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레포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3>
1.1 신재생에너지란? ..........................................................<3>
1.2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3>
1.3 미래의 전력 에너지원 ...................................................<3>

2.본론 ............................................................<4~23>
2.1 태양에너지 ..................................................................<4>
2.2 태양광발전 ...........................................................<4~15>
2.2.1 태양광 발전의 특징 ...........................................<4~5>
2.2.2 태양광 발전의 원리 ................................................<5>
2.2.3 태양광 발전의 시스템 .............................................<5>
2.2.4 태양전지의 핵심기술 ..............................................<6>
2.2.5 태양전지의 종류 ................................................<6~7>
2.2.6 국내 태양광발전 기술현황 ..................................<7~9>
2.2.7 세계 태양광발전 기술 현황과 전망 ......................<9~15>
2.3 해양에너지 ................................................................<16>
2.4 조류발전 ..................................................................<16>
2.4.1 조류발전의 기술 ..................................................<16>
2.4.2 조류발전의 특징 ..................................................<17>
2.4.3 조류발전 시스템 ..................................................<18>
2.4.4 조류발전의 국내 기술 개발 동향 .....................<18~20>
2.4.5 조류발전의 국외 기술 개발 동향 .....................<20~21>
2.5 파력발전 ............................................................<21~22>
2.5.1 파력발전의 원리 ..................................................<22>
2.5.2 파력발전의 국내외 기술 동향 ................................<23>
3. 결론 ..............................................................<24>
4. 용어정리 ........................................................<25>
5. 참고문헌 ........................................................<26>

본문내용

용되고 있다.
2.5.1 파력발전의 원리
파도의 진행하는 힘으로 직접 터빈을 돌리는 방법과 파도에 의한 해수면의 상하 운동으로 공기 밀실 또는 원형 공기탑을 압축하는 방법, 상대적 운동 원리를 이용하여 힘을 낼 수 있는 방법 등이 있다. 바다 표면에 띄워서 파력 에너지를 활용 할 수 있는 부표식 발전기는 해수면의 상하 운동을 이용하여 피스톤을 상하로 움직이는 원리를 사용한다. 파력발전에 관한 연구는 약 100년 전부터 시작되어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이후 전세계적인 관심을 불러 모았다. 미국, 일본, 영국,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에서는 그 동안 파력발전에 관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여 왔으며 현재 약 50여종의 파력발전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우리나라 연안의 파력발전 에너지는 약 500만kw로 추산되고 있다.
[Fig.12]파력발전의 원리
2.5.2 파력발전의 국내외 기술 동향
파력발전의 세계현황은 파력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기술연구는 파력 자원이 풍부한 일본, 영국, 노르웨이, 등에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일본은 Kaimei에 240kw급의 해안 고정식 파력 발전 장치를 설치하여 시험가동하고 있으며 , 해양과학기술센터 주관으로 540kw급의 부유식 파력발전소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영국도 벨파스트 Queen's 대학에 75kw급의 파력발전 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중이고, 덴마크는 34kw 발전소에 대한 실증 실험을 진행 하고 있고 노르웨이도 500kw급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황은 시험용 파력 시스템은 출력 60kw급으로 직경13m 높이9.5m의 원통형이며 무게는 415톤에 달한다. 국내에서는 아직 파력에너지의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시도 된 바 없으나, 파랑이 심하다고 알려진 일부 해역을 대상으로 타당성 검토를 선행 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Fig.13]영국의 아나콘다형 파력발전소
3.결론
향후 세계 에너지 시스템의 미래는 화석연료의 한계성에 따른 새로운 에너지 기술 개발과 화석연료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방출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리고 미래 에너지의 흐름은 석유 시대에서 천연가스 시대를 거쳐 수소를 기반으로 한 신·재생에너지시대로 전환될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는 <교토의정서> 등 국제 환경규제에 대비할 수 있는 청정에너지이자, 지속 가능한 발전을 견인할 기술 주도형 미래에너지원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2020년까지 매년 2.3퍼센트 이상 성장이 예상되는 미래 신에너지 산업이다. 화석연료는 유한성과 지역적 제한성이라는 한계가 있지만, 새로운 대안인 신·재생에너지는 분산형 에너지체계를 구성하면서 단지 기술력만 확보하면 에너지 자원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에너지 자원의 한계를 벗어나는 엄청난 정치적 경제적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각 국가별로 조금씩 달리 정의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석유·석탄·원자력 또는 천연가스가 아닌 에너지로서 규정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로 여덟 개 분야(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신에너지로 세 개 분야(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가 여기에 속한다. 재생에너지는 그 기술과 최종 에너지의 형태에 따라 태양열,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소수력 발전, 폐기물 소각열 및 발전, 바이오매스 에너지(바이오 가스, 가스화 발전, 바이오 연료), 지열에너지, 해양에너지 등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재생에너지는 1차 에너지원인 태양(빛, 열), 바람, 물, 바다의 자연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청정한 에너지를 얻는 것이므로 자원의 보존량은 거의 무한대다. 선진국들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와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에 비에 미약한 편이다. 미래의 에너지난으로 어려움을 겪지 않으려면 우리나라의 지형과 자원을 이용한 개발이 필요할 것 이다.
4. 용어정리
모듈구조 [modular construction]
기관이나 전자장비 등 큰 기능부품의 정비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 부품을 몇 개의 기본단위(module)로 나누어서 고장이나 불량상태가 발생할 때 관련되는 모듈만을 교환 또는 정비하여 다시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고안한 구조
PN접합 [P-N junction]
P-N 접합은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정밀하게 접촉시켜서 만드는 것
웨이퍼 [Wafer]
웨이퍼란 반도체소자 제조의 재료이다. 실리콘 반도체의 소재의 종류 결정을 원주상에 성장시킨 주괴를 얇게 깎아낸 원모양의 판
박막 [thin film]
기계가공으로는 실현 불가능한 두께 μm 이하의 엷은 막.
컨버터 [converter]
회로망 ·변환기라고도 한다. 신호변환의 경우에는 흔히 트랜스듀서센서(transducer sensor)라고 하며, 전력분야에서는 교류와 직류간의 변환, 교류의 주파수 상호변환, 상수의 변환 등을 하는 장치
인버터 [inverter]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역변환장치).
5. 참고문헌
-유권종 외, “2006년 세계태양광발전산업현황” 대한전기학회하계학술대회2007.07
-산업자원부, “건축환경을 고려한 BIPV용 태양전지모듈 및 제조기술 개발,2007.07
-류청로,“해양에너지공학” 신기술 pp.75~123
-해양에너지개론 도서출판 대선 조철희, 이영호.2008.09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1권 8호 2007.11
-기계저널 제48권 제6호
-기계저널 제45권 제10호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태양에너지 제4권 제3호
-그린에너지의 이해와 태양광발전시스템 ,유춘식 연경문화사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계획과 설계 이순형 기다리
-신재생에너지, 윤천석 인피니티북스
-신재생 에너지 공학 일본화학공학회SCE.NET
-http://www.kordi.re.kr
-http://energyvision.org/48
-http://knrec.or.kr/NC/NC101500.jsp
-http://racer.kemco.or.kr
-http://www.energy.or.kr
-http://www.knrec.or.kr
-http://www.naver.com
-http://www.googl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10.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