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한반도에서 삼국시대 이전의 한자수용
2) 고구려, 백제의 한문 사용과 한자 표기
3) 신라의 한자 수용과 차자 표기의 발달
3.결론
2.본론
1) 한반도에서 삼국시대 이전의 한자수용
2) 고구려, 백제의 한문 사용과 한자 표기
3) 신라의 한자 수용과 차자 표기의 발달
3.결론
본문내용
하였으나 스스로 자국어에 맞는 차자표기 방법을 발전시켰으며 앞의 두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한문의 보급이 늦었던 신라에서는 자국어의 표기에서 일찍부터 차자의 방법에 많이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는 한자음이 통일되지 않아서 차자표기의 상호 교환에 많은 혼란이 있었으며 삼국이 정립했던 시기에는 各國이 독자적으로 차자표기의 방법을 개발하여 한문으로 번역이 곤란한 자국어의 고유명사 등을 표기하였다. 신라의 차자표기 자료는 다른 두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금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그 표기 방법의 변천을 역사적으로 조감할 수가 있었다. 신라에서는 5세기경 고구려, 백제의 차자 방법을 모방하여 부분적인 차자표기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6세기경에 문장의 종결어미 등의 형태부를 표기하기에 이르렀다. 7세기 들어와서 경어법과 시제의 선어말을 표기하였으며 향찰표기와 같은 전면적인 신라어의 차자표기는 8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도되어 9세기에 이르러 어느 정도 체계가 완성되었다. 신라에서는 초기에 고구려, 백제의 차자 방법을 모방한 것으로 추정되나 점차 독자적인 표기법을 개발하였으며 특히 설총은 석독구결의 방법을 집성하여 보급함으로써 차자표기 방법에 일대 혁신을 가져왔고 고려에도 계승되었다.
참고자료
국어사 연구회, 『국어사 연구』, 태학사, 1997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편찬위원회,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4
정광, 韓半島에서 漢字의 受容과 借字表記의 遷, 구결학회, 2003
video
포항mbc, 특집프로그램, 이두 우리말 그 천년의 여정, 2009년 4월 27일
참고자료
국어사 연구회, 『국어사 연구』, 태학사, 1997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편찬위원회, 『한국어의 역사』, 보고사, 2004
정광, 韓半島에서 漢字의 受容과 借字表記의 遷, 구결학회, 2003
video
포항mbc, 특집프로그램, 이두 우리말 그 천년의 여정, 2009년 4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