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_1week
건강의 정의
1. 건강에 대한 개념적 탐구
1) 건강의 개념
2)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강의 개념
3) 건강모델(Models of health)-Smith(1983)
4) 안녕-질병 연속선(Wellness-illness continuum)
5) 최상의 안녕상태(High-level wellness)
6) 건강생태학(Health ecology)
7) 기능(Functioning)
8) 건강(Health)
9) 질병( Disease)
2. 건강계획
1) 미국의 건강증진 사업
2) 우리나라의 건강증진 사업
표2-5 한국,일본,미국의 건강 증진사업 비교
3. 예방의 수준
1) 일차예방(primary prevention)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2) 특정 보호(Specific protection)
2) 이차 예방(Secondary prevention)
3) 삼차 예방(Tertiary prevention)
4. 건강증진에 대한 전망(Improving prospects for health)
1) 인구집단의 영향
2) 건강문제의 변화
5. 문제해결의 방향(Moving toward solutions)
1)개인의 참여
2)정부의 참여
건강의 정의
1. 건강에 대한 개념적 탐구
1) 건강의 개념
2)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강의 개념
3) 건강모델(Models of health)-Smith(1983)
4) 안녕-질병 연속선(Wellness-illness continuum)
5) 최상의 안녕상태(High-level wellness)
6) 건강생태학(Health ecology)
7) 기능(Functioning)
8) 건강(Health)
9) 질병( Disease)
2. 건강계획
1) 미국의 건강증진 사업
2) 우리나라의 건강증진 사업
표2-5 한국,일본,미국의 건강 증진사업 비교
3. 예방의 수준
1) 일차예방(primary prevention)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2) 특정 보호(Specific protection)
2) 이차 예방(Secondary prevention)
3) 삼차 예방(Tertiary prevention)
4. 건강증진에 대한 전망(Improving prospects for health)
1) 인구집단의 영향
2) 건강문제의 변화
5. 문제해결의 방향(Moving toward solutions)
1)개인의 참여
2)정부의 참여
본문내용
Chapter 1_1week
건강의 정의: 증진과 예방을 위한 목표
1. 건강에 대한 개념적 탐구
1) 건강의 개념
국어사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함. 또는 그런 상태
제 1의 개념: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
제 2의 개념:
• What is the WHO definition of health?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나 결손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
제 3의 개념: 건강이란 환경(자연, 생물, 사회)에 적응하고, 나아가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상태
2)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강의 개념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있다
1940년대: 질병이 없는 상태
1950년대: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 학교, 직장, 군대 등 집단 신체검진, 보험을 위한 신체검진 시행. 학교와 직장은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이 됨.
1960년대: 의료전달체계의 급발전.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이 건강관점에 영향을 미침. 따라서 건강은 환경의 변화와 연결이 되면서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의 차이와 관련.
≪ … 중 략 … ≫
2. 건강계획
1) 미국의 건강증진 사업
30여 년 동안 건강증진은 예방의학의 한 부분으로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면서 건강관리의 발전에 추진력이 되어왔다. Healthy People(Public Health Service, PHS, 1979)의 출현은 건강증진의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는 미국 보건복지부가 처음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관한 보고서 발표. 이보고서에는 성인과 아동의 사망률감소, 노인들의 질병일 수 감소를 위해 국가가 해야 할 5가지 건강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미국의 3대 건강문제에 대해 열거 하였는데 이는 나쁜 생활습관, 환경의 오염, 건강을 파괴하는 사회적 문제(굶주림, 빈곤, 무지)의 방치 등이다.
건강의 정의: 증진과 예방을 위한 목표
1. 건강에 대한 개념적 탐구
1) 건강의 개념
국어사전: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아무 탈이 없고 튼튼함. 또는 그런 상태
제 1의 개념: 건강은 질병이 없는 상태
제 2의 개념:
• What is the WHO definition of health?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나 결손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
제 3의 개념: 건강이란 환경(자연, 생물, 사회)에 적응하고, 나아가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한 상태
2) 시대적 흐름에 따른 건강의 개념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있다
1940년대: 질병이 없는 상태
1950년대: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능력. 학교, 직장, 군대 등 집단 신체검진, 보험을 위한 신체검진 시행. 학교와 직장은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이 됨.
1960년대: 의료전달체계의 급발전. 적응(adaptation)이라는 개념이 건강관점에 영향을 미침. 따라서 건강은 환경의 변화와 연결이 되면서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의 차이와 관련.
≪ … 중 략 … ≫
2. 건강계획
1) 미국의 건강증진 사업
30여 년 동안 건강증진은 예방의학의 한 부분으로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면서 건강관리의 발전에 추진력이 되어왔다. Healthy People(Public Health Service, PHS, 1979)의 출현은 건강증진의 이정표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는 미국 보건복지부가 처음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관한 보고서 발표. 이보고서에는 성인과 아동의 사망률감소, 노인들의 질병일 수 감소를 위해 국가가 해야 할 5가지 건강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미국의 3대 건강문제에 대해 열거 하였는데 이는 나쁜 생활습관, 환경의 오염, 건강을 파괴하는 사회적 문제(굶주림, 빈곤, 무지)의 방치 등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술과 건강
체력과 건강과의 관계
건강의 의미
정신과 건강
사업장 건강증진
(사회복지정책론) 건강보험, Gilbert와 Specht의 분석틀, 급여분석, 보험급여 실적, 요양기관...
건강보험제도의 보장성 실태 및 급여확대 방안
[노인건강] 노년기 질환의 종류, 질병의 원인, 노인 질병의 특징, 노인 건강관련 국가 정책 ...
[노화][지능][교육프로그램][정신건강][세포노화]노화의 정의, 노화의 원인, 노화와 지능, 노...
정신건강의 영향요인 중 기질과 정서에 대해 설명하시오.
[노인복지론] (노인 건강 복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노인장기요양보...
건강장애 [유아특수특론, 정의, 출현율, 유형과 원인]
건강증진론A)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의 중점과제인 영유아건강의 지표별 ...
정신건강론)우리나라 정신건강의 실천 영역 중 전통적 실천영역과 새로운 실천 영역을 정신건...