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학] 충청도 방언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언학] 충청도 방언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충청남도 방언
1. 충청남도방언 하위구획
2. 충청남도방언의 특징
(1) 음운 특징
(2) 문법 특징

󰊲 충청북도 방언
1. 충청북도방언 하위구획
2. 충청북도방언의 특징
(1) 음운 특징
(2) 문법 특징
(3) 어휘, 의미 특징

본문내용

) ex) 살다니깨 별꼴 다 보것어
▶ 잘 쓰이는 부사 : 워디(어디)가세요?, 원제(언제)온댜?. 워째서(어째서)그렇댜?, 슷달 인디 워떻 게(어떻게, 얼마나) 춘지, 얼렁(빨리) 와 밥먹어, 어이(어서) 잡시유(잡수세요), 뿔나게(빨리) 뛰어 오지, 시방(지금) 와?
(3) 어휘, 의미 특징
동일어원에서 분화하거나 또는 어원을 달리하여 어형의 차이를 보이는 것 따위가 충청북도 세 방언권을 기르는 기준이 된다.

바구니
졸음
단양
청주
영동
단양
청주
영동
단양
청주
영동
귀ː짝
궤ː짝
괴ː
보금치
보구니
보고리/
보구리
자부람
졸음
자부람
▶ ‘궤’와 ‘바구니’와 같은 예는 세 방언권에서 서로 다른 어형으로 나타나므로 세 방언권으로 나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단양방언권과 영동방언권의 어형이 일치하는 예가 많다.
=>남부방언, 특히 경상방언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 문헌
이상규 ,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4
이상규 , 『국어방언학』, 학연사, 1995
전광현 , 『국어사와 방언』, 월인, 2003
황인권 , 『한국방언연구 충남편』, 국학자료원, 1999
박경래(세명대 교수) , 충청북도 방언의 특징과 하위 방언권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8.14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9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