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값
2. 실험값 분석
3. 실험값 정리
2. 실험값 분석
3. 실험값 정리
본문내용
5 ℃
따라서 실험값에 따라 어는점 내림 ΔTf의 값은 4.5 로 생각할 수 있다.
※ 식 어는점 내림 ΔTf = 어는점 내림 상수 Kf × 몰랄 농도 m 에서
m = ΔTf / Kf
ΔTf = 4.5 이고 나프탈렌의 Kf = 6.8 이므로
m = 4.5 ÷ 6.8 = 0.661764… ≒ 0.66
즉, 몰랄 농도 m = 0.66 이라는 값이 도출된다.
※ 몰랄 농도 m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질량) × 1000
이때 용질의 몰수 = 용질의 질량 / 용질의 분자량 이다.
여기서 용질의 질량을 WA, 용질의 분자량을 MA, 용매의 질량을 WB라 하면 몰랄농도 m은
m = {WA / (MA × WB)} × 1000 이다.
따라서 용질의 분자량 MA = {WA / (m × WB)} × 1000 이다.
여기서 m = 0.66 WA = 1.00g(미지시료) , WB = 11.00g(나프탈렌) 이므로
MA = {1 ÷ (0.66 × 11)} × 1000 = 137.7410… ≒ 137.7
즉, 미지시료의 분자량 MA = 137.7 이다.
3. 실험값 정리
※ 어는점 내림 ΔTf = 4.5
※ 몰랄 농도 m = 0.66
※ 미지시료의 분자량 MA = 137.7
따라서 실험값에 따라 어는점 내림 ΔTf의 값은 4.5 로 생각할 수 있다.
※ 식 어는점 내림 ΔTf = 어는점 내림 상수 Kf × 몰랄 농도 m 에서
m = ΔTf / Kf
ΔTf = 4.5 이고 나프탈렌의 Kf = 6.8 이므로
m = 4.5 ÷ 6.8 = 0.661764… ≒ 0.66
즉, 몰랄 농도 m = 0.66 이라는 값이 도출된다.
※ 몰랄 농도 m = (용질의 몰수 / 용매의 질량) × 1000
이때 용질의 몰수 = 용질의 질량 / 용질의 분자량 이다.
여기서 용질의 질량을 WA, 용질의 분자량을 MA, 용매의 질량을 WB라 하면 몰랄농도 m은
m = {WA / (MA × WB)} × 1000 이다.
따라서 용질의 분자량 MA = {WA / (m × WB)} × 1000 이다.
여기서 m = 0.66 WA = 1.00g(미지시료) , WB = 11.00g(나프탈렌) 이므로
MA = {1 ÷ (0.66 × 11)} × 1000 = 137.7410… ≒ 137.7
즉, 미지시료의 분자량 MA = 137.7 이다.
3. 실험값 정리
※ 어는점 내림 ΔTf = 4.5
※ 몰랄 농도 m = 0.66
※ 미지시료의 분자량 MA = 137.7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 보고서] 이산화탄소 승화열과 엔탈피
[일반화학실험]지시약과 pH
일반화학실험-결정장갈라짐에너지의측정
[일반화학실험] 평형상수의 결정
[일반화학실험] 결과보고서-평형상수의 결정
[일반화학실험]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Analysis of Gran plot acid and base).pptx
일반화학실험 -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실험 : 과망간산칼륨과 과산화수소의 산화-환원 ...
[일반화학실험] 분자량 측정
[일반화학실험]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일반화학실험] (결과) 엔탈피 측정 :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엔탈피가 상태함수임...
일반화학실험-산화 환원 적정 A+레포트
일반화학실험-승화열 A+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