌고 전체적인 색도 유리박스부분만 기존의 색 그대로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출입구의 노출 콘크리트와 같은 모노톤의 색상계통으로 바뀌었다. 좌우측의 측면은 기존과 별 다름없이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분석> 기존의 외관과 비교하여 가장 크게 느껴진 부분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울타리가 없어지면서 전이적인 느낌을 주고 또한 진입 시에 심리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하게 했던 정원이 없어져 건물자체가 완전한 하나의 덩어리로 느껴지며 이전보다 통일감이 더욱 강하게 느껴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음의 공간이었던 정원이 없어지면서 외관자체가 너무나 POSITIVE한 느낌으로 치우친 느낌이 들었다. 색채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느낌은 줄어들었으나 통일되고 일관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했고 회색의 모노톤과 더불어 주차장으로 바뀐 공간이 더불어 약간은 삭막한 느낌을 받게 하는 것 같기도 했다. 기존의 커튼월로 되어 있던 출입구 대신에 만들어진 긴 노출콘크리트 박스는 매우 강한 느낌을 주었으며 위계상으로 유리박스와 비슷한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두 개의 매스의 기준이 되는 축을 만들어 내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동선의 흐름에서는 기존에 승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공간이 없어진 대신 긴 박스가 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설득력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면에 생겨난 기존매스에 붙은 매스는 우선 그 질감에서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졌으며 더더욱 이질감을 느끼게 한 것은 그 매스를 받치고 있는 기둥이었다. 지붕의 형태도 원형지붕이어서 기존건물과 이질감을 더해 주는 요소로 받아들여졌다. 이전의 국제화랑의 배면은 디자인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요소가 없이 평범한 건물의 배면이었다면 바뀐 건물의 배면은 텍스쳐와 형태상으로 나름대로의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모습으로 판단되었다. 전체적인 느낌은 우측매스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전시물이 가장 강조되어 보이는 요소로 느껴질 정도로 차분하고 정적인 이미지를 주고 있으며 그 주변의 전체적인 맥락과도 크게 어긋남이 없이 잘 어울리게 보이는데 그 이유는 전체적인 색채가 비슷한 계통으로 통일되어 있고 재질도 유리박스의 재질과 매스의 재질의 두 가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가장 큰 이유는 새로운 재질과 강력한 이미지의 콘크리트 박스가 출입구의 기능으로 건물 전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상대적으로 유리박스의 강하던 이미지가 상쇄되어 하나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인식되기 쉬운 강한 느낌의 형태에서 두 개의 강한 형태가 병치되어 있는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어느 정도 균형이 잡힌 형태가 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전의 국제화랑이 동적이고 분절과 충돌의 형태라면 지금의 국제화랑은 매우 정적이고 차분하며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노출콘크리트 박스로 인해 전체가 관통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현선(2003) - 에너지의 효율화를 중심으로 한 주택 리노베이션의 환경친화적 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나찬호(1997) - 리노베이션을 통한 상업건축물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박기석 - 상업건축물의 표현성을 고려한 외관 리노베이션계획에 관한 연구
이창석 저(2004) - 리모델링 컨설팅 이론과 실무, 형설출판사
한국건설기술정보원(2002) - 리모델링 실무 매뉴얼
한국물가협회(2006) - 건축리모델링(2006-2007, 통권4호)
2. 리노베이션 후
