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출산
1) 출산 징후
2) 정상 분만
3)분만의 방법 및 환경
4) 이상 분만
2. 신생아 특징과 발달
1) 신체적 특징
2) 호흡 및 울음
3) 체온 조절
4)황달현상
5)골격과 근육
6)신생아의 반사의 유형 및 특징
1) 출산 징후
2) 정상 분만
3)분만의 방법 및 환경
4) 이상 분만
2. 신생아 특징과 발달
1) 신체적 특징
2) 호흡 및 울음
3) 체온 조절
4)황달현상
5)골격과 근육
6)신생아의 반사의 유형 및 특징
본문내용
사: 파악반사(grasping reflex)는 잡기반사 또는 Darwinian 반사라고도 불리며, 원숭이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처럼 보인다. 아기의 손바닥이나 손가락이 자극을 받으면 아기는 자극에 사용된 물건을 힘주어 잡는 반응을 보인다. 파악반사는 신생아가 보이는 여러 가지 초기반사 중 하나이다. 생후 1개월 동안 증가하고 그 후에 감소하며 4~5개월은 의도적인 잡기반사로 바뀐다. 심리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반응이 약하고 또는 나타나지 않는다. 빠는 운동이 파악반사를 촉진시킨다. 이러한 초기 반사는 피질의 발달과 더불어 자발적인 행동이 나타나게 되므로 출생 후 1년 이내에 사라진다.
④ 모로반사 : 모로반사(moro reflerx)는 경악반사(startle reflex)라고도 불리운다. 갑작스런 소리가 나거나 큰 소리가 나거나 머리의 위치가 갑작스럽게 변하면 아기는 제일 먼저 팔과 다리를 벌리고 손가락을 펴며, 마치 무엇을 껴안으려는 듯이 몸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추린다. 즉, 부채꼴로 펼쳤다가 꼭 쥔다. 척추와 몸의 하지는 뻗는다. 중추신경체계의 심각한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모로반사가 약하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⑤ 바빈스키반사 : 1986년에 Bavinski가 발견.아기의 발바닥을 긁으면 처음에는 다리를 움츠리고, 다음은 발가락을 쫙펴는 반사작용을 말한다. 척추하부에 결함있는 경우 나타나지 않는다.
⑥ 수영반사:수영반사(swimming reflex)는 아기의 배부분을 수평으로 받쳐주면 아기는 팔과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며 입으로 숨을 쉬는데, 마치 수영하는 모습과 같다.
<표> 신생아의 반사행동 유형 및 특징(권민균 외,2006)
반사유형
자극
반응
사라지는 시기
중요성
찾기반사
입주변의 뺨
머리를자극을 준 쪽으로 돌린다
3주
젖꼭지를 찾게한다.
빨기반사
아기의 입에 손가락을 댄다
손가락을 규칙적으로 빤다.
영구적
반사
젖을 빨게한다.
수영반사
물속에 아기의 얼굴을 담근다.
수영동작으로 손을 휘젖고 다리를 버둥거린다.
4~6개월
물 속에 빠졌을 때 생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빈스키반사
발바닥을건드린다.
발바닥을 부채살처럼 펴고 발을 안으로 비튼다.
8~12개월
알려지지 않음
모로반사
아기의 등을 수평으로 받힌채 갑자기 머리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갑자기 큰 소리를 낸다.
팔과 다리를 벌리고 손가락을 펴며 마치 무엇을 껴안으려고 하는 자세
3,4~6,7개월내
진화과정에서 어머니에게 매달리도록한다.
파악반사
아기의 손바닥을 손가락으로누른다.
어른의 손가락을 자동적으로 쥔다.
3~4개월
자발적인 잡기를 훈련한다.
걷기반사
아기의 팔 밑을 잡고 평평한 곳에 맨발이 닿게한다.
걷는 것처럼 발을 교대로 움직인다.
2개월
자발적인 걷기를 준비한다.
눈깜박임반사
아기의 눈에 밝은 빛을 비쳐준다.
눈꺼풀을 빨리 닫는다.
영구적
강한 자극으로부터 보호한다.
목강직반사
등을 바닥에 대고 눕히고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다.
한쪽 팔은 머리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앞으로 펴고 다른 팔은 구부리며 마치 펜싱자세를 한다.
4개월
자발적인 뻗기를 준비한다.
④ 모로반사 : 모로반사(moro reflerx)는 경악반사(startle reflex)라고도 불리운다. 갑작스런 소리가 나거나 큰 소리가 나거나 머리의 위치가 갑작스럽게 변하면 아기는 제일 먼저 팔과 다리를 벌리고 손가락을 펴며, 마치 무엇을 껴안으려는 듯이 몸쪽으로 팔과 다리를 움추린다. 즉, 부채꼴로 펼쳤다가 꼭 쥔다. 척추와 몸의 하지는 뻗는다. 중추신경체계의 심각한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모로반사가 약하거나 나타나지 않는다.
⑤ 바빈스키반사 : 1986년에 Bavinski가 발견.아기의 발바닥을 긁으면 처음에는 다리를 움츠리고, 다음은 발가락을 쫙펴는 반사작용을 말한다. 척추하부에 결함있는 경우 나타나지 않는다.
⑥ 수영반사:수영반사(swimming reflex)는 아기의 배부분을 수평으로 받쳐주면 아기는 팔과 다리를 교대로 움직이며 입으로 숨을 쉬는데, 마치 수영하는 모습과 같다.
<표> 신생아의 반사행동 유형 및 특징(권민균 외,2006)
반사유형
자극
반응
사라지는 시기
중요성
찾기반사
입주변의 뺨
머리를자극을 준 쪽으로 돌린다
3주
젖꼭지를 찾게한다.
빨기반사
아기의 입에 손가락을 댄다
손가락을 규칙적으로 빤다.
영구적
반사
젖을 빨게한다.
수영반사
물속에 아기의 얼굴을 담근다.
수영동작으로 손을 휘젖고 다리를 버둥거린다.
4~6개월
물 속에 빠졌을 때 생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빈스키반사
발바닥을건드린다.
발바닥을 부채살처럼 펴고 발을 안으로 비튼다.
8~12개월
알려지지 않음
모로반사
아기의 등을 수평으로 받힌채 갑자기 머리를 떨어뜨리거나 또는 갑자기 큰 소리를 낸다.
팔과 다리를 벌리고 손가락을 펴며 마치 무엇을 껴안으려고 하는 자세
3,4~6,7개월내
진화과정에서 어머니에게 매달리도록한다.
파악반사
아기의 손바닥을 손가락으로누른다.
어른의 손가락을 자동적으로 쥔다.
3~4개월
자발적인 잡기를 훈련한다.
걷기반사
아기의 팔 밑을 잡고 평평한 곳에 맨발이 닿게한다.
걷는 것처럼 발을 교대로 움직인다.
2개월
자발적인 걷기를 준비한다.
눈깜박임반사
아기의 눈에 밝은 빛을 비쳐준다.
눈꺼풀을 빨리 닫는다.
영구적
강한 자극으로부터 보호한다.
목강직반사
등을 바닥에 대고 눕히고 머리를 한쪽으로 돌린다.
한쪽 팔은 머리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앞으로 펴고 다른 팔은 구부리며 마치 펜싱자세를 한다.
4개월
자발적인 뻗기를 준비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