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문화의 이해-대중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 문화의 이해-대중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디지털 기술과 문화

Ⅱ. 본론
1. 디지털 문화의 특성
1)디지털 문화
2)디지털로 구현된 인터넷 미디어
3)문화에서 대중문화로 이어가기

2. 인터넷을 통한 문화의 확산

3. 디지털 시대의 문화 향유
1)음악감상과 인터넷
2)영화감상과 인터넷
3)온라인 문화 동호회

Ⅲ. 결론
디지털 시대의 대중문화 지향점

본문내용

문화동호회는 다음과 네이버 사이트에 형성된 온라인 커뮤니티의 수 중 약 30~40%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연이나 영화, 연예인 팬카페 등을 중심으로 회원을 수만 명씩 거느린 동호회들이 여론을 주도하면서 문화시장의 새로운 중심 집단으로 떠올랐다.
Ⅲ. 결론
디지털 사회의 대중문화의 변화와 지향점
문화영역에 있어 정보기술은 산재하고 있던 아날로그 문화정보 및 아카이브 갖가지 자료와 소장품ㆍ서류 등을 디지털 정보로 바꾸어서 보관하는 일.
의 디지털화, 문화 관련된 정보 검색,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 영상 파일의 업로드, 다운로드, 온라인에서 네티즌들의 감상과 비평 교환 등을 가능하게 한 촉진자(enabler)로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컴퓨터, 휴대전화, MP3 플레이어, PMP 음악 재생은 물론 동영상 재생이나 디지털카메라 기능까지 갖춘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Portable Media Player)등 디지털 기기를 통한 문화콘텐츠의 소비가 확대되면서 문화콘텐츠 향유 방식에는 큰 변화가 일고 있다.
첫째,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문화향유의 개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다.
둘째, 카페로 대표되는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향유방식과 견해를 쉽게 참고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문화의 확산과 문화적 지식의 심화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셋째, 다양한 문화를 보다 손쉽게 접근하게 됨으로써 부분적으로 문화의 민주화가 이루어졌다.
넷째, 문화적 잡종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디지털 시대에 맞춰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정부는 정보격차 해소 정책의 방향은 소외계층이 정보화로 얻을 수 있는 만족과 그에 대한 기대수준을 끌어올려 대중문화가 발전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따라서 정부의 정보격차 해소 정책은 이제 부처간 협력 사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인터넷이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배제를 부분적으로나마 극복하는 광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문화 향수가 인터넷 사용의 중요한 이유로 등장하고 이러한 문화 향수 욕구 자체가 오프라인에서 길러지는 만큼 문화소외계층이 정보소외계층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문화 해득 뜻을 깨쳐 앎.
력의 제고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생산되고 집적되는 여러 정보가 공공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사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건전하고 의미 있는 커뮤니티에 대해서는 아카이브화 등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 인터넷 문화동호회 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단체 시사회나 영화관람 등, 오프라인 모임을 가질 수 있는 장소로 기존의 공공 문화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서명
저자
발행처
발행년
대중문화의 이해
(Understand popular culture)
김창남
한울아카데미
2003
디지털 시대의
문화 수용 방식에 관한 연구
이호영, 박현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5
디지털시대의 대중문화
이동성
論文集
2003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10.1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