우선 기존 국제화랑에서 달라진 점을 살펴보면, 정면에서 외부공간을 만들어내는 가장 큰 요소였던 H빔의 프레임의 울타리와 그 프레임이 만들어내는 전이공간이 없어진 점이다. 진입을 위한 전이공간이 사라지고 주차장으로 기능이 바뀌었으며 또한 출입구도 유리박스와 같은 재질이었던 것이 없어지고 노출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박스가 출입구로 만들어졌다. 외부표면도 우측매스의 경우에는 굴곡이 있었던 것이 모두 평평한 면으로 바뀌었고 기존 매스의 개구부가 보이던 것이 모두 막혀졌으며 아래의 화단도 없어졌다. 반면 측면의 경우에는 기존 매스의 개구부가 그대로 남아있다. 좌측매스의 경우에는 형태는 변함이 없으나 기존의 두 개의 개구부 대신에 두 개의 개구부를 합친 기다란 띠창이 뚫려있고 그 아래에 조그마한 창이 하나 더 생겨났다. 좌측매스의 길가에 면해있는 부분에 기존에 화단으로 계획되었던 낮은 단은 나무를 깔고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벤치로 바뀌었으며 기존의 오브제들은 모두 제거되었다. 특히 출입구 위에 있던 간판을 겸하여 사용되었던 장식물의 자리에는 유리박스와 똑같은 재질의 창이 기존의 라인을 따르며 만들어졌다. 배면의 경우 기존 우측 매스의 2층 부분에 전시용도의 매스가 알루미늄 패널로 만들어져 기존 매스에 붙어있으며 이 매스는 원형지붕을 갖고 있는 모습이다. 새로 만들어진 매스는 2층 부분에만 만들어져 있으며 1층 부분은 H빔으로 만들어진 기둥들로 지지되고 있으며 새롭게 덧붙여진 매스는 외관상의 변화의 큰 요소들 중 하나이다. 색채의 변화를 보면 오브제들이 제거되고 우측매스의 벽이 메워져 평평해지면서 원색의 요소들은 모두 사라졌고 전체적인 색도 유리박스부분만 기존의 색 그대로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출입구의 노출 콘크리트와 같은 모노톤의 색상계통으로 바뀌었다. 좌우측의 측면은 기존과 별 다름없이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분석> 기존의 외관과 비교하여 가장 크게 느껴진 부분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울타리가 없어지면서 전이적인 느낌을 주고 또한 진입 시에 심리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하게 했던 정원이 없어져 건물자체가 완전한 하나의 덩어리로 느껴지며 이전보다 통일감이 더욱 강하게 느껴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음의 공간이었던 정원이 없어지면서 외관자체가 너무나 POSITIVE한 느낌으로 치우친 느낌이 들었다. 색채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다양한 느낌은 줄어들었으나 통일되고 일관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했고 회색의 모노톤과 더불어 주차장으로 바뀐 공간이 더불어 약간은 삭막한 느낌을 받게 하는 것 같기도 했다. 기존의 커튼월로 되어 있던 출입구 대신에 만들어진 긴 노출콘크리트 박스는 매우 강한 느낌을 주었으며 위계상으로 유리박스와 비슷한 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두 개의 매스의 기준이 되는 축을 만들어 내는 느낌을 주기도 했다. 동선의 흐름에서는 기존에 승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공간이 없어진 대신 긴 박스가 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설득력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면에 생겨난 기존매스에 붙은 매스는 우선 그 질감에서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졌으며 더더욱 이질감을 느끼게 한 것은 그 매스를 받치고 있는 기둥이었다. 지붕의 형태도 원형지붕이어서 기존건물과 이질감을 더해 주는 요소로 받아들여졌다. 이전의 국제화랑의 배면은 디자인적으로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요소가 없이 평범한 건물의 배면이었다면 바뀐 건물의 배면은 텍스쳐와 형태상으로 나름대로의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모습으로 판단되었다. 전체적인 느낌은 우측매스의 지붕에 설치되어 있는 설치전시물이 가장 강조되어 보이는 요소로 느껴질 정도로 차분하고 정적인 이미지를 주고 있으며 그 주변의 전체적인 맥락과도 크게 어긋남이 없이 잘 어울리게 보이는데 그 이유는 전체적인 색채가 비슷한 계통으로 통일되어 있고 재질도 유리박스의 재질과 매스의 재질의 두 가지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또 가장 큰 이유는 새로운 재질과 강력한 이미지의 콘크리트 박스가 출입구의 기능으로 건물 전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면서 상대적으로 유리박스의 강하던 이미지가 상쇄되어 하나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인식되기 쉬운 강한 느낌의 형태에서 두 개의 강한 형태가 병치되어 있는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어느 정도 균형이 잡힌 형태가 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전의 국제화랑이 동적이고 분절과 충돌의 형태라면 지금의 국제화랑은 매우 정적이고 차분하며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노출콘크리트 박스로 인해 전체가 관통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고도 생각된다.
참고문헌
김현선(2003) - 에너지의 효율화를 중심으로 한 주택 리노베이션의 환경친화적 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디자인대학원
나찬호(1997) - 리노베이션을 통한 상업건축물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논문
박기석 - 상업건축물의 표현성을 고려한 외관 리노베이션계획에 관한 연구
이창석 저(2004) - 리모델링 컨설팅 이론과 실무, 형설출판사
한국건설기술정보원(2002) - 리모델링 실무 매뉴얼
한국물가협회(2006) - 건축리모델링(2006-2007, 통권4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