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목적
Ⅲ.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제요소
Ⅳ.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방침
Ⅴ.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과정
Ⅵ.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방법
1. 단위수량의 결정
2. 단위시멘트량 및 단위굵은굴재량의 결정
3.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혼화제량의 결정
Ⅶ.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할증계수
Ⅷ.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요령
Ⅸ.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대한 견해
참고문헌
Ⅱ.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목적
Ⅲ.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제요소
Ⅳ.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방침
Ⅴ.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과정
Ⅵ.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방법
1. 단위수량의 결정
2. 단위시멘트량 및 단위굵은굴재량의 결정
3.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혼화제량의 결정
Ⅶ.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할증계수
Ⅷ.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요령
Ⅸ.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대한 견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은 KS F 2505의 골재의 단위중량 시험방법에 의해서 구한다.
단위시멘트량(㎏f/㎠) = 단위수량 × 100/물시멘트비
단위굵은골재량(㎏/㎥) =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
× 굵은골재 단위용적중량(㎏/㎥)
굵은골재 절대용적(ℓ/㎥) =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
× 굵은골재 실적률(%) × 1000/100
= 단위굵은골재량(㎏/㎥)/굵은골재의 비중(㎏/ℓ)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의 표준값은 아래와 같다. 워커빌리티가 동일한 경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커질수록 단위굵은골재 겉보기 요억을 크게 할 수 있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mm를 넘는 경우에는 아래의 굵은골재 25mm의 값을 보정하는 것이 좋다.
3.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혼화제량의 결정
단위잔골재량은 구해진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 단위굵은골재량 및 미리 정해준 공기량을 이용하여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Vs = 1000 -(Vw + Vc + Vs + Va)
단위잔골재량(㎏/㎥) = Vs × 잔골재의 비중
여기서, Vs : 잔골재의 절대용적(ℓ/㎥)
Vw : 단위수량(ℓ/㎥)
Vc : 시멘트의 절대용적(ℓ/㎥)
Vg : 굵은골재의 절대용적(ℓ/㎥)
Va : 공기의 절대용적(ℓ/㎥), Va = 공기량(%) × 10
(표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량을 1%로 한다.)
그리고 단위혼화재량은 사용하는 혼화재의 종류에 의해 정해져 있는 추천량을 사용한다.
Ⅶ.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할증계수
배합강도란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품질의 변화 및 구조물의 중요성을 생각하여 설계기준강도에 할증계수를 곱한 것이 배합강도이다. 즉,
여기서 할증계수는 현장에서 예상되는 콘크리트 강도의 변동계수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다.
Ⅷ.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요령
(1) 설계기준강도 및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품질변화 고려
(2) 설계기준강도이하로 되는 일이 1/20이상의 확률로 일어나서는 안 된다.
(3) 시방서
(가) 고급콘크리트의 경우
: 고급 경우
레미콘 경우 - 공장에서 표준편차로 결정
현장 비비기 경우 - 25로 결정
(나) 미국(ACI-363), USD
혹은
여기서, kgf/cm2로 결정
(다) 일본
① JASS - 5N \"원자력 발전소에 관한 철근 콘크리트 공사“
단. 월
의 10%
② 일본의 건축공사 시방서
Base Concrete나 S.P.제 첨가 후
여기서, F : 콘크리트 배합강도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 콘크리트강도의 표준편차
T : 타설 후 28일 동안의 예상 평균기온에 의한 콘크리트강도의 보정 값
Ⅸ.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대한 견해
배합설계의 기본적인 견해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경화콘크리트의 품질)에서 물시멘트비를 정하고 소요의 반죽질기에서 수량을 정하는 동시에 분리가 적은 플라스틱한 콘크리트가 얻어지도록 잔굵은 골재의 비율을 정한다.
배합설계법에는 試的방법과 간이방법이 있다. 현재로 시적방법에 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기 때문에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공장, 대규모공사 등 시험설비, 인원 등이 갖추어 있는 곳에서는 시적방법에 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소규모공사에서는 배합참고표 등을 이용해도 좋다.
