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 Al CuZn 인장강도 실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험 제목

2. 시험의 목적

3. 서론

4. 관련이론
4.1 인장상태에서 재료의 기계적 거동
4.2 공칭응력-변형곡선
4.3 진응력-변형곡선
4.4 국부연신에서 응력분포
4.5 연성파단
4.6 인장시험편
4.7 하중- 신장선도의 여러 가지 형

5. 실험방법
5.1 실험에 필요한 재료, 약품 및 기구
5.2 실험과정

6. 실험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6 인장시험편
공업적인 방법으로 인정시험을 행할 때는 KS B 0801의 규정 시험편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탄성률의 정밀측정에는 L√A(L:표점거리, A: 원 단면적)가 큰 시험편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연성재료는 보통 국부적인 소성연신, 즉 국부수축을 나타내며 파단하므로 단면적 A가 일정한 시편은 파단연신[(L-L)/LX100%,L은 파단 시의 표점거리]이 L에 따라 변하고 L가 클수록 연신은 작아진다.
● KS 금속재료 인장시험편 치수
4. 7 하중- 신장선도의 여러가지 형
5. 실험방법
5. 1 실험에 필요한 원료, 약품 및 기구
① Cu, Cu-Zn, Al 판 ② 쇠톱 ③ 사포(emery paper) ④ 줄 ⑤ 만능인장시험기(인스트론 4485)
5. 2 실험과정
Cu, Cu-Zn, Al 판을 쇠톱과 줄을 이용하여 <그림 10>과 같이 제작한 뒤 emery paper를 이용하여 자른 부분을 연마해준다. 그리고 인장 실험기 A에 시편을 장착하고 컴퓨터에 데이터 값을 넣어 측정한다.
6. 실험결과 및 고찰
Al 시험편 (두께 X 넓이)
시험편 .1: 3.01 X 22.61 시험편 .2: 2.99 X 21.7
Al 시험편의 최대인장힘[Load at Peak(kN)]은 1시험편: 9.868, 2시험편:9.761
최대인장강도[Stress at Peak(Mpa)]은 1시험편: 145.00, 2시험편:154.58
최대변형률[% Strain at Peak(%)]은 1시험편:7.881, 2시험편:8.218
끊어진 값[Load at Break(kN)]은 1시험편:3.458 2시험편:3.506
끊어질 때 인장[Stress at Bresk(Mpa)]은 1시험편:50.806, 2시험편:55.521
연신율[% Strain at Break(%)]은 1시험편:10.115, 2시험편:11.822 (원 길이에서 10.115% 늘어났다는 뜻)
연신율이 100% 넘었을 때 쓰리는 값 [Nm% Strain at Auto Break(%)]: 이 실험에서100%를 넘는 것이 없어 쓰이지 않았음. 값은 연실률하고 같음
항복강도 [0.2% offset Yield (Mpa)]은 1시험편:130.329, 2시험편:137.995
항복강도 점을 찾기 위한 힘[0.2% offset Yield(kN)]은 1시험편:8.870 2시험편:8.714
Cu 시험편 (두께 X 넓이)
시험편 .1: 2.92 X 22.14 시험편 .2: 2.92 X 22.12
Cu 시험편의 최대인장힘[Load at Peak(kN)]은 1시험편: 17.490, 2시험편:916.110
최대인장강도[Stress at Peak(Mpa)]은 1시험편: 270.54, 2시험편:249.42
최대변형률[% Strain at Peak(%)]은 1시험편:31.738, 2시험편:34.275
끊어진 값[Load at Break(kN)]은 1시험편:6.142 2시험편:5.412
끊어질 때 인장[Stress at Bresk(Mpa)]은 1시험편:95.009, 2시험편:83.790
연신율[% Strain at Break(%)]은 1시험편:39.088, 2시험편:41.940 (원 길이에서 10.115% 늘어났다는 뜻)
연신율이 100% 넘었을 때 쓰리는 값 [Nm% Strain at Auto Break(%)]: 이 실험에서100%를 넘는 것이 없어 쓰이지 않았음. 값은 연실률하고 같음
항복강도 [0.2% offset Yield (Mpa)]은 1시험편:239.017, 2시험편:188.942
항복강도 점을 찾기 위한 힘[0.2% offset Yield(kN)]은 1시험편:15.452, 2시험편:12.204
Cu-Zn 시험편 (두께 X 넓이)
시험편 .1: 0.74 X 22.9 시험편 .2: 0.82 X 22.88
Cu-Zn 시험편의
최대인장힘[Load at Peak(kN)]은 1시험편: 4.923, 2시험편:8.408
최대인장강도[Stress at Peak(Mpa)]은 1시험편: 294.49, 2시험편:448.15
최대변형률[% Strain at Peak(%)]은 1시험편:14.440, 2시험편:36.552
끊어진 값[Load at Break(kN)]은 1시험편:1.079, 2시험편:1.428
끊어질 때 인장[Stress at Bresk(Mpa)]은 1시험편:64.545, 2시험편:76.113
연신율[% Strain at Break(%)]은 1시험편:20.555, 2시험편:39.366 (원 길이에서 10.115% 늘어났다는 뜻)
연신율이 100% 넘었을 때 쓰리는 값 [Nm% Strain at Auto Break(%)]: 이 실험에서100%를 넘는 것이 없어 쓰이지 않았음. 값은 연실률하고 같음
항복강도 [0.2% offset Yield (Mpa)]은 1시험편:200.412, 2시험편:242.961
항복강도 점을 찾기 위한 힘[0.2% offset Yield(kN)]은 1시험편:3.350, 2시험편:4.558
Al, Cu, Cu-Zn의 연신율 인장강도 항복강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Cu가 Al보다 연신율, 인장강도, 항복강도에서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Cu-Zn의 데이터는 쓸 수 없다. 이유는 고찰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고찰
인장 실험에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시험편이 끊어지는 위치가 중요한데, 아래의 (그림 상)을 보면 중앙에 가까이에서 끊어질수록 좋은 측정값을 얻는다.
하지만 (그림 하)Cu-Zn 시험판은 시편 제작 시 잘못 만들어져 상단이 끊어지게 되었고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 위치를 벋어나, 측정값으로 쓸 수 없다.
<참고>
재료공학(금속기계) 김정근 학문사 126p~137p
재료시험법 정재강 선학출판사 25p~42p
재료공학실험 충주대학교 출판 49p~62p
*목차*
1. 시험 제목
2. 시험의 목적
3. 서론
4. 관련이론
4.1 인장상태에서 재료의 기계적 거동
4.2 공칭응력-변형곡선
4.3 진응력-변형곡선
4.4 국부연신에서 응력분포
4.5 연성파단
4.6 인장시험편
4.7 하중- 신장선도의 여러 가지 형
5. 실험방법
5.1 실험에 필요한 재료, 약품 및 기구
5.2 실험과정
6. 실험결과 및 고찰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10.25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02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