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세포란?
1) 원핵세포
2) 진핵세포
2. 기능에 따른 세포소기관의 분류
1) 생성
2) 분해
3) 에너지 가공
3. 참고문헌
1. 세포란?
1) 원핵세포
2) 진핵세포
2. 기능에 따른 세포소기관의 분류
1) 생성
2) 분해
3) 에너지 가공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록 동물이 꽃에 모이도록 유인하는 시각 신호로서 작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물세포에서 발견되는 리소좀과 같이 여러 소화 효소들을 내부에 가지고 있어서 소화작용을 돕는 역할도 한다.
3) 에너지 가공
(1) 엽록체
녹색 색소인 엽록소를 갖고 있으며 광합성 장소이다. 광합성을 통해서 형성된 분자로 광합성 생물과 식물을 먹는 다른 생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엽록체는 이중막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엽전같이 생긴 원형체가 쌓여 있는 구조인 그라나와 그러나가 들어 있는 스트로마로 나누어져 있다. 그라나에는 엽록소와 그 외의 색소분자들이 들어 있어서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모은다. 그리고 스트로마는 엽록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부를 합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림 4)
그림 4. 엽록체
(2)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는 연료 분자의 잠재적인 화학에너지를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 즉 고에너지 분자인 ATP로 변환해 주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연료분자와 산소분자를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을 세포호흡이라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이중막을 가지고 있다. 외막은 평평하고 보호역할을 하며, 물질이 미토콘드리아의 밖과 안을 왕애하는데 저항이 없게 한다. 외막 바로 안쪽에는 내막이 있다. 이 내막은 여러 겹으로 접혀져 있어서 표면적이 외막보다 훨씬 넓다. 이들 겹쳐진 막은 매우 규칙적이며, 크리스타라고 불리는 선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림 5)
그림 5. 미토콘드리아
4) 지지, 움직임, 그리고 세포사이의 통신
(1) 세포골격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세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세포의 다양한 이동방식을 제공해준다. 세포골격 섬유의 어떤 것은 ‘운동단백질’의 선로 또는 지지대로 작용한다. 운동 단백질은 세포가 이동하거나 세포 내에서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미세섬유는 단백질인 액틴으로 된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세포 또는 세포의 부분적 운동을 도우며 세포 형태를 안정화한다. 중간섬유는 질긴 밧줄 모양으로 꼬인 섬유성 단백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세포 구조를 안정화하고 신장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미세소관은 단백질인 튜불린 분자로 만들어진 속이 비어있는 긴 원통 구조로 몇몇 세포에서 견고한 내부골격을 형성하고 세포내 구조물을 수송하는 운동단백질의 통행로로 작용한다. (그림 6)
그림 6. 세포골격
(2) 세포벽
식물세포의 세포벽은 원형질막 바깥쪽의 반강체 구조이다. 세포벽은 다른 복잡한 다당류와 단백질에 매몰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다. 식물의 세포벽은 세포를 지지해주고 또 이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부피의 확대를 제한한다. 식물에게 병을 일으킬 수 있는 균류나 다른 생물의 감염을 막아주는 장벽으로 작용하며, 식물세포의 확대에 따라 생장함으로써 식물형태 유지에 기여한다.
