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혈 아동의 간호
성인수혈
목적
절차
부작용
수혈시 부작용 종류별 반응, 증상, 간호
수혈종류별 적응증, 성분, 용량, 간호
수혈 후 부작용 GVHD
자가혈 수혈 방법
성인수혈
목적
절차
부작용
수혈시 부작용 종류별 반응, 증상, 간호
수혈종류별 적응증, 성분, 용량, 간호
수혈 후 부작용 GVHD
자가혈 수혈 방법
본문내용
ㆍ환자의 활력징후를 의사에게 알리고 혈액을 다시 검사하며 포도당 용액이나 식염수로 정맥주입을 유지
ㆍ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신기능을 파악
발열반응
열, 떨림, 오한, 피부홍조, 두통, 오심, 토헐, 설사
ㆍ경한 반응 시 수혈 첫 30분 동안 자세히 관찰
ㆍ심한 반응 시 수혈을 중단하고 포도당 용액이나 식염수로 정맥주입을 유지하며 30분마다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보고
ㆍ환자와 공혈자의 혈액 배양검사가 요구됨
알레르기 반응
ㆍ알레르기성 물질 혹은 공혈자 혈장의 항체가 원인임
두드러기, 천식, 관절통, 전신 가려움, 기관지 경련
ㆍ경한 반응 시 천천히 수혈
ㆍ심한 반응 시 수혈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릴 것
ㆍ식염수나 포도당 용액으로 주입을 유지하며 활력징후를 체크
혈액형 부적합 수혈
ㆍ수혈자와 헌혈자 사이에 혈액형(ABO형)이 부적합한 경우의 수혈을 말한다.
ㆍ부적합 수혈에서는 수혈자의 혈관 내에서 적혈구가 여기에 대응하는 혈액 제공자의 항체와 결합해서 응집하고 여기에 보체가 결합하면 용혈이 일어난다.
ㆍ발열, 오한, 전율, 청색증, 두드러기, 혈압저하, 의식장애 등을 초래한다.
ㆍ혈관을 따라 열감, 협심증, 요통이 나타난다.
ㆍ암갈색 내지 흑색의 헤모글로빈뇨(혈관내 용혈)가 나타난 후, 핍뇨나 무뇨를 초래한다.
ㆍ합병증으로는 쇼크, DIC, 급성 신부전 등이 중요하다.
ㆍ신속하게 수혈을 중지하고, 대량 수액을 공급하여 쇼크에 대처한다.
ㆍ교환수혈을 한다.
ㆍ급성 신부전인 경우에는 이뇨제 투여, 투석 등을 실시한다.
ㆍDIC의 예방에는 헤파린을 투여한다.
ㆍ혈액형 부적합 수혈은 발견이 늦어지면 치명적이다. 따라서 수혈을 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자각증상이나 활력징후, 얼굴모습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 자가혈 수혈
ㆍ자가혈 수혈이란 환자 본인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이다.
ㆍ동종혈 수혈로 생기는 감염이나 면역적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방법
①수술 전에 미리 자기 혈액을 약 800~1,200ml 채혈한다.
②채혈한 혈액은 4~6℃의 냉장고에서 수술할 때까지 보존한다.(보존은 약 35일까지 유효)
③수술할 때 자가혈을 수혈한다.(자기 혈액이기 때문에 수혈 감염이나 수혈 후 GVHD 등의 부작용이 없다)
참고자료
ㆍ권보은·손연정·송희영·김명숙·이윤미(1998) - 간호사·간호대학생을 위한 리뷰 북
참고자료
ㆍ퍼시픽북스-기본간호학
참고자료
ㆍ김미예 외(2008)-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ㆍ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신기능을 파악
발열반응
열, 떨림, 오한, 피부홍조, 두통, 오심, 토헐, 설사
ㆍ경한 반응 시 수혈 첫 30분 동안 자세히 관찰
ㆍ심한 반응 시 수혈을 중단하고 포도당 용액이나 식염수로 정맥주입을 유지하며 30분마다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태를 의사에게 보고
ㆍ환자와 공혈자의 혈액 배양검사가 요구됨
알레르기 반응
ㆍ알레르기성 물질 혹은 공혈자 혈장의 항체가 원인임
두드러기, 천식, 관절통, 전신 가려움, 기관지 경련
ㆍ경한 반응 시 천천히 수혈
ㆍ심한 반응 시 수혈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알릴 것
ㆍ식염수나 포도당 용액으로 주입을 유지하며 활력징후를 체크
혈액형 부적합 수혈
ㆍ수혈자와 헌혈자 사이에 혈액형(ABO형)이 부적합한 경우의 수혈을 말한다.
ㆍ부적합 수혈에서는 수혈자의 혈관 내에서 적혈구가 여기에 대응하는 혈액 제공자의 항체와 결합해서 응집하고 여기에 보체가 결합하면 용혈이 일어난다.
ㆍ발열, 오한, 전율, 청색증, 두드러기, 혈압저하, 의식장애 등을 초래한다.
ㆍ혈관을 따라 열감, 협심증, 요통이 나타난다.
ㆍ암갈색 내지 흑색의 헤모글로빈뇨(혈관내 용혈)가 나타난 후, 핍뇨나 무뇨를 초래한다.
ㆍ합병증으로는 쇼크, DIC, 급성 신부전 등이 중요하다.
ㆍ신속하게 수혈을 중지하고, 대량 수액을 공급하여 쇼크에 대처한다.
ㆍ교환수혈을 한다.
ㆍ급성 신부전인 경우에는 이뇨제 투여, 투석 등을 실시한다.
ㆍDIC의 예방에는 헤파린을 투여한다.
ㆍ혈액형 부적합 수혈은 발견이 늦어지면 치명적이다. 따라서 수혈을 하는 동안에는 환자의 자각증상이나 활력징후, 얼굴모습을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 자가혈 수혈
ㆍ자가혈 수혈이란 환자 본인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이다.
ㆍ동종혈 수혈로 생기는 감염이나 면역적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방법
①수술 전에 미리 자기 혈액을 약 800~1,200ml 채혈한다.
②채혈한 혈액은 4~6℃의 냉장고에서 수술할 때까지 보존한다.(보존은 약 35일까지 유효)
③수술할 때 자가혈을 수혈한다.(자기 혈액이기 때문에 수혈 감염이나 수혈 후 GVHD 등의 부작용이 없다)
참고자료
ㆍ권보은·손연정·송희영·김명숙·이윤미(1998) - 간호사·간호대학생을 위한 리뷰 북
참고자료
ㆍ퍼시픽북스-기본간호학
참고자료
ㆍ김미예 외(2008)-아동의 건강문제와 간호
추천자료
아동 성학대(성폭력)문제의 원인과 예방책 및 해결방안(A+레포트)
아동성학대 개념과 실태 그리고 대응방안
Andragogy
아동 성학대의 현황과 문제점 및 해결방안
영혼을 파괴하는 범죄, 아동성폭력
아동성학대
아동복지4B) 아동의 권리 이념의 발달과 복지와의 관계
[아동 문학] 아동문학의 이론적 기초 - 아동문학의 출현, 아동문학의 개념, 아동문학의 정의,...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복지환경의 관계를 설명하고 복지환경의 나아갈 방향을 기술.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우리나라의 전통아동관과 보육에 대해 쓰시오 - 아동관
(아동복지) 아동학대의 원인을 설명, 대처방안과 예방에 관하여 아동복지와 교육적 차원에서 ...
아동상담의 정의와 필요성, 아동상담의 목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