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현수교
1. 현수교
2. 장∙단점
3. 특징/설명
Ⅱ. 사장교
Ⅲ. 아치교
1. 아치교
2. 장∙단점
3. 특징/설명
1) 타이드 아치교
2) 랭거 아치교
3) 로제 아치교
4) 닐센 아치교
Ⅳ. 트러스교
Ⅴ. 빔교
참고문헌
1. 현수교
2. 장∙단점
3. 특징/설명
Ⅱ. 사장교
Ⅲ. 아치교
1. 아치교
2. 장∙단점
3. 특징/설명
1) 타이드 아치교
2) 랭거 아치교
3) 로제 아치교
4) 닐센 아치교
Ⅳ. 트러스교
Ⅴ. 빔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리하며 비교적 간단하고 손쉬운 설비로 가설할 수가 있다. 사용되는 트러스의 형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평행현(平行弦)의 워런트러스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Ⅴ. 빔교
횡하중을 지지하는 가늘고 긴 봉재.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목재구조 등 건축뼈대를 구성하는 길고 가느다란 봉재 중 수평방향으로 놓여 주로 그 재축선에 수직방향으로 횡하중을 지탱하는 작용을 한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보는 그 자중이나 바닥슬래브와 벽 등의 중량 외에 바닥슬래브 위에 있는 적재물의 중량도 지탱한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보는 그 자중이나 바닥슬래브와 벽 등의 중량 외에 바닥슬래브 위에 있는 적재물의 중량도 지탱한다. 보는 그 양 끝에서 기둥에 접합되어 지지되는데 교량보도 그 하중지지작용면에서 말하면 보의 일종이며 지주나 교대 위의 지승으로 지지된다. 보는 횡하중의 작용을 받으면 휘어진다.
빔교는 가장 많이 쓰이는데 그 이유는 가장 만들기가 쉽기 때문이며, 교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빔을 한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를 걸치고 그 위에 다리의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성하면 된다.
●빔의 종류
대들보, 종보(마루보), 충량(저울대보), 퇴보, 우미량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우현, 교량공학, 청문각, 1999
◈ 이승우, 실무 현수교의 계획 및 설계, 건설정보사, 2003
◈ 알도로시, 도시의 건축
◈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 요령, 1992
◈ 한국도로공사, 산이 막히면 터널을 뚫고 강이 흐르면 다리를 놓고 : 경부고속도로 건설이야기, 한국도로공사, 2000
Ⅴ. 빔교
횡하중을 지지하는 가늘고 긴 봉재.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목재구조 등 건축뼈대를 구성하는 길고 가느다란 봉재 중 수평방향으로 놓여 주로 그 재축선에 수직방향으로 횡하중을 지탱하는 작용을 한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보는 그 자중이나 바닥슬래브와 벽 등의 중량 외에 바닥슬래브 위에 있는 적재물의 중량도 지탱한다.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의 보는 그 자중이나 바닥슬래브와 벽 등의 중량 외에 바닥슬래브 위에 있는 적재물의 중량도 지탱한다. 보는 그 양 끝에서 기둥에 접합되어 지지되는데 교량보도 그 하중지지작용면에서 말하면 보의 일종이며 지주나 교대 위의 지승으로 지지된다. 보는 횡하중의 작용을 받으면 휘어진다.
빔교는 가장 많이 쓰이는데 그 이유는 가장 만들기가 쉽기 때문이며, 교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빔을 한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를 걸치고 그 위에 다리의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성하면 된다.
●빔의 종류
대들보, 종보(마루보), 충량(저울대보), 퇴보, 우미량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이우현, 교량공학, 청문각, 1999
◈ 이승우, 실무 현수교의 계획 및 설계, 건설정보사, 2003
◈ 알도로시, 도시의 건축
◈ 한국도로공사, 도로설계 요령, 1992
◈ 한국도로공사, 산이 막히면 터널을 뚫고 강이 흐르면 다리를 놓고 : 경부고속도로 건설이야기, 한국도로공사,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