(3) 세포외 기질
다세포 동물의 세포에는 식물 세포의 특징인 세포벽이 없다. 그러나 많은 동물세포에는 세포외기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이 기질은 콜라겐과 당단백질 같은 섬유성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외 기질은 조직에서 세포를 한데 붙어있게 한다. 연골조직, 피부 그리고 기타 다른 조직들의 물리적인 특성을 강화하며 다른 조직간의 물질 이동에서 여과를 도와준다. 또한 배 발생과 조직의 재생 동안 세포 이동의 방향 설정을 도와주고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화학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참고문헌
1) Neil. A Campbell, 생명과학; 이론과 현상의 이해(제3판), 라이프사이언스, 2001, 41-56
2) William K. Purves et. al, 생명 생물의 과학(제7판), 교보문고, 2007, 59-83
3) 에너지 가공
(1) 엽록체
녹색 색소인 엽록소를 갖고 있으며 광합성 장소이다. 광합성을 통해서 형성된 분자로 광합성 생물과 식물을 먹는 다른 생물에게 먹이를 공급한다. 엽록체는 이중막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엽전같이 생긴 원형체가 쌓여 있는 구조인 그라나와 그러나가 들어 있는 스트로마로 나누어져 있다. 그라나에는 엽록소와 그 외의 색소분자들이 들어 있어서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모은다. 그리고 스트로마는 엽록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부를 합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림 4)
그림 4. 엽록체
(2)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는 연료 분자의 잠재적인 화학에너지를 세포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 즉 고에너지 분자인 ATP로 변환해 주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연료분자와 산소분자를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을 세포호흡이라 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이중막을 가지고 있다. 외막은 평평하고 보호역할을 하며, 물질이 미토콘드리아의 밖과 안을 왕애하는데 저항이 없게 한다. 외막 바로 안쪽에는 내막이 있다. 이 내막은 여러 겹으로 접혀져 있어서 표면적이 외막보다 훨씬 넓다. 이들 겹쳐진 막은 매우 규칙적이며, 크리스타라고 불리는 선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림 5)
그림 5. 미토콘드리아
4) 지지, 움직임, 그리고 세포사이의 통신
(1) 세포골격
세포의 모양을 유지하고 세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세포의 다양한 이동방식을 제공해준다. 세포골격 섬유의 어떤 것은 ‘운동단백질’의 선로 또는 지지대로 작용한다. 운동 단백질은 세포가 이동하거나 세포 내에서 물질을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다.
미세섬유는 단백질인 액틴으로 된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세포 또는 세포의 부분적 운동을 도우며 세포 형태를 안정화한다. 중간섬유는 질긴 밧줄 모양으로 꼬인 섬유성 단백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세포 구조를 안정화하고 신장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미세소관은 단백질인 튜불린 분자로 만들어진 속이 비어있는 긴 원통 구조로 몇몇 세포에서 견고한 내부골격을 형성하고 세포내 구조물을 수송하는 운동단백질의 통행로로 작용한다. (그림 6)
그림 6. 세포골격
(2) 세포벽
식물세포의 세포벽은 원형질막 바깥쪽의 반강체 구조이다. 세포벽은 다른 복잡한 다당류와 단백질에 매몰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된다. 식물의 세포벽은 세포를 지지해주고 또 이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부피의 확대를 제한한다. 식물에게 병을 일으킬 수 있는 균류나 다른 생물의 감염을 막아주는 장벽으로 작용하며, 식물세포의 확대에 따라 생장함으로써 식물형태 유지에 기여한다.
(3) 세포외 기질
다세포 동물의 세포에는 식물 세포의 특징인 세포벽이 없다. 그러나 많은 동물세포에는 세포외기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거나 연결되어 있다. 이 기질은 콜라겐과 당단백질 같은 섬유성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외 기질은 조직에서 세포를 한데 붙어있게 한다. 연골조직, 피부 그리고 기타 다른 조직들의 물리적인 특성을 강화하며 다른 조직간의 물질 이동에서 여과를 도와준다. 또한 배 발생과 조직의 재생 동안 세포 이동의 방향 설정을 도와주고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화학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참고문헌
1) Neil. A Campbell, 생명과학; 이론과 현상의 이해(제3판), 라이프사이언스, 2001, 41-56
2) William K. Purves et. al, 생명 생물의 과학(제7판), 교보문고, 2007, 59-83
추천자료
미생물과 HIV(에이즈감염바이러스)
유전체학(Genomics)
원생생물의 관찰
원핵생물과 바이러스
[배양][배양법][고체 배양법][춘란 배양법][발효용 비료용 누륵종자 배양법]배양에 영향을 주...
미생물의 분류 및 확인 방법
[화학][화학적][모발][물][내층세포][단백질합성][유전자][생명]모발의 화학적 성질, 물의 화...
지구에서 생명의 기원과 생명의 역사, 생물의 분류
한자로 배우는 생명과학의 적용 및 특징 및 조사분석
생물 정리 (3장~19장)
[원생동물, 원생동물 관찰, 자포동물, 자포동물 관찰, 윤형동물, 윤형동물 관찰, 붕어 관찰]...
원생 생물의 관찰(예비보고서)
생물학 실험보고서 - 원생생물 관찰
분자分子생물학 DNA 복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