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원봉사자의 기본 자세 및 태도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
◈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활동과업
◈ 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
◈ 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기능
◈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
◈ 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과 활동과업
◈ 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
◈ 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문내용
람 있는 삶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다. 대중매체에서도 자원봉사에 관한 특집기사를 다루거나 주관하여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고 다양한 공사기관 및 단체들도 자원봉사활동을 장려하고 확대하려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특히 요즈음에는 그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자원봉사를 유도하고 연중의 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행사나 프로그램이 주변에서 많이 개최된다.
자원봉사란 경제적 보상 없이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활동으로서 함께하는 공동체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성과는 흔히 ‘나비효과’에 비유되는데 이는 북경에서의 나비 한 마리의 작은 움직임이 멀리 뉴욕에서 폭풍을 일으킬 수 있는 것처럼 초기의 작고 미약한 활동이 후에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영국, 독일, 미국 등의 나라에서는 ‘무상의 노동’ 혹은 ‘즐기는 노동’으로서 광범위한 사회적 지지를 얻고 있고 참여인원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통계에서는 미국인의 54%, 영국인의 35%, 그리고 일본의 경우 국민의 최소 20%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면 우리의 상황은 어떠한가? 우리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체계적인 관심이 이루어진 것은 88서울올림픽이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의 자원봉사참여정도에 관한 통계결과는 다양하지만 ‘볼런티어21’이라는 단체가 1999년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14.2%의 국민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또한 2001년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의 도내 자원봉사활동실태와 활성화방안이라는 연구에 의하면 봉사활동이 청소나 단순사무보조 등 노동집약적 활동에 치우쳐 있어 봉사활동의 종류를 다양화하는 것, 봉사활동에 필요한 교통비나 식비 등의 최소한의 경비지원, 교육훈련의 기회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측면에서의 관심과 체계적인 지원이 활성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어떤 학자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역사회의 소외된 시민들을 민주사회의 책임 있는 주권자와 도덕적인 시민사회로 만들 수 있다는 사회적 책임성(social responsibility), 사회적으로 국민들의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사회발전의 총체적 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사회적 생산성(social productivity), 그리고 대상기관 및 시설의 폐쇄성을 벗고 도덕적이고 열린사회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사회적 개방성(social openness)에서 그 의미와 필요성을 찾기도 한다.
영국 사회복지발전에 크게 공헌한 베버리지 경은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은 정부의 제도에 의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 하여 시민의 자발적인 봉사활동이 바람직한 미래사회로 가는 책무임을 강조한 바 있다.
자원봉사의 실천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있고 우리생활의 일부분이어야 한다는 점과 자원봉사는 남을 돕는 일을 넘어서서 바로 나 자신을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드는 일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자원봉사란 경제적 보상 없이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을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활동으로서 함께하는 공동체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다. 자원봉사활동의 성과는 흔히 ‘나비효과’에 비유되는데 이는 북경에서의 나비 한 마리의 작은 움직임이 멀리 뉴욕에서 폭풍을 일으킬 수 있는 것처럼 초기의 작고 미약한 활동이 후에 큰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이다. 영국, 독일, 미국 등의 나라에서는 ‘무상의 노동’ 혹은 ‘즐기는 노동’으로서 광범위한 사회적 지지를 얻고 있고 참여인원도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통계에서는 미국인의 54%, 영국인의 35%, 그리고 일본의 경우 국민의 최소 20%는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면 우리의 상황은 어떠한가? 우리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체계적인 관심이 이루어진 것은 88서울올림픽이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의 자원봉사참여정도에 관한 통계결과는 다양하지만 ‘볼런티어21’이라는 단체가 1999년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14.2%의 국민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또한 2001년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의 도내 자원봉사활동실태와 활성화방안이라는 연구에 의하면 봉사활동이 청소나 단순사무보조 등 노동집약적 활동에 치우쳐 있어 봉사활동의 종류를 다양화하는 것, 봉사활동에 필요한 교통비나 식비 등의 최소한의 경비지원, 교육훈련의 기회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측면에서의 관심과 체계적인 지원이 활성화를 위한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어떤 학자는 자원봉사활동을 지역사회의 소외된 시민들을 민주사회의 책임 있는 주권자와 도덕적인 시민사회로 만들 수 있다는 사회적 책임성(social responsibility), 사회적으로 국민들의 가용자원을 활용하여 사회발전의 총체적 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사회적 생산성(social productivity), 그리고 대상기관 및 시설의 폐쇄성을 벗고 도덕적이고 열린사회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사회적 개방성(social openness)에서 그 의미와 필요성을 찾기도 한다.
영국 사회복지발전에 크게 공헌한 베버리지 경은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은 정부의 제도에 의하여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 하여 시민의 자발적인 봉사활동이 바람직한 미래사회로 가는 책무임을 강조한 바 있다.
자원봉사의 실천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있고 우리생활의 일부분이어야 한다는 점과 자원봉사는 남을 돕는 일을 넘어서서 바로 나 자신을 의미 있는 존재로 만드는 일이라는 생각을 해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