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서 론
2 . 2 0 세 기 1 0 대 패 션 혁 명
3 . 2 0 세 기 패 션 의 흐 름
4 . 결 론
2 . 2 0 세 기 1 0 대 패 션 혁 명
3 . 2 0 세 기 패 션 의 흐 름
4 . 결 론
본문내용
가는 허리와 둥근 힙, 밑단 쪽으로 길고 풍부하게 퍼지는 플레어 스커트의 뉴룩은 귀족적 취향의 부르조아적 패션의 재생인 동시에 현대 여성의 착장미(着裝美)가 정착된 스타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50년대
1950년대는 젊은이들이 패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소유하게 되었고 영화배우 스타일이 인기를 끌었다. 소녀들은 먼로를, 소년들은 엘비스, 제임스 딘과 같은 반항아, 화난 젊은이, 방관자의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며 디오르는 수많은 라인(H, A, Y, F-Line)을 발표하였고 여성들의 바지 착용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1951년의 리바이스사(Levi's)사의 등장은 이러한 경향을 촉진시켰다. 크리스토벌 발렌시아가는 편안한 의상을 만드는 데 주력하였으며 솔기를 적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남성 복식은 기본적으로 효율적이고 단순한 이미지로서 회색 프란넬이 널리 착용되었다
1960년대
1960년대는 영국이 패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3C 시대(Color TV, Car, Cooler)가 되었고,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철학이 성행하였다. 패션에 있어서는 대량 생산과 일상성을 표현한 팝 아트, 색채면에서는 대담한 몬드리안룩 형태와 구성면에서는 단순한 최소 표현 기법인 미니멀리즘이 반영되었다.
1965년에는 영국의 메리퀀트가 스피드 시대의 추세에 부합하여 선보인 영 패션과 무릎 위 10~20cm의 초미니 스커트가 선풍적인 인기였으며, 이는 금속사 스타킹과 긴 부츠의 폭발적인 수요를 가져왔다. 여성들은 영국의 패션 모델 특유의 야윈 몸매에 인조 속눈썹을 붙이고 주근깨가 있는 모습을 선호하였다. 이 시기 또 다른 경향을 남녀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니섹스 경향으로 진(jean)이 등장하였다.
남성 복식도 전체적으로 슬림한 슈트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개성이 중시되면서 네루 재킷이 인기를 끌었다.
1970년대
1970는 세계적인 유류 파동으로 인플레가 심했으며 절약이 미덕인 시대가 되었다. 이브 생 로랑은 '르 스모킹(le smorking)'이라는 팬츠 슈트를 소개하여 여성들의 바지 유행에 초석을 놓았으며 레이어드룩, 빅룩이 유행했고 스웨터, 진, 티셔츠 등의 캐주얼화가 급부상하였다.
남성 복식은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정장의 사무복 대신 레저 웨어와 스포츠 웨어를 즐겨 입었으며 1970년대 말에는 모자가 달린 조깅복이 유행하였다.
1980년대
1980년대는 세계 각국의 문화의 표출과 새로운 디자이너들의 등장으로 패션 경향이 역사적인 요소, 민속적인 요소, 인간과 자연의 사회적인 요소 등을 다원적이면서도 절충적으로 도입하는 특징을 보였다. 조르지오 아르마니(Georgio Armani)는 아주 잘 차려 입은 커리어 우먼의 '테일러드룩'으로 1980년대 유행의 창조자가 되었으며, 성공한 사람들을 표현해 주는 의상에 대해 관심과 수요의 증가는 디자이너 상표가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스포츠 웨어가 필수품으로 등장하면서 운동복과 상표 인지도가 높은 운동화가 인기가 높았다.
1990년대
1990년대는 산업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국제화 또는 세계화되는 새로운 21세기로 이행되는 시기인 동시에 세기말적 경향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1990년대는 특별히 어떤 양식이 정해져 있지 않고 잘 어울린다고 느껴지는 것을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표현하는 다양한 스타일이 혼합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더 이상 패션에 있어서 고정된 법칙이 적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의복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고 스트리트 패션은 여전히 유행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 세계 패션을 이끄는 디자이너를 한 사람으로 구체화시키기 보다는 스타일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즉, 랄프 로렌(Ralph Lauren), 캘빈 클라인(Calvin Klein), 도나 카란(Donna Karan) 등은 단순하면서 캐주얼한 미국 스타일을 창조하고 있으며, 조르지오 아르마니(Georgio Armani), 소니아 리키엘(Sonia Ryliel), 타이 앤 로지타 미소니(Tai & Rosita Misoni) 등의 이탈리아 디자이너들은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밖에도 극단적인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헬무트 랑(Helmut Lang), 동화적 소재의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스트리트 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전위적인 경향을 강조한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돌체 가바나(Dolce & Gabbana) 등이 있다.