참고문헌
문한영, 건설재과학, 동명사, 1996
박승범, 최신 토목재료 실험, 문운당, 1996
정상진외 9인, 건축재료학, 기문당
한국콘크리트학화, 콘크리트 혼화재료, 기문당, 1997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 15권 2호(통권 74호), 2003
한국산업규격,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1999
단위시멘트량(㎏f/㎠) = 단위수량 × 100/물시멘트비
단위굵은골재량(㎏/㎥) =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
× 굵은골재 단위용적중량(㎏/㎥)
굵은골재 절대용적(ℓ/㎥) =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
× 굵은골재 실적률(%) × 1000/100
= 단위굵은골재량(㎏/㎥)/굵은골재의 비중(㎏/ℓ)
보통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단위굵은골재 겉보기용적의 표준값은 아래와 같다. 워커빌리티가 동일한 경우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커질수록 단위굵은골재 겉보기 요억을 크게 할 수 있다. 굵은골재의 최대치수가 25mm를 넘는 경우에는 아래의 굵은골재 25mm의 값을 보정하는 것이 좋다.
3. 단위잔골재량 및 단위혼화제량의 결정
단위잔골재량은 구해진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 단위굵은골재량 및 미리 정해준 공기량을 이용하여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Vs = 1000 -(Vw + Vc + Vs + Va)
단위잔골재량(㎏/㎥) = Vs × 잔골재의 비중
여기서, Vs : 잔골재의 절대용적(ℓ/㎥)
Vw : 단위수량(ℓ/㎥)
Vc : 시멘트의 절대용적(ℓ/㎥)
Vg : 굵은골재의 절대용적(ℓ/㎥)
Va : 공기의 절대용적(ℓ/㎥), Va = 공기량(%) × 10
(표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기량을 1%로 한다.)
그리고 단위혼화재량은 사용하는 혼화재의 종류에 의해 정해져 있는 추천량을 사용한다.
Ⅶ.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할증계수
배합강도란 콘크리트의 배합 설계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품질의 변화 및 구조물의 중요성을 생각하여 설계기준강도에 할증계수를 곱한 것이 배합강도이다. 즉,
여기서 할증계수는 현장에서 예상되는 콘크리트 강도의 변동계수 및 구조물의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다.
Ⅷ. 콘크리트 배합설계의 요령
(1) 설계기준강도 및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품질변화 고려
(2) 설계기준강도이하로 되는 일이 1/20이상의 확률로 일어나서는 안 된다.
(3) 시방서
(가) 고급콘크리트의 경우
: 고급 경우
레미콘 경우 - 공장에서 표준편차로 결정
현장 비비기 경우 - 25로 결정
(나) 미국(ACI-363), USD
혹은
여기서, kgf/cm2로 결정
(다) 일본
① JASS - 5N \"원자력 발전소에 관한 철근 콘크리트 공사“
단. 월
의 10%
② 일본의 건축공사 시방서
Base Concrete나 S.P.제 첨가 후
여기서, F : 콘크리트 배합강도
: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
: 콘크리트강도의 표준편차
T : 타설 후 28일 동안의 예상 평균기온에 의한 콘크리트강도의 보정 값
Ⅸ.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대한 견해
배합설계의 기본적인 견해는 소요의 강도, 내구성, 수밀성 등(경화콘크리트의 품질)에서 물시멘트비를 정하고 소요의 반죽질기에서 수량을 정하는 동시에 분리가 적은 플라스틱한 콘크리트가 얻어지도록 잔굵은 골재의 비율을 정한다.
배합설계법에는 試的방법과 간이방법이 있다. 현재로 시적방법에 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기 때문에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공장, 대규모공사 등 시험설비, 인원 등이 갖추어 있는 곳에서는 시적방법에 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소규모공사에서는 배합참고표 등을 이용해도 좋다.
참고문헌
문한영, 건설재과학, 동명사, 1996
박승범, 최신 토목재료 실험, 문운당, 1996
정상진외 9인, 건축재료학, 기문당
한국콘크리트학화, 콘크리트 혼화재료, 기문당, 1997
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 15권 2호(통권 74호), 2003
한국산업규격, 포틀랜드 시멘트(KS L 5201), 1999
추천자료
건축 구조 실험(콘크리트 강도실험 결과보고)
잔골재비중및흡수량시험
재료레포트-골재의단위용적및중량시험
시멘트의 비중시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콘크리트 강도와 표준편차
철근콘크리트역학실험-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쪼갬인장강도실험
노출콘크리트
[토목재료학] 골재의 체가름 시험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시공재료, 구성부재, 조립부품의 규격 및 관습
건축시공_철근콘크리트의 시공재료, 구성부재, 조립부품을 생산하고 사용하는 원리, 관습, 규...
[시험 보고서]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
[건축과]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 (concrete batch plant)
특수 콘크리트의 종류와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