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작용 원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화학실험] 지시약의 작용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의 목적
2. 실험값과 결과 계산
① HCl과 증류수와 NaOH의 흡광도 비교
② HCl과 NaOH의 흡광도차
3. 실험 후 토의

본문내용

1.039245
0.000035668
0.000014332
-0.39597196
3.86
0.828145
0.000028423
0.000021577
-0.11967885
4.18
0.660343
0.000022663
0.000027337
0.081433454
4.49
0.387026
0.000013283
0.000036717
0.441571017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빨간색 점선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그은 추세선이며, 옆의 식은 추세선의 식이다.)
위 그래프에서 x절편은 4.015708… ≒ 4.01 이다. 이는 다시말해서 의 값이 0일 때의 pH값이 약 4.01 이라는 말과 같다.
식에서 좌변이 0이고, pH가 4.01 이므로 pKHInd의 값도 4.01 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pKHInd의 값은 약 4.01 이다.
3. 실험 후 토의
실험에 따라 pKHInd의 값은 약 4.01이 도출되었다. 지시약의 변색 범위는 도출된 결과값에서 ±1.0 정도로 볼 수 있으므로, 따라서 변색 범위는 pH 3.1~ 5.1 정도가 된다. 브로모페놀블루 용액 변색 범위의 문헌값은 pH 3.0~4.6이므로, 실험값과 문헌값이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오차가 난 원인에 대해 생각해 보면, 먼저 용액 제작시 아주 정밀하게 부피 측정을 하지는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의 pH나 몰농도, 흡광도 등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흡광도는 물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정밀히 측정하나, 용액의 농도가 진할 경우 약간의 오차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0.05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