결 론
과거의 패션은 부분적으로 차용되어 현재적인 신소재나 디테일, 혹은 에스닉한 요소들과 결합되거나 여러 시대의 스타일이 혼합된 절충적인 스타일로 만들어진다.
오래 전부터 과거의 복식은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스타일 창조를 위한 영감을 제공해왔지만 최근 문화전반에 일고 있는 복고 열풍과 함께 비교적 가까운 과거라 할 수 있는 지난 100년간의 패션이 가장 매혹적인 훌륭한 스타일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다.
시즌마다 발표되는 세계 유명 디자이너의 컬렉션에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패션 스타일이나 패션 아이콘을 부활시킨 레트로 룩이 등장한다.
20세기 초의 아르누보 스타일, 1920년대의 히피스타일, 1940년대의 밀리터리 룩, 1950년대의 뉴룩, 1960년대의 히피스타일, 1970년대의 디스코 룩등은 일반인들에게도 낯설지 않을 것이다.
특히 요즘 1960년대, 70년대, 그리고 80년대 스타일이 자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우리가 기억할 수 있거나 어렴풋이 느낄수 있는 가깝고도 친숙한 과거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차가운 디지털 시대에서 과거, 따뜻한 아날로그의 기억을 인간들이 회상하고, 이것이 패션으로 창출된다
패션을 안다는 것은 그 시대의 흐름 / 정점을 알고 있다는 것이라 감히 칭한다.
본인은 20세기의 패션을 조사하며 동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핵심부분에 패션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향후 미래 트렌드를 읽는데 있어, 과거 패션의 역사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 키워드라는 것을 알았다.
“과거는 결코 오래된 관습이나 습관이 아닌
미래를 가장 잘 읽을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1950년대
1950년대는 젊은이들이 패션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재정적 능력을 소유하게 되었고 영화배우 스타일이 인기를 끌었다. 소녀들은 먼로를, 소년들은 엘비스, 제임스 딘과 같은 반항아, 화난 젊은이, 방관자의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며 디오르는 수많은 라인(H, A, Y, F-Line)을 발표하였고 여성들의 바지 착용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1951년의 리바이스사(Levi's)사의 등장은 이러한 경향을 촉진시켰다. 크리스토벌 발렌시아가는 편안한 의상을 만드는 데 주력하였으며 솔기를 적게 하려고 노력하였다.
남성 복식은 기본적으로 효율적이고 단순한 이미지로서 회색 프란넬이 널리 착용되었다
1960년대
1960년대는 영국이 패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3C 시대(Color TV, Car, Cooler)가 되었고,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철학이 성행하였다. 패션에 있어서는 대량 생산과 일상성을 표현한 팝 아트, 색채면에서는 대담한 몬드리안룩 형태와 구성면에서는 단순한 최소 표현 기법인 미니멀리즘이 반영되었다.
1965년에는 영국의 메리퀀트가 스피드 시대의 추세에 부합하여 선보인 영 패션과 무릎 위 10~20cm의 초미니 스커트가 선풍적인 인기였으며, 이는 금속사 스타킹과 긴 부츠의 폭발적인 수요를 가져왔다. 여성들은 영국의 패션 모델 특유의 야윈 몸매에 인조 속눈썹을 붙이고 주근깨가 있는 모습을 선호하였다. 이 시기 또 다른 경향을 남녀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니섹스 경향으로 진(jean)이 등장하였다.
남성 복식도 전체적으로 슬림한 슈트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개성이 중시되면서 네루 재킷이 인기를 끌었다.
1970년대
1970는 세계적인 유류 파동으로 인플레가 심했으며 절약이 미덕인 시대가 되었다. 이브 생 로랑은 '르 스모킹(le smorking)'이라는 팬츠 슈트를 소개하여 여성들의 바지 유행에 초석을 놓았으며 레이어드룩, 빅룩이 유행했고 스웨터, 진, 티셔츠 등의 캐주얼화가 급부상하였다.
남성 복식은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정장의 사무복 대신 레저 웨어와 스포츠 웨어를 즐겨 입었으며 1970년대 말에는 모자가 달린 조깅복이 유행하였다.
