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집중호우의 정의
Ⅲ. 집중호우의 특성
1. 호우
2. 태풍
Ⅳ. 집중호우의 원인
Ⅴ. 집중호우의 기온
Ⅵ. 집중호우와 토양유실
Ⅶ. 집중호우의 사전대비책
1. 가정에서
2. 상습침수지역에서
3.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
4. 어촌 및 해인 지역에서
5. 계곡 야영․해수욕․낚시터에서
6. 각종 공사장에서
참고문헌
Ⅱ. 집중호우의 정의
Ⅲ. 집중호우의 특성
1. 호우
2. 태풍
Ⅳ. 집중호우의 원인
Ⅴ. 집중호우의 기온
Ⅵ. 집중호우와 토양유실
Ⅶ. 집중호우의 사전대비책
1. 가정에서
2. 상습침수지역에서
3.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
4. 어촌 및 해인 지역에서
5. 계곡 야영․해수욕․낚시터에서
6. 각종 공사장에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의 입도, 투수성, 유기물 함량, 식물상, 토양관리방식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하여 각 요인들에 의한 영향의 범위가 넓어 한 곳에서 적용된 모델을 일반화하기는 아직도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경사가 심한 지역에서 집중호우시의 토양 유실량을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현장 측정에서 얻는 자료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Ⅶ. 집중호우의 사전대비책
1. 가정에서
● 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 사전에 점검·보수하고, 낡은 지붕은 비닐 등으로 단단히 덮고 묶어서 폭풍우에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한다.
●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양수기손전등비상식량식수비닐봉지 등을 준비한다.
2. 상습침수지역에서
● 대피로지정된 학교의 대비장소헬기장을 반드시 알아두고 전화확성기 등 통신수단을 확보하여 둔다.
●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 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이웃 간의 연락방법을 강구한다.
3.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
배수로를 정비하고 가건물비닐하우스 등은 버팀대를 보강하거나 단단히 묶도록 하고 위험한 급경사나 산사태가 날 우려가 있는 곳을 미리 점검해 위험이 있는 곳은 접근을 막아야 한다.
4. 어촌 및 해인 지역에서
수산 증양식시설물을 점검하여 균열파손부분은 사전보수하고 어선의 통신장비항해장비구명장비 등의 기능을 점검하여 둔다.
5. 계곡 야영해수욕낚시터에서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 시 스스로 판단하여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6. 각종 공사장에서
배수시설 및 양수기 등 응급대책에 필요한 수방물자롤 비축하고 취약요인에 대한 일제점검 및 정비를 실시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막도록 한다.
참고문헌
김양수 연구원, 우리나라의 홍수재해 특성 및 대응방안, 국립방재연구소
박순웅·정창희·김성삼·윤순창·정영근·홍성길, 1984년 9월 1-3일에 한국에서 발생한 호우의 종관적 특징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22(1), 1986
심재현·고영찬, 재해영향평가제 도입방안 연구 - 홍수재해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1994
삼척시청, 수해백서, 강원일보출판국, 2004
정흥수·심재현, 8월 홍수피해와 방재대책의 개선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5호, 1995
태풍 루사에 의한 강릉 지방 집중 호우 발생 기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따라서 경사가 심한 지역에서 집중호우시의 토양 유실량을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현장 측정에서 얻는 자료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Ⅶ. 집중호우의 사전대비책
1. 가정에서
● 집과 주변에 비가 새거나 무너져 내릴 곳이 없는지 사전에 점검·보수하고, 낡은 지붕은 비닐 등으로 단단히 덮고 묶어서 폭풍우에 날아가지 않도록 한다.
● 집 안팎의 하수구는 물론 배수구의 막힌 곳을 정비하고, 오래된 축대담장은 넘어질 우려가 없는지 미리 정비한다.
●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양수기손전등비상식량식수비닐봉지 등을 준비한다.
2. 상습침수지역에서
● 대피로지정된 학교의 대비장소헬기장을 반드시 알아두고 전화확성기 등 통신수단을 확보하여 둔다.
●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 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비치하고 이웃 간의 연락방법을 강구한다.
3. 농촌이나 산간지역에서
배수로를 정비하고 가건물비닐하우스 등은 버팀대를 보강하거나 단단히 묶도록 하고 위험한 급경사나 산사태가 날 우려가 있는 곳을 미리 점검해 위험이 있는 곳은 접근을 막아야 한다.
4. 어촌 및 해인 지역에서
수산 증양식시설물을 점검하여 균열파손부분은 사전보수하고 어선의 통신장비항해장비구명장비 등의 기능을 점검하여 둔다.
5. 계곡 야영해수욕낚시터에서
라디오를 휴대하여 기상청취를 습관화하고 기상악화 시 스스로 판단하여 자만심을 버리고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6. 각종 공사장에서
배수시설 및 양수기 등 응급대책에 필요한 수방물자롤 비축하고 취약요인에 대한 일제점검 및 정비를 실시하여 안전사고를 미리 막도록 한다.
참고문헌
김양수 연구원, 우리나라의 홍수재해 특성 및 대응방안, 국립방재연구소
박순웅·정창희·김성삼·윤순창·정영근·홍성길, 1984년 9월 1-3일에 한국에서 발생한 호우의 종관적 특징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22(1), 1986
심재현·고영찬, 재해영향평가제 도입방안 연구 - 홍수재해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1994
삼척시청, 수해백서, 강원일보출판국, 2004
정흥수·심재현, 8월 홍수피해와 방재대책의 개선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제28권 제5호, 1995
태풍 루사에 의한 강릉 지방 집중 호우 발생 기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추천자료
비만(과체중)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안 [A+ 대박자료]
산성비에 대해
신생아집중치료실(NICU)에서 사용하는 기구
[산성비][산성비 원인][산성비 영향][산성도][산성비에 대한 각국의 대응책]산성비의 정의, ...
[기상현상][기압][전선][강수][기단][황사][집중호우][열대야][태풍]기상현상과 기압 그리고 ...
[비][빗물이용시설][산성비][전통사회][빗물이용시설 비용편익][빗물이용시설 정책방향]비의 ...
[비][비의 개념][비의 생성][비의 원인][비와 산성비][비와 전통문화]비의 개념, 비의 생성, ...
[집중호우][강수량][Q벡터이용 선행조건판별][집중호우의 대처요령]집중호우의 개념, 집중호...
비는 어디서 내릴까(지구 환경, 이야기 나누기) 유아교육 모의 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