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생산공급관리 개요
2장. 생산공급전략
3장. 프로젝트 관리
4장. 제품 및 서비스설계
5장. 전략적 능력관리
7장. 제조 프로세스
2장. 생산공급전략
3장. 프로젝트 관리
4장. 제품 및 서비스설계
5장. 전략적 능력관리
7장. 제조 프로세스
본문내용
합+프로세스간의 이동시간의 합
(18) 작업처리율 : 시스템이 단위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능력
(19) 프로세스속도 (작업처리율) : 부가가치시간에 대한 처리시간의 비율
(20) 부가가치시간 : 단위에 유용한 작업이 부가되어 완료되는 시간
(21) 리틀의 법칙 : 작업처리율, 처리시간, 재공품 재고량 간의 수학적 관게. 처리시간=재공품/작업처리율
7장. 제조 프로세스
결론
고객 취향에 맞게 제품을 설계하는 영역은 예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품을 만드는 과정은 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설계에서부터 고객까지의 과정은 관리라고 볼 수 있다. 세계 선도제조업체들은 이러한 과정들의 빠르고 유연한 통합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역량의 핵심은 다름 아닌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네트워크는 사내의 생산, 마케팅 등의 기능뿐만아니라 사외의 공급자와 고객까지도 함께 움직이는 거시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효율적인 프로세스 계획은 생산 프로세스 구조와 관련하여 공장이 할 수 있는 범주와 해서는 안되는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공장들은 본 장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의 생산 프로세스 유형을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개별생산 프로세스, 묶음생산 프로세스 등의 조합이 그것이다. 본장을 통하여 프로세스 유형의 선택은 다분히 수요와 연관이 크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프로세스 유형 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은 또한 신제품의 특성과 프로세스 간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이해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다.
(1) 프로젝트 배치 : 제품은 부피나 무게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제조장비가 제품으로 이동
(2) 작업장 : 프로세스 구조가 비표준화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며 작업장은 때때로 부서로 언급되며 특정형태의 작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3) 제조셀 : 비슷한 프로세스를 요구하는 단순품목이 생산되는 지역
(4) 제품-프로세스 행렬 : 상이한 생산단위들 사이의 관계와 제품의 생산량과 제품의 표준화 정도에 의존하여 이 관계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줌
(5) 조립라인 : 이산적인 부품을 만들기위해 설계된 프로세스 구조. 부품은 통제된 비율로 특별하게 설계된 작업장 사이를 이동
(6) 연속 프로세스 : 하나의 연속 프로세스에서 원자재를 최종제품으로 전환하는 흔히 자동화된 프로세스
계산문제(p.20q.11)
(18) 작업처리율 : 시스템이 단위시간당 생산할 수 있는 능력
(19) 프로세스속도 (작업처리율) : 부가가치시간에 대한 처리시간의 비율
(20) 부가가치시간 : 단위에 유용한 작업이 부가되어 완료되는 시간
(21) 리틀의 법칙 : 작업처리율, 처리시간, 재공품 재고량 간의 수학적 관게. 처리시간=재공품/작업처리율
7장. 제조 프로세스
결론
고객 취향에 맞게 제품을 설계하는 영역은 예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품을 만드는 과정은 과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품설계에서부터 고객까지의 과정은 관리라고 볼 수 있다. 세계 선도제조업체들은 이러한 과정들의 빠르고 유연한 통합에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역량의 핵심은 다름 아닌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네트워크는 사내의 생산, 마케팅 등의 기능뿐만아니라 사외의 공급자와 고객까지도 함께 움직이는 거시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효율적인 프로세스 계획은 생산 프로세스 구조와 관련하여 공장이 할 수 있는 범주와 해서는 안되는 내용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공장들은 본 장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의 생산 프로세스 유형을 복합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개별생산 프로세스, 묶음생산 프로세스 등의 조합이 그것이다. 본장을 통하여 프로세스 유형의 선택은 다분히 수요와 연관이 크다는 점도 이해할 수 있었는데, 프로세스 유형 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은 또한 신제품의 특성과 프로세스 간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이해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았다.
(1) 프로젝트 배치 : 제품은 부피나 무게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제조장비가 제품으로 이동
(2) 작업장 : 프로세스 구조가 비표준화된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며 작업장은 때때로 부서로 언급되며 특정형태의 작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
(3) 제조셀 : 비슷한 프로세스를 요구하는 단순품목이 생산되는 지역
(4) 제품-프로세스 행렬 : 상이한 생산단위들 사이의 관계와 제품의 생산량과 제품의 표준화 정도에 의존하여 이 관계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줌
(5) 조립라인 : 이산적인 부품을 만들기위해 설계된 프로세스 구조. 부품은 통제된 비율로 특별하게 설계된 작업장 사이를 이동
(6) 연속 프로세스 : 하나의 연속 프로세스에서 원자재를 최종제품으로 전환하는 흔히 자동화된 프로세스
계산문제(p.20q.11)
추천자료
(SCM)공급망 관리와 정보기술, 적용사례
SCM의 도입에 관한 연구
사례로본 SCM와 효과와 미래
생산운여관리-도요타 사례연구
SCM(공급사슬관리)조사 연구
생산 전략의 의사결정의 차원
자라 (ZARA) SCM 성공사례분석 보고서 - zara 기업 소개, 성공요인
적기공급생산(JIT, 적기생산방식)의 배경, 경영철학, 적기공급생산(JIT, 적기생산방식)의 기...
[생산관리]엔터테이먼트 공급사슬 구상 (건양대병원vs국제성모병원)
공급체인관리 (SCM의 의의, 국내의 SCM, 기업이 나아갈 방향)
포스코(POSCO) SCM 도입전략분석 및 포스코의 SCM 도입 전후 비교분석과 나의 견해 - 포스코...
[생산관리] 전략과 지속 가능성
기업 녹색 구매 & 친환경 공급망관리 사례 및 전략
생산운영관리)공급사슬관리의 최신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