1980년대
1980년대는 세계 각국의 문화의 표출과 새로운 디자이너들의 등장으로 패션 경향이 역사적인 요소, 민속적인 요소, 인간과 자연의 사회적인 요소 등을 다원적이면서도 절충적으로 도입하는 특징을 보였다. 조르지오 아르마니(Georgio Armani)는 아주 잘 차려 입은 커리어 우먼의 '테일러드룩'으로 1980년대 유행의 창조자가 되었으며, 성공한 사람들을 표현해 주는 의상에 대해 관심과 수요의 증가는 디자이너 상표가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스포츠 웨어가 필수품으로 등장하면서 운동복과 상표 인지도가 높은 운동화가 인기가 높았다.
1990년대
1990년대는 산업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국제화 또는 세계화되는 새로운 21세기로 이행되는 시기인 동시에 세기말적 경향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1990년대는 특별히 어떤 양식이 정해져 있지 않고 잘 어울린다고 느껴지는 것을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표현하는 다양한 스타일이 혼합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더 이상 패션에 있어서 고정된 법칙이 적용되지 않게 되었으며, 의복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고 스트리트 패션은 여전히 유행에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 세계 패션을 이끄는 디자이너를 한 사람으로 구체화시키기 보다는 스타일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즉, 랄프 로렌(Ralph Lauren), 캘빈 클라인(Calvin Klein), 도나 카란(Donna Karan) 등은 단순하면서 캐주얼한 미국 스타일을 창조하고 있으며, 조르지오 아르마니(Georgio Armani), 소니아 리키엘(Sonia Ryliel), 타이 앤 로지타 미소니(Tai & Rosita Misoni) 등의 이탈리아 디자이너들은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밖에도 극단적인 미니멀리즘을 추구하는 헬무트 랑(Helmut Lang), 동화적 소재의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스트리트 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전위적인 경향을 강조한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돌체 가바나(Dolce & Gabbana) 등이 있다.
결 론
과거의 패션은 부분적으로 차용되어 현재적인 신소재나 디테일, 혹은 에스닉한 요소들과 결합되거나 여러 시대의 스타일이 혼합된 절충적인 스타일로 만들어진다.
오래 전부터 과거의 복식은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스타일 창조를 위한 영감을 제공해왔지만 최근 문화전반에 일고 있는 복고 열풍과 함께 비교적 가까운 과거라 할 수 있는 지난 100년간의 패션이 가장 매혹적인 훌륭한 스타일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다.
시즌마다 발표되는 세계 유명 디자이너의 컬렉션에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패션 스타일이나 패션 아이콘을 부활시킨 레트로 룩이 등장한다.
20세기 초의 아르누보 스타일, 1920년대의 히피스타일, 1940년대의 밀리터리 룩, 1950년대의 뉴룩, 1960년대의 히피스타일, 1970년대의 디스코 룩등은 일반인들에게도 낯설지 않을 것이다.
특히 요즘 1960년대, 70년대, 그리고 80년대 스타일이 자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우리가 기억할 수 있거나 어렴풋이 느낄수 있는 가깝고도 친숙한 과거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차가운 디지털 시대에서 과거, 따뜻한 아날로그의 기억을 인간들이 회상하고, 이것이 패션으로 창출된다
패션을 안다는 것은 그 시대의 흐름 / 정점을 알고 있다는 것이라 감히 칭한다.
본인은 20세기의 패션을 조사하며 동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의 핵심부분에 패션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향후 미래 트렌드를 읽는데 있어, 과거 패션의 역사를 습득하는 것이 중요 키워드라는 것을 알았다.
“과거는 결코 오래된 관습이나 습관이 아닌
미래를 가장 잘 읽을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패션과 현대생환
현대예술과 관련된 패션스타일인 포스트모던 룩, 팝아트 룩, 펑크 룩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
이랜드 기업분석(연혁/역사/SWOT/4P)
테니스의 역사
포스트모던패션
유니클로 기업소개,SPA브랜드 소개,유니클로패션마케팅,SPA,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
유니클로-기업분석,마케팅사례,패션의류,spa브랜드소개,유니클로경영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
골프웨어의 가격과 기능에 대한 고찰
울산시(울산광역시)의 역사, 발전과정, 울산시(울산광역시)의 공업단지, 울산시(울산광역시)...
패션마케팅 리포지셔닝 브랜드 ‘라코스테 (LaCoste)’
기생의 역사
뉴 발란스(Newbalance)의 성공전략 & 109년 런닝화를 향한 기술력과 연구개발의 역사 : ...
[패션리테일링앤머천다이징 공통]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무점포 소매업 중에서 인터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