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 필리핀의 보건 지표와 보건 상황
1)출생시 기대 수명
2)일반 출생률(CBR), 일반 사망률(CDR)
3)Total Fertility Rate(TFR)
4)영, 유아 사망률 & 모성 사망률
5) 질병률 및 사망률의 주된 요인
3.필리핀의 주요 보건의료문제
4. 마무리
5. 참고문헌
2. 필리핀의 보건 지표와 보건 상황
1)출생시 기대 수명
2)일반 출생률(CBR), 일반 사망률(CDR)
3)Total Fertility Rate(TFR)
4)영, 유아 사망률 & 모성 사망률
5) 질병률 및 사망률의 주된 요인
3.필리핀의 주요 보건의료문제
4. 마무리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사회적 안전망이 미비하여 의료 이용에 경제적 장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넷째. 고령화의 진행으로 퇴행성 질환자가 늘어나면서 병원에서 감당해야 할 부분이 증가될 가능성이 크며 전체적인 의료비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재원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화 될 여지가 있다.
4. 마무리
필리핀의 경우 극빈국은 아니지만 오히려 어느 정도 재원 조달이 가능한 개도국으로서 방향 설정을 잘 한다면 실제 보건의료의 문제에 있어서 발전 할 가능성이 큰다고 생각된다. 섬으로 지방 정부가 분리 되어 있어 중앙에서의 통제가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지방 정부 관할 지역의 요구에 맞춰(특히 지역 간 건강 실태 비교에서 평균에 못 미치는 지역을 중점적으로) 선택적으로 보건의료 재원을 배분 하고 공공의 보건인력을 지역에서 확보해 공공 1차 의료기관을 우선적으로 설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MMR과 IMR, CMR을 낮추고 감염성 질환에 의한 질병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재원 조달이 어렵지만 공공영역의 확충이 필요한 것은 지역 간 병원 편중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며 시골지역의 경제 수준과 의료 이용의 경제적 장벽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회 보험 체계의 미흡함이 중요한 문제로 생각되는데, 양극화가 심화된 지금 상황에서 정부의 주도적인 보험정책이 반드시 위의 정책과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1)[Health Status of the Filipinos] www.who.int/nha/country/phl/en/
2[테마기획 필리핀의 보건의료제도-빈곤과 건강-]
한동운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넷째. 고령화의 진행으로 퇴행성 질환자가 늘어나면서 병원에서 감당해야 할 부분이 증가될 가능성이 크며 전체적인 의료비의 상승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재원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화 될 여지가 있다.
4. 마무리
필리핀의 경우 극빈국은 아니지만 오히려 어느 정도 재원 조달이 가능한 개도국으로서 방향 설정을 잘 한다면 실제 보건의료의 문제에 있어서 발전 할 가능성이 큰다고 생각된다. 섬으로 지방 정부가 분리 되어 있어 중앙에서의 통제가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지방 정부 관할 지역의 요구에 맞춰(특히 지역 간 건강 실태 비교에서 평균에 못 미치는 지역을 중점적으로) 선택적으로 보건의료 재원을 배분 하고 공공의 보건인력을 지역에서 확보해 공공 1차 의료기관을 우선적으로 설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MMR과 IMR, CMR을 낮추고 감염성 질환에 의한 질병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재원 조달이 어렵지만 공공영역의 확충이 필요한 것은 지역 간 병원 편중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며 시골지역의 경제 수준과 의료 이용의 경제적 장벽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회 보험 체계의 미흡함이 중요한 문제로 생각되는데, 양극화가 심화된 지금 상황에서 정부의 주도적인 보험정책이 반드시 위의 정책과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1)[Health Status of the Filipinos] www.who.int/nha/country/phl/en/
2[테마기획 필리핀의 보건의료제도-빈곤과 건강-]
한동운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