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의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인보관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시기
3) 지역사회개발사업
4) 지역중심의 서비스제공 확대
5)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 현재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자선조직협회
2) 미국 최초의 인보관: 헐 하우스
3) 대공황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전환
4) ‘빈곤과의 전쟁’이후 지역사회복지 발달
3.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자선조직협회
2) 세계 최초의 인보관: 토인비 홀
3) 20세기 지역사회보호의 발달과정
⒧ 1950년대 이전
⑵ 1951~79년대
⑶ 1971년 이후
⑷ 지역사회보호의 동향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인보관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시기
3) 지역사회개발사업
4) 지역중심의 서비스제공 확대
5)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 현재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자선조직협회
2) 미국 최초의 인보관: 헐 하우스
3) 대공황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전환
4) ‘빈곤과의 전쟁’이후 지역사회복지 발달
3.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1) 자선조직협회
2) 세계 최초의 인보관: 토인비 홀
3) 20세기 지역사회보호의 발달과정
⒧ 1950년대 이전
⑵ 1951~79년대
⑶ 1971년 이후
⑷ 지역사회보호의 동향
본문내용
라는 제안에 따라 요보호 아동의 위탁률이 40% 달했음
⑵ 1951~79년대
-1959년 정신위생법 제정에 의해 재가복지서비스가 법률적으로 명확히 규정
-1963년 ‘보건과복지, 재가복지서비스개발이라는 제안과 함께 재가복지서비스 본격화
-노인복지분야에서도 탈시설화이론의 영향으로 노인주택 건설이 본격화
-재가복지서비스론이 지방자치제하의 정책으로 구체화 된 것은 시봄보고서 발표 이후
⑶ 1971년 이후
-재가복지서비스정책의 구체화는 1단계 시봄보고서에 의한 지방자치제 사회복지행정의 개혁, 2단계 1974년 장기적인 정책과제로서 국민보건서비스의 개편으로 보건, 의료, 복지시스템으로의 조직적인 전환
⑷ 지역사회보호의 동향
-1986년 그리피스경을 위원장으로 하는 지역사회보호 개선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사회보호와 공공재정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제출
-보고서핵심내용: ①사회보호 일차적 책임은 정부에 있음②지방정부는 구매자로서의 역할 수행③주거보호는 지방정부에 의하여 사정
-1993년 지역사회보호개혁에서는 시장경제의 원리, 즉 소비자와 제공자의 경쟁을 통하여 지역사회보호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케어 매니지먼트 도입
-민간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강조됨
⑵ 1951~79년대
-1959년 정신위생법 제정에 의해 재가복지서비스가 법률적으로 명확히 규정
-1963년 ‘보건과복지, 재가복지서비스개발이라는 제안과 함께 재가복지서비스 본격화
-노인복지분야에서도 탈시설화이론의 영향으로 노인주택 건설이 본격화
-재가복지서비스론이 지방자치제하의 정책으로 구체화 된 것은 시봄보고서 발표 이후
⑶ 1971년 이후
-재가복지서비스정책의 구체화는 1단계 시봄보고서에 의한 지방자치제 사회복지행정의 개혁, 2단계 1974년 장기적인 정책과제로서 국민보건서비스의 개편으로 보건, 의료, 복지시스템으로의 조직적인 전환
⑷ 지역사회보호의 동향
-1986년 그리피스경을 위원장으로 하는 지역사회보호 개선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사회보호와 공공재정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보고서 제출
-보고서핵심내용: ①사회보호 일차적 책임은 정부에 있음②지방정부는 구매자로서의 역할 수행③주거보호는 지방정부에 의하여 사정
-1993년 지역사회보호개혁에서는 시장경제의 원리, 즉 소비자와 제공자의 경쟁을 통하여 지역사회보호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케어 매니지먼트 도입
-민간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강조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