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으로서의 심리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절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 심리학의 정의
2. 심리학의 범위
3. 입체(복합) 과학: 꿈의 예
4. 심리학의 목표

제 2절 현대 심리학의 성립과 학파
(1) Wundt와 구성주의
(2) James와 기능주의
(3) Watson의 행동주의
(4) Wertheimer와 형태주의
(5) Freud와 정신분석(Psychoanalysis)
(6) Maslow와 인본주의

제 3 절 심리학의 연구방법
1. 자료수집방법

본문내용

경험주의: 단순한 사색으로 이루어진 학문(철학)과는 구별.
관찰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내고 검증.
2) 체계적 접근: 우연적 관찰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이나 계획된 절차를 따름.
     관찰 -> 일반적 결론: 귀납법, induction
     일반 원칙 -> 구체적 사례에 대한 결론: 연역법, deduction
3) 측정: 규칙에 따라 대상의 속성을 표시하기 위해 숫자를 배정하는 과정. 즉, 규칙에 따라 물체의 속성을 수량화하는 과정.
4) 용어의 정의: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구체적 정의. 측정되는 operation에 의한 정의. cf) 추상적 정의
    구체적인 경험적 용어를 사용하여 관찰과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정의. 개념변인의 특정한 실례를 수량화
    하거나 측정하기 위해 선정되는 절차.
1-1) 전기적으로 촉발된 심상
- Penfield의 실험
1-2) 뇌 전기 자극의 보상 효과
- Olds & Milner: 시상하부의 전기 자극
2) 애매한 자극에 대한 반응
- 지각(착시: 심리적 실재에 대한 이해) 또는 언어자극
>------------<
<------------>
3) 유아들의 지각 세계
- visual cliff
4) 시위(display)
- 구애 행동
5)복잡한 사회행동
- 대구 지하철 사태: 구경꾼이 많으면 돕지 않는다
3. 입체(복합) 과학: 꿈의 예
정신 경험으로서의 꿈의 분석: 호접몽
- 외적 사건의 보충
1) 행동으로서의 꿈
- Rapid eye movement
- EEG(뇌전도)의 변화: 역설적 수면
2) 인지로서의 꿈
- 인지의 반영: 주관적 사건
- 꿈의 기억 요인: 깨어 있을 때의 심상력, 방해 요인의 여부
3) 꿈과 사회행동
- 95% 이상이 타인과의 관계 중심
- 문화의 반영: 나쁜 꿈을 꾸면 상대에 선물(Senoi 족)
내적 갈등의 반영: Freud. 금지된 욕망의 도피 수단.
현재몽의 잠재적 의미
4) 꿈과 인간 발달
- 3-4세 아동의 꿈과 현실 혼동
5) 개인차
성격차 반영: 정신분열증환자의 기괴한 꿈
  • 가격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5.03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710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